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정보학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Biometric System에서의 Privacy 보호 기술

  • 최경택;박강령;김재희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19-30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생체인식에서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Privacy) 보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되는데, 우선 생체정보가 도난 되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래의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생체정보 변환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원래의 생체정보가 유출되어 이를 이용해 위조 생체 등을 만들어 공격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위조 생체 검출 기술을 소개하며, 생체정보의 유출된 출처를 찾기 위해 생체정보에 소유권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은닉 기법도 소개한다. 이 외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키를 은닉하고 생체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키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소개한다. 끝으로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체인식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바이오메트릭스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 김재성;신용녀;김학일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46-52
    • /
    • 2005
  • 신원확인을 위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하거나, 이용하는 데 있어서 준수하여야 할 생체정보 보호대책에 관한 중요사항을 정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안전한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개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유무선 통신환경에서 생체정보가 수집${\cdot}$저장${\cdot}$전송${\cdot}$폐기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과 위협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cdot}$관리적 보호대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ITU-T, ISO 등 국제 표준 및 국내 TTA 단체 규격 등과 호환 가능하도록 보안대책을 제시함으로서 국가 간의 생체정보에 대한 보호조치 방안에 관하여 상호 연동성을 보장한다. 본고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생체인식 국가인프라가 구축되는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체정보에 대한 불신감과 인권침해 등의 사회적인 논란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전자여권${\cdot}$ 선원신분증${\cdot}$ 국제운전면허증${\cdot}$ 전자주민증 등 공항${\cdot}$항만${\cdot}$육로의 출입국관리에 생체정보의 활용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 확산되는 시점에서 생체정보 활용 및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함으로서 국내 생체인식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u-라이프케어를 위한 생체정보의 계측

  • Chung, Taek-Dong;Kim, Hee-Chan
    • Review of KIISC
    • /
    • v.17 no.1
    • /
    • pp.33-3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제안된 건강/의료 복지 서비스인 u-라이프케어에서 생체정보의 계측의 중요성과 최신 연구 동향을 주요 만성 성인질환인 당뇨병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당뇨병의 정확한 진단과 효율적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생체 정보인 혈당 및 당화혈색소 비율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계측하기 위한 생체계측 시스템의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u-라이프케어를 위한 생체계측용 센서의 요구 특성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래할 신개념의 의료/복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생체정보와 이를 위한 생체계측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개관하였다.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한 생체정보 보호

  • 김태해;정승환;정용화;문대성;문기영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31-40
    • /
    • 2005
  •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이용 확산 등으로 사용자 인증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패스워드 또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으나 타인에게 노출되거나 잊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의 고유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주요 정보 보호 및 사용자 인증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인식 기술을 대규모 응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생체정보의 안전한 저장/전송/처리 등 생체정보 보호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에 사용되는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생체정보를 보호하려는 경우 발생하는 이슈와 관련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생체정보 이용과 프라이버시 보호

  • 전명근;문기영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11-18
    • /
    • 2005
  • 정보 통신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신원의 확인이나 인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패스워드에 의한 개인 확인방법은 비교적 구현이 용이한 반면에 타인에게 노출되어 오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다수의 패스워드를 기억에 의존하여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개인의 고유한 생체적 특징에 기반을 둔 생체인식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둘러싼 프라이버시 침해 논의로 그 적용이 제약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생체정보와 프라이버시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생체정보 이용에 있어서의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국제적 동향과 프라이버시 영향평가에 대해서 알아본다 다음으로 현재 우리 주변에서 생체인식시스템과 관련하여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는 US-VISIT, 지문날인, 생체여권, CCTV에 의한 방범시스템과 같은 국내외의 활용 현황들을 알아보고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정책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IC 카드 사용자 인증을 위한 Match-on-Card 기술 동향

  • 반성범;정용화;정교일;손승원
    • Review of KIISC
    • /
    • v.12 no.2
    • /
    • pp.1-6
    • /
    • 2002
  •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보안수준을 제공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90년대까지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던 개인장치나 비밀번호 등은 분실 가능성 및 도용의 위험이 있어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사용상의 제약이 따른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생체정보는 비밀번호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 유출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생체정보를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IC 카드에 저장하고,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과정도 IC 카드 내부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Match-on-Card 기술 개발에 관하여 설명한다.

Biometric Features and Responsible Person Information Hiding by Watermarking Technique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한 생체정보와 취급자 정보의 은닉)

  • Lee, Wook-Jae;Lee, Dae-Jong;Park, Jin-Il;Cho, Jae-Hoon;Chun, M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1
    • /
    • pp.75-82
    • /
    • 2009
  • This paper propose a method to hide not only biometric features in the biometric image such as face and fingerprint for protecting them from unauthorized entity but also information of responsible person expressed as binary image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the responsibility of divulgence. For this, we investigate the recognition rates and bit error rates of extracted responsible person information watermark for the cases of using face and fingerprint images as cover images for fingerprint and face recognition which are the most popular biometric techniques. From these experiments,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requiring to protect personal biometric information

지문인식시스템 보안기능 평가 방법론 연구

  • 염흥렬;박준우;심상옥
    • Review of KIISC
    • /
    • v.13 no.6
    • /
    • pp.16-24
    • /
    • 2003
  •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식 기술의 사회적 요구가 빠르게 증대함에 따라 생체인식 기술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요구 역시 급속하게 증대되고 있다. 생체인식 기술에 대한 신뢰성은 생체인식시스템의 인식률에 대한 시험과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한 보안성 시험을 통해 보장될 수 있다. 보안성 시험은 크게 시스템 내부 및 외부 공격에 대한 안전성 등에 대한 일련의 항목들에 대해 시험을 한다. 이러한 보안성 시험에 대해 국외의 경우 자국기준 또는 공통평가기준에 따라 지문인식시스템을 포함한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한 보안성 시험을 수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는 지문인식시스템의 보안성 평가 방법론은 지문인식시스템을 시험할 때 어떤 면을 고려하여 시험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중 생체인식 전용 칩셋 설계

  • Kim Ki-Hyun;Yoo Jang-Hee;Chung Kyo-Il
    • Review of KIISC
    • /
    • v.16 no.3
    • /
    • pp.49-54
    • /
    • 2006
  •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얼굴, 그리고 홍채, 지문 등의 생체인식을 위한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전용의 칩셋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인식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로 구현 및 검증한 후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성능을 시험하여 실시간 처리를 어렵게 하는 각 생체인식 알고리즘의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부분을 선별하여 하드웨어로 구현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각 생체인식 알고리즘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부분으로 나누어져 구현되며, 이들의 효율적인 연동에 의해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는 가능하게 된다. 칩셋으로 구현되는 부분은 얼굴인식의 얼굴 검출을 위한 Adaboost 알고리즘이 구현되며, 홍채인식인 경우 홍채의 외부/내부 경계 구하기 및 극좌표 알고리즘이 구현되고, 지문인식의 경우에는 지문 맵 정보 도출 알고리즘 부분이 구현된다.

국내외 생체인식 기술표준화 및 평가기술 동향

  • 김재성;방지호;이현정
    • Review of KIISC
    • /
    • v.12 no.2
    • /
    • pp.7-17
    • /
    • 2002
  •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생체인식 분야는 상업적인 활성화와 이에 따른 사용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서로 다른 생체인식 제품들의 상호호환성과 상호연동성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생체인식 데이터 및 API에 대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생체인식 제품에 대한 성능 및 보안성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국내외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ANSI, NIST, IBIA, EU, AfB, 등의 기관을 통해 생체인식 제품들에 대한 표준을 연구하고 있으며, BioAPI, BAPI, HA-API 등과 같은 기술표준과 보안기술표준인 X9.84 및 생체인식 데이터 형식에 대한 표준인 CBEFF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독일의 GISA, 영국의 CESG와 NPL, 그리고 미국의 NIAP와 BFC 등은 생체인식제품에 대하여 성능평가 및 보안성 평가 연구를 추진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KSIA, KBA, TTA TC10/SG3, ETRI 등을 통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KISA에서 국책과제인 'Biometric 인증시스템 보안성 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성능 및 보안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