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 외 실험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6초

코로나19 등 대응을 위한 "유리창 부착용 항바이러스 동필름" 성능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Antimicrobial Copper Film Attaching to Window for Responding to COVID-19 and Others)

  • 김성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3-40
    • /
    • 2021
  • 세계적인 코로나19 대유행의 시대에, 현재 치료제·백신이 개발, 시판 중인 단계에서 병원내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상황이므로, 개인적으로는 후천적인 면역력을 제고하고 사회환경적으로 구리이온의 성능에 의한 생활방역체제를 일반화해야 한다. 감염확산방지를 위해 동서고금의 연구개발사례를 근거로 항균동 필름의 필요성 및 항바이러스 성능실험을 통해 효능성을 분석했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서 항균성능인증 및 "국가승인 성능인증기관"에서 항바이러스 시험성적 인증을 받게 되었다. 당시 질병관리본부의 허가를 받은 실험재료인 NCCP 43326 Human corona virus(BetaCoV/Korea/KCDC03/2020)을 분양받아 생물안전기준에 맞게 생체외 실험실에서 In Vitro시험 결과, 항바이러스 성능시험에서 감염된 세포의 활성제거율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고 성능을 인증받게 되었다. 항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방지대책으로 항바이러스 동필름이 시공된 유리창 공간내에서의 실험군과 항균동필름이 없는 동일조건의 대조군을 비교하는 질(質)적인 임상실험연구가 추가 필요하다.

토끼와 흰쥐 음경해면체 이완작용에 미치는 홍삼사포닌 분획별 효과 (Effects of Compositions of Saponin Fraction from Korean Red Ginseng in the Relaxation of Rabbit and Rat Corpus Cavernosum)

  • 최영득;박진아;최형기;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3-20
    • /
    • 1999
  • 사포닌 함량과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조성 비율이 상이한 사포닌 분획물 TS-1, TS-2, TS-3 즉 주종 ginsenoside의 총함량$(G-Rb_1,\;-Rb_2,\;-Rc,\;-Rd,\;G-Re,\;-Rf,\;-Rg_1)$은 각각 $41\%,40\%,62\%$이고,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함유 조성비율(PD/PT)이 각각 1.55, 2.25, 2.61인 시료를 6년근 홍삼으로부터 추출 제조하여, 생체외 실험으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반응과 생체내 실험으로 사포닌분획물 투여에 따른 음경 해면체내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PHE에 의해 수축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 반응은 홍삼 사포닌은 각각 농도 의존적 이완작용을 보였으며, 음경 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에 있어 각 분획물의 $ED_{50}$은 TS-1이 1.68, TS-2, 1.97, TS-3, 2.29 mg/ml서 TS-1이 가장 의의있게 낮았다. 이러한 홍삼 사포닌 분획물의 이완효과 기전은 음경 해면체평활근에 NO나 칼슘 및 칼륨 통로 등에 영향을 미쳐 복합적인 이완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으로 홍삼 사포닌 투여에 따른 음경해면체내압의 변화 조사에서 각 사포닌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해면체내압의 증가를 야기시켰다. 이들 해면체내압의 증가 정도는 TS-1이 가장 강하였고,TS-2,TS-3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의 사포닌 분획물은 음경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과 내압의 증가에 영향을 미쳐 음경발기의 상승을 야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그 함유 조성에 따라 차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금후 주요 활성성분의 구명이 요망되고 있다.

  • PDF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조건에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 규명 (Safety of Nano-sized Bee Pollen in both In-vitro and In-vivo Models)

  • 편해인;소수정;박지아;이승현;이승민;서화진;임제오;김정우;김선연;이세라;이용현;정일경;최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05-614
    • /
    • 2018
  • 벌 화분은 영양보조제와 전통의약품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벌 화분은 두터운 외피를 갖고 있어 산이나 알칼리는 물론 위장관의 소화효소와 기계적 압력에 의해서도 잘 파괴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벌 화분을 경구로 섭취할 때 생체이용률은 10-1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이전의 연구에서 습식나노분쇄 기술을 소개하였고 이를 통해 활성성분의 추출률이 약 11배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나노분쇄를 통해 제조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흰쥐와 비글견에서 단회 투여 독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나노화 벌 화분의 투여 용량은 흰쥐는 5, 10 또는 20 g/kg, 비글견은 1.5, 3 또는 6 g/kg으로 설정하였다. 흰쥐에서는, 10 g/kg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투여한 동물에서 색변이 관찰되었다. 비글견에서는 6 g/kg 투여군에서 나노화 벌 화분 투여 4시간 후에 설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흰쥐와 비글견 모두에서 뚜렷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안락사 후 부검을 진행한 결과에서도 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나노화 벌화분의 유전독성을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및 소핵시험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소핵시험에서는 시험에 사용한 최대용량인 2,000 mg/kg에서도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이상시험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최고 농도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하면 나노화 벌 화분은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인 20 g/kg/day의 용량까지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나노화 벌 화분을 기능성 식품 또는 천연물 의약품으로 개발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n cement color on the color of commercially available zirconia crown)

  • 하현승;임범순;이상훈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3-2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NuSmile^{(R)}$ ZR Zirconia LT Shade (LT) 지르코니아와 $RelyX^{TM}$ U200 TR, A2, A3O (TR, A2, A3O) 레진시멘트를 사용했다. 이 때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 시편은 직경 5 mm, 두께 1 mm의 디스크 형으로 각 조건 당 다섯 개씩 제작했다. CIE $L^*a^*b^*$값은 검은색과 흰색 배경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 단독 조건과 겹친 조건에서 각각 측정했다.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은 측정된 값을 이용해, 반투명도(TP, translucency parameter), 대조비(CR, contrast ratio), 색차(${\Delta}E{^*}_{ab}$)의 계산을 통해 평가했다. 각 변수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동일한 실험군에서 CIE $L^*a^*^b^*$ 값을 3회씩 측정하여 구했다. 실험군의 통계적 유의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Tukey-multiple comparisons test로 검증했다. 그 결과,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친 조건일 때는 지르코니아 단독 조건일 때에 비해 반투명도는 감소했고(p<0.05) 대조비는 증가했다. 검은색 배경에서 지르코니아와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쳤을 때의 색차는 모든 실험군에서 색의 변화를 인지할 수 없었고 LT/A3O 조합에서 최소값을 보였다. 한편, 흰색 배경에서 지르코니아와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쳤을 때의 색차는 LT/TR 조합에서 색변화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경계값을 보였다. LT/A2 조합에서는 색변화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없었고, LT/A3O 조합에서는 색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는, 흰색 배경의 LT/A2 조합 외에는 지르코니아 색상에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색변화를 주는 레진시멘트는 없었다. 그 중 지르코니아 색상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레진시멘트 색상은 A3O였다. 따라서, 본 연구와 동일한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치아에 접착할 때 색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3O 색상의 레진시멘트 사용이 추천된다.

흑마늘과 쑥 추출물이 구속스트레스를 가한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Garlic and Mugwort Extracts on Lipids Profile during Restraint Stress)

  • 이수정;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77-586
    • /
    • 2013
  • In vitro에서 흑마늘과 쑥 추출분말 및 이들의 비율별 혼합물 3종(MPA, 95:5; MPB, 90:10; MPC, 85:15, w/w%)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7 brix 흑마늘 추출물(BE), 0.7 brix 쑥 추출물(ME), 이들을 부피비로 95:5(MA), 90:10(MB) 및 90.25:4.75 혼합물에 사과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각각 2%와 3%를 첨가한 음료(MC)를 흰쥐에게 4주간 급이한 후 24시간 구속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생체내 지질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In vitro에서 흑마늘 추출물과 쑥 추출물의 혼합물(MPA, MPB, MPC)은 쑥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흑마늘 추출물(RS1), 쑥 추출물(RS2), 혼합물 MA(RS3), MB(RS4) 및 MC(RS5)를 각각 1%씩 흰쥐의 식이에 첨가 급이한 결과 식이섭취량은 RS1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구속 대조군(RSC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으며, RS3~RS5군 간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중성지질의 함량은 RS3~RS5군이 RS1과 RS2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HDL-C 및 LDL-C 함량, 동맥경 화지수(AI), 심혈관질환 위험지수(CRF)는 RS3~RS5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AST 및 ALP 활성은 RSC군에 비해 실험군들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RSC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중성지방 함량은 RS1군만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간 글리코겐 함량은 RSC군에 비해 RS2와 RS3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그 외 실험군에서는 유의차가 적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RSC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RS3과 RS5군이 유사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흑마늘 추출물, 쑥 추출물, 혼합물 및 개발 음료의 급이는 스트레스 부과로 증가될 수 있는 체내 지질 수준의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각 물질의 단독 급이보다 혼합물의 급이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혼합물을 이용한 개발음료는 현대인의 복잡하고 다양한 스트레스 발생 시 생체대사 조절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생체외(生體外) 알츠하이머병 실험(實驗) 모델에서 성향정기산가포공영(星香正氣散加蒲公英)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unghyangjungkisan-ga-pogokyoung on In vitro Alzheimer's Disease Experimental Model)

  • 강형원;유영수;박진성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7-171
    • /
    • 2001
  • Astrocytes are glial cells that play a major role in the inflammation observed in Alzheimer's disease (AD). Upon stimulation from various agents, these cells adopt a reactive phenotype, a morphological hallmark in AD pathology, during which they themselves may produce still more inflammatory cytokines. Substance P (SP) can stimulate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from astrocyt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Here I report that Sunghyangjungkisan- ga- pogokyoung(Sgp) can modulate cytokines secretion from primary cultures of rat astrocytes. Sgp $(10\;to\;10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NF-\;{\alpha}$ secretion by astrocytes stimulated with LPS and SP. Interleukin-1 (IL-1) has been shown to elevate $TNF-\;{\alpha}$ secretion from LPS-stimulated astrocytes while having no effect on astrocytes in the absence of LPS. Treatment of Sgp $(10\;to\;1000\;{\mu}g/ml)$ to astrocytes stimulated with both LPS and SP decreased IL-1 secretion significantly. The secretion of $TNF-\;{\alpha}$ by LPS and SP in astrocytes was progressively inhibited with increasing amount of IL-1 neutralizing antibody. Neurodegenerative processes in AD are thought to be driven in part by the deposition of ${\beta}\;-amyloid\;(A\;{\beta})$, a 39- to 43-amino acid peptide product resulting from an alternative cleavage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Sgp $(10\;to\;10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NF-\;{\alpha}$ secretion by astrocytes stimulated with $A-{\beta}-$and I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gp may inhibit $TNF-\;{\alpha}$ secretion by inhibiting IL-1 secretion and that Sgp has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D brain

  • PDF

생체외 실험을 이용한 근관충전용 Sealer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YTOTOXICITY OF ROOT CANAL SEALER IN VITRO)

  • 이상탁;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62-8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four root canal sealers(Tubliseal, AH26, Apatite Root Canal Sealer I, Apatite Root Canal Sealer II) in Vitro. The root canal sealers were mixed and filled in molds which were $14{\times}1.25mm$ in diameter, in height to use for cell counting and agar overlary method, and $7{\times}1.25mm$ for millipore filter method and set for 7 days to use for experiment. Silicone and copper plate were used for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Using the culture of L929 fibroblast, total cell number and vital cell number were counted and the ratio of vital cell number to total cell number was calculated on 2 nd, 4 th, 6 th experimental day, and the change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was tested by agar overlay method, and the succin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tested by millipore filter metho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il experimental groups, the mitotic activity of fibroblast was reduc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negative control group, so ail experimental groups showed cytotoxicity. Apatite Root Canal Sealer I group exhibited mild cytotoxicity, and Tubliseal, AH26, Apatite Root Cenal Sealer II groups exhibited severe cytotoxicity. 2. In the test of the change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by agar overlay method,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cytotoxicity. AH26 group exhibited mild cytotoxicity, and Apatite Root Canal Sealer I group exhibited moderate cytotoxicity, and Tubliseal and Apatite Root Canal Sealer II group exhibited severe cytotoxicity. 3. In the test of SDH activity by millipore filter method,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Apatite Root Canal Sealer I and Apatite Root Canal Sealer II group, but Tubliseal and AH26 group showed mild cytotoxicity.

  • PDF

조직공학적 신경재생을 위한 NGF를 함유한 PLA 담체의 제조 및 방출 (Preparation and Release Profile of N8f-loaded Polylactid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ed Nerve Regeneration)

  • 전은경;황혜진;강길선;이일우;이종문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93-901
    • /
    • 2001
  • 조직공학적 신경재생 및 파킨슨씨병 등의 시경퇴행성 질환에서의 치료에 이용 목적으로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를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에 NGF를 서방화시키고자 PLA 담체에 함유시켜 유화동결건조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NGF의 방출량은 생체외 pH 7.4, 37$^{\circ}C$의 PBS 조건하에서 4주 동안 방출실험 하였으며, 함유된 NGF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C-l2 세포에 직접 배양하여 확인하였다. 제조되어진 PLA 담체는 열린 셀 구조를 가졌으며, 초기 NGF의 함량이 많을수록 방출량도 증가를 보였으며, 제조과정에서의 NGF의 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C-12 세포를 배양한 결과 신경돌기가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생분해성 고분자 특정인 확산과 분해에 의해서 생물학적 활성물질인 NGF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직공학적으로 서방화되어 3차원적인 신경재생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의 전사활성 저해제로서의 T0901317 (T0901317 as an Inhibitor of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 김현하;설원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1-485
    • /
    • 2011
  • T0901317은 핵수용체 전사인자인 liver X receptor (LXR, NR1H2/3)의 강력한 합성 리간드이다. 그러나, T0901317은 farnesoid X receptor (FXR, NR1H4)와 pregnane X receptor (PXR, NR1I2)에 대해 작용물질(agonist) 로, androgen receptor (AR, NR3C4)와 rertinoid-related orphan receptor-${\alpha}$ (ROR-${\alpha}$, NR1F1)에 대해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여, LXR외에 적어도 다른 4종의 핵수용체에 대해 그 활성을 조절한다고 보고되었다. 우리는 T0901317이 또 다른 핵수용체인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NR1I3)에 대해 저해제로 기능함을 확인 하였다. CAR는 이미 T0901317에 의해 기능이 조절된다고 알려진 PXR, FXR, LXR과 더불어 간에서 생체이물과 콜레스테롤의 대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T0901317에 의해 CAR의 활성이 조절된다는 사실은, 간세포에서 T0901317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 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이들 핵수용체 단백질의 영향을 고려하여 주의깊게 해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Hsp70 분자 샤페론과 조절인자 (Family of Hsp70 Molecular Chaperones and Their Regulators)

  • 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60-1765
    • /
    • 2007
  •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반응은 단백질이 촉진하거나 수행한다. 단백질은 세포질과 소포체에서 합성될 때 엄격하게 조절된다. 그러나, 새로이 합성된 모든 단백질이 살아남아서 생명을 유지시키는 기능에 관여하게 되지는 않는다. 가장 알맞은 생리학적 in vitro 실험 조건에서 새로이 합성된 단백질의 약 3분의 1 정도는 합성되자마자 proteasome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단백질은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는 3차원 구조를 갖기 위해 접힘(folding)이 이루어져야 하고, subunit들은 assembly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성숙된 단백질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어떤 단백질군은 자연적으로 접힘이 일어나는 반면 어떤 단백질군은 분자 샤페론(molecular chaperones)과 folding enzymes의 도움을 받아야만 접힘이 일어난다. 분자 샤페론은 세포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서부터 고등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에 존재한다. 이들 중 Hsp70군은 많이 연구된 분자 샤페론으로서 지난 10여년 동안 조절인자들이 새로이 발견되어 작용 mechanism이 보다 자세히 밝혀졌다. 본 총설에서 Hsp70군과 그 조절인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서술을 하였으며, 이들의 기능이 분자 샤페론 기능 외에 생체 내에서 중요한 기능들이 새롭게 밝혀지고 있어 이들의 작용 mechanism을 조명함으로 이해를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