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공학

Search Result 1,0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of artifical wetland (인공습지의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 방안)

  • Lee, Daewung;Kim, Jungwook;Hong, Seungjin;Jung, Juyou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9-629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어있고, 토양과 물의 정화기능, 폭우방지 및 홍수 완화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습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습지 조성 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내섬(남한강), 옥포지구(낙동강), 세도지구(금강) 3개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비내섬 습지는 천이초기단계에서 개척자식물이 유입되는 등 향후 천이도중상태의 이차초지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되며, 옥포지구 습지는 안정된 천이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인위적 교란요인이 적기 때문에 미소입지별로 식생천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봄, 여름이 추가된 사계절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식물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더 정량적인 식성천이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ormalized Ecosystem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수자원 이용 가능성을 고려한 정규화 된 생태계 가뭄 지수)

  • Lim, Jong Hun;Oh, eung Hyun;Kim, Jungwook;Chae, Myung-Byung;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4-364
    • /
    • 2018
  • 가뭄은 세계적으로 농업, 경제, 사회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가장 파괴적인 자연 재해 중 하나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증발산량의 증가와 강수량의 변화로 가뭄의 빈도와 정도가 더욱 심각하고 발생지역이 널리 확산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뭄지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가뭄의 심도를 정량화 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뭄지수의 대부분은 생태계 반응보다는 환경적 조건에서 파생 된 가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규화 된 생태계 가뭄 지수 (NEDI)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새로운 가뭄지수인 NEDI를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비교하며 기후변화로 인하여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가뭄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NEDI에서 채택 된 정규화 기능은 다른 지역, 계절 및 식생 유형에 따라 가뭄 심각성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가뭄 지수는 관개 및 물 분배 관리 관행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하여 가뭄 상황이 만연해지면서 수자원 보존 노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alyzing Climate Zones Using Hydro-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 Andong Dam Watershed, South Korea (수문기상 관측정보를 활용한 안동댐 유역 기후권역 구분 및 분석)

  • Kim, Sea Jin;Lim, Chul-Hee;Lim, Yoon-Jin;Moon, Jooyeon;Song, Cholho;Lee, Woo-Kyu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7 no.3
    • /
    • pp.269-282
    • /
    • 2016
  • Watershed area can be submerged due to constructions and management of dams, and these change can impact not only on ecosystem and environment of river basin area but also on local climat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struct and classify climate zones of Andong Dam watershed where the area is submer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m. By apply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nd Getis-Ord $Gi^*$ statistics, three climate zones were classified for the result. Each zone was then analyzed and validated with climatic and geological features including topography, land cover, and forest type ma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emperature, elevation, precipitation and tree species distribution among the zones. Also, an analysis of land cover map showed that there were more agricultural land near Andong Reservoir. This study on the climatic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the basis for decision-making or policy enforcement regarding ecosystem, environmental management or climate change response.

Assessing Effects of Shortening Final Cutting Age on Future CO2 Absorption of Forest in Korea (벌기령 단축이 미래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yu, Donghoon;Lee, Woo-Kyun;Song, Cholho;Lim, Chul-Hee;Lee, Sle-Gee;Piao, Dongfa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7 no.2
    • /
    • pp.157-167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ortened final cutting age by estimating future $CO_2$ absorption in each different scenarios based on each final cutting ages before and after shortening. We used $5^{th}$ Forest Type Map and Forest Yield Table to obtain information to estimate $CO_2$ absorption of forest. We also designed a simulated future scenarios from 2010 to 2100 which repeats cutting and reforestation according to respected each final cutting ages. As the result, number of cuttings and total amount of $CO_2$ absorption of forest were increased with shortened final ages. Total cutting times increased up to 2 in both minimum and maximum amount for Quescus spp. and Larix kaempferi. Maximum number of cutting of Pinus densiflora and minimum number of Pinus koraiensis increased by 1. Total $CO_2$ absorption increased 12% for Quercus spp. which had the largest number of increase in cutting times, while total $CO_2$ absorption of Pinus koraiensis only increased by 1%. The resul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forest management plans and policies and then develop optimal final age for efficient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plans.

Applicability Analysis of Major Crop Models on Korea for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작물모델의 국내 적용성 분석)

  • Song, Yongho;Lim, Chul-Hee;Lee, Woo-Kyun;Eom, Ki-Cheol;Choi, Sol-E;Lee, Eun Jung;Kim, Eunji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5 no.2
    • /
    • pp.109-125
    • /
    • 2014
  • Suitable climate condition is essential for stable growth of crops which directly leads to an increase in crop production. Preceding domestic researches mostly used crop models to predict grain or crop yiel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use of various models and input data based on foreign background lowered the reliability for resul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domestic applicabil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crop models developed abroad. In addition, we selected model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input data and suggested domestic applicability.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of Populus sibirica and Ulmus pumila Seedlings and Soil Properties in a Semi-Arid Area, Mongolia (몽골 반건조지에서 질소 시비가 백양나무와 비술나무 묘목의 생장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ang, Hanna;Han, Seung Hyun;Kim, Seongjun;Park, Min Ji;An, Jiae;Kang, Hoduck;Yi, Myong-Jong;Akhmadi, Khaulenbek;Son, Yowha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6 no.3
    • /
    • pp.249-25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and types of nitrogen fertilizer on seedling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 semi-arid area, Mongolia. 2-year-old Populus sibirica and 4-year-old Ulmus pumila seedlings were planted in May 2014. Six treatments with three levels of nitrogen (low-level: urea $5g\;tree^{-1}$; medium-level: urea $15g\;tree^{-1}$, ammonium sulfate $33g\;tree^{-1}$, urea $15g\;tree^{-1}$ with potassium phosphate $10g\;tree^{-1}$; high-level: urea $30g\;tree^{-1}$) were applied and for the medium-level of nitrogen, different types of fertilizer were treated. Survival rate, root collar diameter (RCD) growth rate, leaf nitrogen concentration of seedling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in August 2014. The seedling survival rate of both species decreased as the level of nitrogen increased.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water stress caused by nitrogen fertilization in arid regions. The RCD growth rate of P. sibiric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high-level of nitrogen due to excessive nitrogen fertilization, and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ammonium sulfate due to sulfur which might promote nitrogen uptake. The leaf nitrogen concentration of P. sibirica did not change by the treatment of low-level of nitrogen, and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medium-level of nitrog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CD growth rate and the leaf nitrogen concentration of U. pumila among the six treatments. Non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w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Overall, the low-level of nitrogen showed no effect on seedling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xcept on survival rate of U. pumila and the high-level of nitrogen was considered excessive fertilization. Continuous monitoring of medium-level nitrogen fertilization including the ammonium sulfate, which increased early growth of seedlings, would be need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fertilization on seedling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a semi-arid region.

A study on water supply and demand analysis to secure the ecological flow required for the fish habitat (어류서식처에 필요한 환경생태유량 확보를 위한 유역 물수급 분석 연구)

  • Kim, Young Jun;Kim, Jong-Suk;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2-472
    • /
    • 2022
  • 과거 우리나라 하천관리 정책은 이수와 치수 기능 위주로 개발됨에 따라 하천 수량이 감소하고 오염이 심화되는 등 하천환경이 계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하천환경 개선에 대한 패러다임과 사회적 요구의 변화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천을 조성하고 훼손 또는 변화된 하천을 복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래 자연상태의 하천으로 완벽하게 회복 될 수없다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하천이 갖고 있는 하천공학적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수생생물의 서식처의 기능도 되살아나게 해야 하는 복합적인 목적을 갖춰야 하며, 하천 수생생물의 서식처 복원을 위해서는 하천생태계에 필요한 환경유량의 정량적인 평가와 확보방안 및 공급방안의 검토가 동시에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유량이 생태계 기준으로 고시된 하천인 감천유역을 대상으로 물수급 분석을 통해 환경생태유량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물수급 분석을 위해 K-weap을 활용하였으며, 공급 우선순위, 저수지 운영 변화 등을 통해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 하천 수생생물의 생애주기와 계절적 변화 등을 고려한다면, 더욱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생태유량 확보방안을 제시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diction and model1ing of changes of freshwater ecoystem (담수역 생태계의 부영양화 및 녹조 연구)

  • 이원호;신윤근;김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88-90
    • /
    • 2000
  • 새만금 담수호의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상해역 인근의 저염수역에서 부영양화 및 미소조류 생태계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였다. 이는 새만금호의 미소조류 생태계 변화와 부영양화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한 3개년 연구계획으로서, 제 1년차 연구의 현장 조사 및 자료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중략)

  • PDF

환경친화적 생태주거 건물의 설계

  • 한현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6
    • /
    • pp.37-42
    • /
    • 2000
  • 환경친화적 생태주거 건물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이의 구현을 위한 여러 방법론 등에 대하여 기존의 건축 기법과 시공예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