• Title/Summary/Keyword: 생태영향

Search Result 3,98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기업생태계에서의 IT역할

  • Han, Jae-Min;Kim, Hye-Y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30-1035
    • /
    • 2007
  •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 기업은 다른 조직들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의존을 바탕으로 생태계(Ecosystem)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직간의 유기적인 형태를 기업생태계(Business ecosystem)라 하고, 기업생태계를 이루는 각 조직들은 기업생태계 전체와 운명을 공유한다. 기업이나 조직은 기업생태계 안의 개체가 되며, 각 개체는 생태계 안에서 고유한 역할을 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업 전략의 범위를 기업 내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기업이 속해있는 기업생태계의 범위로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이러한 관점에서, IT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 째, 기업생태계는 기업 네트워크의 확장된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업생태계에서 개체간의 상호작용에 I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번째, 기업생태계에서는 외부의 자극이나 개체의 상태가 전체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기업생태계를 다이나믹하고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에 IT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적 운명 공통체로써의 기업생태계에 대한 기존연구를 통해, 기업생태계 관점에서 IT 역할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IT역할 구분 시에 필요한 지침에 대해서 논의하여, 추후 수행될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tructural Changes of Business Ecosystem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Analysis of Film Industry Ecosystem in Korea (디지털 변환으로 인한 기업생태계 구조 변화 연구: 한국 영화산업의 생태계 분석)

  • Cho, Nam-Jae;Oh, Seung-Hee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3 no.2
    • /
    • pp.55-72
    • /
    • 2011
  • As the complexity of business environment increases rapidly the us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start to affect not only the business processes of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the fundamental nature of business and industrial ecosystem. The changes observed at the level of business and industrial ecosystem encompasses a broad range of transformation. This unit of analysis is not sufficiently dealt with by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business ecosystem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a relatively new approach called ecosystem mapping. We developed and suggested an ecosystem mapping methodology step by step and applied the methodology to film industry. The film industry is chosen because it is an industry very sensitive to the changes in technology and has gone through massive transformation during the last three decade by way of using modem information technology.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

Environmental Flow Assesment for Sustainable River Management in Guem River (지속가능한 하천관리를 위한 금강의 환경유량 산정)

  • Kim, Jeong-Kon;Kim, Gee-Hyoung;Ko, Ick-Hwan;Park, Sang-Young;Seo, Jin-Won;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22-627
    • /
    • 2007
  • 최근 하천의 모습은 이수 및 치수를 위해 설치된 수공구조물과 각종 오염원으로 인한 수질악화,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물순환시스템의 변화로 하천의 물순환 시스템이 바뀌게 되고 하천을 찾는 시민들의 환경의식 미성숙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하천오염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에 대한 이러한 변화는 수질, 수량 및 하천의 구조적 측면에서 하천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켜 하천 생태계 보전과 환경적으로 안정된 하천 조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천을 보다 자연스럽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환경유량의 관리가 필요하다. 하천의 전체적인 생태시스템을 고려한 환경유량의 관리를 위해서는 기존 환경유량의 개념, 산정방법 등 현황을 분석하고 하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하천생태계에 대한 영향인자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환경유량을 산정할 때 어류 및 식생 등 하천의 생태계와 하천의 수량 및 수질, 하천의 수리구조물 등 하천의 구조적인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국외 선진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학제간 전문가 그룹(Multi-disciplinary Expert Team, MET)을 통해 하천 생태시스템을 분석하고 환경유량 산정 모형을 활용하여 저수지 댐과 연계 운영함으로써 어류 및 식생 등 생태서식처와 사회환경 개선에 필요한 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인 금강유역에 대해 환경유량을 산정하기 위한 개념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념모형은 대청댐 건설 이전, 대청댐 건설이후${\sim}$용담댐 건설 이전, 대청댐과 용담댐 건설 이후 등 3개의 시나리오를 통해 하도 및 수변공간과 유량변화에 따른 유황분석 등을 통해 손실된 생태시스템을 정량화하여 궁극적으로는 복원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또한 댐으로 인한 하류지역의 영향범위 및 하천생태계에 미친 영향을 감소하기 위하여 적절한 환경유량을 산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축된 개념모형을 바탕으로, 금강유역에 대한 기초적인 수문, 하천특성,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향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유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산정된 환경유량을 확보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과 친환경적인 댐 운영방안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 PDF

Ecological Systems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Depression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 Kang, Hee 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2
    • /
    • pp.326-3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s factors on childhood depression. A total of 2,119 children data from 2013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the fourth wave)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e most ecological systems factors; organisms(child's gender, aggressiveness, attention problems), microsystems(parental neglect, parental abuse,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exosystem(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had effects on depres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child's aggressiveness, parental abuse,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in childhood depression.

Data Assimilation of Leaf Area Index for Drought Assessment In East Asia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 기반 동아시아 가뭄 평가)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31
    • /
    • 2019
  • 잎의 생태 계절학적 변화는 지상의 탄소/질소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토양 수분, 증발산과 같은 물 순환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이를 모의하기 위하여 많은 지면-생태 생태모형들이 개발되어져 왔지만, 자연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모델 결과값과 실제 관측 값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모형과 관측되어진 자료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자료동화 기법이 개발되어져 모델들의 오차를 줄여주거나, 실제 모델의 파라미터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후모형인 Community Land Model(CLM)을 기반으로 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동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면-대기-해양 모델로부터 발생되어진 40개의 앙상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잎면적 지수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잎면적 지수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앙상블 칼만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잎면적지수 자료동화가 생태 생태 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3 m 의 토양수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토양수분 가뭄을 시 공간적으로 나타내어 동아시아지역의 가뭄의 기간, 심도 와 같은 가뭄을 특성을 이해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Humane Entrepreneurship on SMEs Performance: Focused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Lee, II-H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2
    • /
    • pp.221-234
    • /
    • 2020
  •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has become important for the continuous growth (scale-up) of companies in a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However,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business-oriented growth that emphasizes efficiency only. Howeve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ople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corporate efficiency. In particular, there are few studies on S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 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the business ecosystem and firm excellence of SMEs, and how business ecosystem and firm excellence affect the performance of corporation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mpathy, enablement, empowerment, and engagement of the corporate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enterprise an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business ecosystem and the flower excellence as the parameters and the business ecosystem and company excellence. The main research subjects are the causality analysis that examines the effect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Empathy, enablement, empowerment, engag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ecosystem. In addition, the eng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excellence.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cosystem, corporate competence, and company excellence and business performance show that business ecosystem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Corporate excell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an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an empirical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by utilizing people-oriented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o existing researc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re expected to have lower perceptions of people-oriented management than large corpor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but the analysis shows that people-centered entrepreneurshi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ecosystem. Secon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 that the higher the atmosphere of entrepreneurship in a company, the higher the atmospher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parameters of business ecosystem and company excellence in the effect of people-oriented entrepreneurship on management performance. It is that the path through which people-oriented entrepreneurship influences management performance was verified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by inputting. Lastl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people-oriented entrepreneurship in Korea's SMEs will be activated,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ransforming SMEs' business models into innovative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