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 향상성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8초

생체인증을 위한 프라이버시 중심 설계와 보안사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ivacy by Design and Usable Security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 문정현;김예은;최수빈;이일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05-308
    • /
    • 2021
  • 최근 편리하고 안전한 생체인증 기술이 핀테크 서비스의 필수 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생체인증의 보안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해 많은 양의 생체 정보를 활용한다면 연산과정이 복잡해져서 속도 저하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실시간성을 제공하기 위해 생체 정보의 일부만 샘플링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보안성과 정확도가 열화되는 Trade-off 문제가 있다. 종래의 생체인증 기술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필터링의 경우 데이터 간의 상관성이 고려하지 않아서 개인정보보호와 사용자 편의성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성 높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프라이버시 중심의 생체인증 설계와 보안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생체 정보 보호 기술

  • 박강령;김재희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4호
    • /
    • pp.36-48
    • /
    • 2007
  • 최근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급과 함께, 생체 인식 시스템의 인증 정확도 외에 생체 데이터와 생체 인식 시스템 자체의 보안성, 그리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해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생체 데이터와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안성 증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과기부지정 ERC) 생체인식센터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생체 정보 보호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러한 생체 정보 보호 기술에는 생체정보가 도난 되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래의 생체정보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꾸어 변환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생체 정보 변환 기술이 있다. 또한, 원래의 생체정보가 유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위조 생체 등을 만들어 공격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위조 생체 검출 기술이 있으며, 생체정보의 유출된 출처를 찾기 위해 생체정보에 소유 책임기관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은닉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외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키를 은닉하고 생체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키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본 논문에서 소개한다. 끝으로 이러한 생체 정보 보호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신물질의 간 독성평가 방법 개발 및 기작에 대한 연구

  • 차영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7-317
    • /
    • 1994
  • 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성 물질들 (이하 약물로 칭함)은 세포내에서 일련의 대사과정을 받아 수용성으로 전환되어 체외로 배설된다. 생체내에서의 지용성 약물에 대한 생화학적 방어체계중 대사적 방어기구는 약물대사의 phase I활성화 과정인 독성화 과정과 약물대사의 phase II 포합과정인 해독화 과정이 상호균형을 이루어 생체내의 향상성을 유지하도록 방어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대사는 생체내 여러 장기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주로 대부분이 간에서 이루어진다. 즉, 간에서 약물의 약리학적 알성의 시작과 종료가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간은 약물대사, 약물의 독성 및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대사의 기초연구는 물론 신물질 개발에 있어서 개발약물에 대한 간세포의 손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독성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Cephalexin 함유 생체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의 제조 및 생물약제학적 평가

  • 김정환;정연복;한건;지웅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46-346
    • /
    • 1994
  • 1. 위장관통과 실험결과 polycarbphil 흑은 carbomer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 모두가 Eudragit RS/RL 마이크로캅셀보다 위 및 소장상부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Polymer의 생체막점착성에 의해 제제의 위내용배출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Polycarbophil 흑은 carbomer로 코팅한 생체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의 AUC는 Eudragit RS/RL 마이크로캅셀의 결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Polycarbophil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은 carbomer로 코팅한 제제에 비해 Cm의 증가뿐아니라 전체적인 약물흡수의 증가와 높은 혈중농도의 지속을 보여주어 생체막점착성 제제의 이상적인 약물흡수패턴을 보여주었다. 3. 흡수속도효율 (ARE)면에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이 코팅전의 마이크로캅셀에 비해 약간 떨어졌으나, polycarbophil 코팅제제의 경우 전체적인 흡수양상이 마이크로캅셀에 비해 우수하고 또한 제어방출효율 (CRE)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생체막점착성 제제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위내용배출의 지연효과, AUC, CRE 등을 종합해 볼때, Polycarbophil 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은 투여횟수의 감소 및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제제로 평가되었다.

  • PDF

광반응성 poly(acrylic acid)를 이용한 Lumbrokinase 의 polyurethane 표면 고정화 방법에 관한 연구 (Immobilization of Lum,brokinase on the Surface of Polyurethane by using the Photoreactive Poly(acrylic acid))

  • 김현정;류은숙;김종원;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7-553
    • /
    • 1999
  •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polyurethane(PU) 표면에 항혈전성 lumbrokinase(LK)를 고정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고자하였다. 먼저 LK를 PU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가교제로서 4-azidoaniline hydrochloride와 poly(acrylic acid)를 이용하여 4-azidophenyl 작용기가 amido 결합으로 치환된 수용성, 광반응성 poly(acrylic acid)(PPa-II)를 합성하였다. H-nuclear magnetic reasonance spectrum(500MHz H-NMR)의 6-7 peak와 infrared spectrum (FT-IR) 의 2125.48 cm peak으로부터 PPA-II의 합성을 지원하였다. EH한 4-azidophenyl 작용기가 poly(acrylid acid) 잔기에 치환된 정도는 UV/VIS adpectrophotometric spectrum을 확인한 결과 11~14%임을 알 수있었다. 0.5 1및 5% PPA-II를 각각 광반응하여 얻은 PU는 39.5, 161.8 및 181.5 nmole/$\textrm{cm}^2$의 농도로 표면에 carvoxyl 작용기가 유도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0.05M KH2PO4 (pH 4.5) 용액에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EDC)를 촉매로 사용하여 LK를 PU표면에 amido 공유결합으로 고정하였으며, 이것은 지속적인 fibrinolytic 활성도를 보였다. PPA-II를 이용한 표면 개질 방법은 수용성 반응조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과 광반응을 이용함으로써 특정부위에서의 표면개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응용가치가 크며 아울러 PU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판단된다.

  • PDF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이 향상된 이식용 합성 수화젤 (Synthetic Hydrogel as an Implant Material with Enhanced Biocompatibility and Biostability)

  • 최진현;박보형;한영아;김수정;임정옥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86-91
    • /
    • 2004
  • 생체 이식용 재료로서 제한된 용도를 갖는 기존의 스폰지를 대체하기 위해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염이 높은 단량체 농도에서 단독 또는 공중합하여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이 향상된 수화젤을 합성하고 이들의 세포 독성, 세포 부착성, 및 조직 적합성 등을 고찰하였다.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투입 몰비가 증가할수록 세포 독성은 감소하여 0.05의 투입 몰비에서는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메타크릴산염이 0.01의 몰비로 투입된 수화젤이 가장 우수한 세포 부착 및 퍼짐을 보인 반면, 메타크릴산염이 0.05 투입된 수화젤은 낮은 세포 부착을 보였다. 메타크릴산염이 공중합된 수화젤은 이식 후 8주가 경과하여도 특별한 이물질 반응의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높은 단량체 농도에서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염을 적절한 단량체 투입비로 공중합하여 제조한 수화젤은 탁월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을 갖는 생체 이식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전류법을 이용한 생체물질 DNA 검출 마이크로칩 (biomolecule DNA detection using Microchip with amperometry)

  • 주기성;;김용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53_1554
    • /
    • 2009
  • 마이크로칩에서의 생체물질 분석에 있어서 재현성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분석시 재현성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선행되었다.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 방안으로 겔 전기영동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겔 전기영동을 마이크로칩에 접목시켜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DNA 시료로 100bp부터 1500bp 길이의 DNA 단편들을 사용한 결과 인산완충식 염수 (PBS)만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인산완충식염수(PBS)와 5%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5% polyacrylamide)과 같이 사용하였을 경우 더 향상된 재현성을 확보하였다.

  • PDF

반응촉진 유기물 첨가에 의한 혐기성 분해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of Anaerobic Degradation by Organic Stimulants Addition)

  • 손부순;허준무;배형석;서성철;박종안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1호
    • /
    • pp.32-43
    • /
    • 1998
  • 혐기성대상과정중 메탄생성균(methanogenic bacteria)에 의한 메탄생성시 주요 기질인 아세트산 (acetic acid)을 분해할 경우에 여러 가지 복합기질 중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분해속도증가에 미치는 영향과 투입한 아미노산이 미생물에 의하여 생체량으로 합성되는 정도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메탄생성균은 glycine, serine, threonine, aspartic acid, trytophan 등의 혐기성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투입할 경우에 아세트산의 분해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혼합하여 주입한 결과 분해속도가 17% 향상되었다. 한편, 메탄생성균의 lysing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물은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의 최종산물로 전환되기보다는 새로운 메탄생성균의 생체량을 형성하는데 직접 이용되었으며, 아세트산의 분해속도를 52% 증가시켰다. 단순기질(sole substrate)과 복합기질(complex substrate)의 분해는 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간대사산물간의 상호자극효과에 의하여 복합기질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기질내 활성이 강한 슬러지의 농도는 혐기성처리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 PDF

Biometric System에서의 Privacy 보호 기술

  • 최경택;박강령;김재희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9-30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생체인식에서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Privacy) 보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되는데, 우선 생체정보가 도난 되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래의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생체정보 변환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원래의 생체정보가 유출되어 이를 이용해 위조 생체 등을 만들어 공격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위조 생체 검출 기술을 소개하며, 생체정보의 유출된 출처를 찾기 위해 생체정보에 소유권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은닉 기법도 소개한다. 이 외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키를 은닉하고 생체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키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소개한다. 끝으로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체인식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다중 생체인식 기술 동향 (Trends of Multi-modal Biometric Technology)

  • 길연희;정윤수;안도성;이경희;반성범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1호통권91호
    • /
    • pp.84-92
    • /
    • 2005
  • 생체인식 기술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의 보급에 의해 비대면상에서의 안전한 개인 인증 수단이 요구됨에 따라 신뢰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의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생체인식의 실제 응용에 있어 기대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생체인식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높이는 다중 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다중 생체인식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IC 카드 기반 다중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