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존 분포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8초

Cd 및 Cu의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 및 성장

  • 진평;신윤경;지정훈;이정아;이정식;강주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29-330
    • /
    • 2001
  • 연안의 오염으로 인한 수생생물의 피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여러 오염원에 대한 수생생물의 생존과 성장은 중요한 평가요인이 될 수 있다(Marr et al., 1996). 이들 중금속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현재 진행 되 고 있으며 (Gagne' et al.,1990; Castano et al.,1998), 현재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중금속에 대한 수생생물의 영향분석의 일환으로 구리 및 카드륨이 넙치의 생존, 성장 및 사료효율에 미치는 만성적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중략)

  • PDF

관상동맥 질환에서 우회로 수술 전 T1-201 휴식-24시간 지연 심근 관류 SPECT를 이용한 심근생존능의 평가 (Viability Assessment with T1-201 Rest-24 hour Delay Redistribution SPECT befor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in Coronary Artery Diseases)

  • 윤석남;김기봉;이원우;정준기;이명철;서정돈;고창순;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3-501
    • /
    • 1996
  • 관상동맥 질환으로 관동맥 우회로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에 휴식-24시간 지연 영상을 얻어 휴식기 T1-201 섭취와 24시간 후의 재분포 여부를 평가하여 수술 후 심근벽 운동이 호전되었는지 여부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환자 17명에서 휴식기 관류가 정상이 아닌 분절이 56분절이었으며 이 중 조금 감소된 분절이 31 분절, 감소가 심한 분절이 14분절, 결손인 분절이 11 분절이었다. 24시간 지연 영상에서 재분포를 보인 분절이 19분절, 재분포가 없었던 분절이 37분절이었다. 2) 56분절 중 수술 후에 호전된 분절이 34분절(61%), 호전되지 않은 분절이 22분절(39%)이었다. 호전된 분절을 생존심근 호전되지 않은 심근을 비생존 심근으로 보았다. 3) 휴식기 T1-201 섭취가 조금 감소한 경우 수술 후 심근벽 운동이 호전될 가능성이 컸다. 4) 휴식기 T1-201섭취에 비해 지연기에 재분포된 19개 분절 중 74%에서 심근벽 운동이 호전되었다. 재분포가 없었던 37개 분절도 54%가 호전되었다. 5) 휴식기 관류감소가 심하지 않거나 재분포되었을 때 생존심근을 76%에서 예측할 수 있었다. 휴식기 관류감소가 심하며 동시에 지연기에 재분포되지 않은 경우 비생존심근임을 85%에서 예측할 수 있었다. 관동맥 우회로 수술 전에 얻은 휴식-24시간 지연 T1-201 SPECT로 휴식기 T1-201 섭취 정도와 지연기 재분포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수술 후 심근벽 운동의 호전 여부를 예측할 수 있었다. 휴식 T1-201/디피리다몰 부하 Tc-99m-MIBI/지연 T1-201 SPECT 검사로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존심근을 찾는 데 바람직한 검사로 생각하였다.

  • PDF

비정규분포하에서의 공정분석기술에 관한 조사연구 (A Research on the Process Analysis Technique under Non-Normal Distribution)

  • 김종걸;엄상준;김영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400
    • /
    • 2009
  • 품질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공정관리체계는 기업의 생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수명과 관련된 신뢰성이 강조되면서, 신뢰성분포로 불리는 비정규분포하에서의 공정관리가 핵심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품질특성치가 비정규분포를 따를때, 정규가설에 기초한 공정관리기술을 사용한다면 심각한 오류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정규분포에서의 관리도와 신뢰성샘플링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분포에서의 관리도와 신뢰성샘플링계획에 대한 최근연구를 조사하고, 보다 합리적이고 신뢰도 높은 공정분석에 대한 연구동향을 소개함으로써, 비정규분포하에서의 공정관리에 대한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임의 중단모형에서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와이블분포의 모수 추정 (An Estimation of Parameters in Weibull Distribution Using Least Squares Method under Random Censoring Model)

  • 이우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7권2호
    • /
    • pp.263-272
    • /
    • 1996
  • 임의의 기계에 대한 수명의 분포는 와이블분포를 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기계의 수명시간을 검정할 때, 시험시간및 여러 환경적인 제약에 의하여 표본으로 주어진 기계의 수명을 모두 관측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임의 중단모형 하에서 와이블분포의 모수를 최소제곱법(least squares method)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기존의 최대우도추정량(maximum likelihood estimates)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 PDF

사면을 따른 토양분포가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13-18
    • /
    • 2003
  • 토양침식과 그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토양질의 저하는 인류의 생존근거를 위협한다는 측면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생활의 근거가 토양의 생산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토양침식이 빈곤문제와 직결되고 있다 (Stoorvogel and Smalling, 1998). 따라서 최근 토양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토지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부정적인 환경영향 (침식, 농업화학물의 오염 등)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일반화 감마분포에서의 누율계산과 지표모수에 대한 Bartlett 검정

  • 나종화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4권2호
    • /
    • pp.533-540
    • /
    • 1997
  • 일반화 감마분포(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에서 지표모수(index parameter)에 대한 추론은 생존시간(lifetime)과 관련한 모형의 선택문제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한 정확한(exact) 추론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점근적(asymptotic) 검정법으로 소표본에서도 우도비 검정에 비해 효율이 뛰어난 Bartlett 검정을 제안하고, 이의 요율적 수행을 위한 대체 모형으로 부터의 누율계산(cumulant computation) 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자료에 대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누율계산과정을 이용하여 Bartlet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기존의 우도비 검정과는 상당히 큰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형의 선택 등의 문제에서 제안된 방법은 소표본의 경우에 더욱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임자도 주변해역의 자치어 분포

  • 전송미;조영철;최옥인;이성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0-301
    • /
    • 2000
  •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간대가 넓게 발달하여 있고 조차가 매우 크므로 물의 혼합이 잘 이루어져 먹이가 풍부하며, 탁도가 높아 포식의 위험이 적어 어류의 산란장이나 생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어류는 난에서 부화하여 자치어기를 거쳐 성장하면서 성어가 되고 어업에 가입이 된다. 어류의 초기 발생 시기에는 주변해역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로 자치어 생존율은 어류 자원의 크기를 결정짓는다(May,1974). 따라서 어류 자원량 추정과 미래 자원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자치어의 출현량과 분포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중략)

  • PDF

광양만 일대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분포

  • 김대윤;이충일;라영세;최만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2-403
    • /
    • 2000
  • 적조의 원인생물에는 분류학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속하며, 이 중 와편모조류는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박 등, 1988). 일부 와편모조류는 생활사 중 휴면포자로 해양퇴적토의 표층에서 일정기간 생존하다가 외부환경이 좋아지면 유영세포로 발아하여 다시 번무를 일으킴으로써 적조의 발생 분포 지역의 확대와 발생빈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Steidinger and Haddad, 1981; Hallegraeff, 1993; Ishikawa and Taniguchi, 1994; Nehring, 1995). (중략)

  • PDF

염분변화가 망둑어과 어류 3종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3 Gobiidae)

  • 황운기;민은영;강주찬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9-14
    • /
    • 2012
  • 넓은 범위의 염분에 대한 망둑어 3종의 적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존 및 성장에 대한 염분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두줄망둑은 0~33.6‰의 염분범위에서 유의한 생존율 차이가 없었고, 점망둑의 생존율은 염분농도 13.4‰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3.4‰ 이하에서는 80%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날개망둑의 생존율은 염분농도 3.4‰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담수에서는 87.5%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두줄망둑은 염분농도 13.4 및 20.2‰에서 가장 높은 일일성장률은 나타냈고, 담수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점망둑의 일일성장률은 염분농도 20.2~33.6‰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10.1‰ 이하에서 가장 낮아 이들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날개망둑의 일일성장률은 염분농도 10.1~27.4‰에서 가장 높았으나, 담수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3종의 망둑어, 특히 점망둑은 낮은 염분에 노출되었을 때, 그들의 생존 및 성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이들의 분포 및 개체수에 잠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존분석에서의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in survival analysis)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1호
    • /
    • pp.1-8
    • /
    • 2022
  • 본 논문은 중도중단 데이터가 포함된 생존데이터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기계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탐색적인 자료분석으로 각 특성에 대한 분포, 여러 특성들 간의 관계 및 중요도 순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여러 특성들과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특성(사망여부) 간의 관계를 분류문제로 보고 logistic regression, K nearest neighbor 등의 기계학습 방법들을 적용해본 결과 적은 수의 데이터이지만 통상적인 기계학습 결과에서와 같이 logistic regression보다는 random forest가 성능이 더 좋게 나왔다. 하지만 근래에 성능이 좋다고 하는 artificial neural network나 gradient boost와 같은 기계학습 방법은 성능이 월등히 좋게 나오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주어진 데이터가 빅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판명된다. 마지막으로 Kaplan-Meier나 Cox의 비례위험모델과 같은 통상적인 생존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어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ti, δi)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수 있었으며, 기계학습 방법에 속하는 random forest를 중도중단 데이터가 포함된 생존데이터에도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