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bility Analysis of Major Crop Models on Korea for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작물모델의 국내 적용성 분석

  • Song, Yongho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im, Chul-Hee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Woo-Kyun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Eom, Ki-Cheol (Sejong Institute of Data Analysis) ;
  • Choi, Sol-E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Eun Jung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Eunji (Department of Climate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송용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임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엄기철 (세종데이터해석연구원) ;
  • 최솔이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은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김은지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Received : 2014.03.20
  • Accepted : 2014.06.02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Suitable climate condition is essential for stable growth of crops which directly leads to an increase in crop production. Preceding domestic researches mostly used crop models to predict grain or crop yiel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use of various models and input data based on foreign background lowered the reliability for resul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domestic applicabil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crop models developed abroad. In addition, we selected model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input data and suggested domestic applicability.

작물의 안정적 재배에 있어서 적합한 기후는 필수적 요소이며, 이는 곧바로 작물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진다. 국내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곡물 및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하여 작물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각기 다른 작물모델의 사용과 국외 실정에 맞춘 입력 자료의 사용으로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낮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개발된 작물 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모델별 입력자료 확보 가능성을 기초로 구동 가능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이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국내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