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육실험

Search Result 1,85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저선량 $\gamma$선 조사에 의한 곡물류와 채소류의 생육촉진 효과

  • 김재성;송희섭;이영근;김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45-650
    • /
    • 1998
  • 작물과 채소류의 생육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 조사효과를 보고자 온실과 포장실험을 수행한 결과, 발아율과 유묘초장을 조사한 초기생육의 경우 벼, 콩 및 들깨의 200rad, 400rad, 100rad에서 생육촉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포장실험에서 벼의 경우 저선량조사에 의해 수량증가 효과는 없었고 종자의 불임율이 감소하였으며 콩과 들깨의 경우 400rad에서 생육상태와 수량이 다소 양호하여 저선량에 의한 생육촉진 효과가 인정되었다. 배추와 무의 경우는 200rad에서 발아율이 증가하여 저선량조사에 의한 효과를 볼 수 있었고 800rad에서 초장 등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뚜렷한 수량증가 효과는 볼 수 없었다.

  • PDF

옥상녹화를 위한 무기질계 토양 및 야생초화류별 식물 생육특성

  • 문석기;이은엽;신병철;곽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388-389
    • /
    • 2002
  • 옥상지반의 무기질계 토양종류와 야생초화류별 식물생육생태를 파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기 발아정도는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장과 피복율의 경우도 1, 2차 실험기간동안에는 버미큘라이트가 우수했으나 3차 이후부터는 오히려 펄리아트 처리구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야생초화류의 토양종류별 생육특성을 실험한 결과 대체적으로 민들레, 벌개미취, 마타리, 큰달맞이의 생육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nsitivity evaluation of rice by salting water irrigation in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벼 생육시기별 염수관개에 따른 벼 작물의 민감도 평가)

  • Choi, Sunhwa;Choi, Kw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8-1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가 벼 작물에 미치는 생육 영향정도(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벼 재배실험(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재배실험은 일반 논토양(삼광벼)과 간척 논토양(신동진벼)을 대상으로 하였고, 벼 생육시기는 이앙기~활착기, 활착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수잉기, 수잉기~출수기, 등숙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벼 재배는 3반복 실험을 위해 총 126개의 포트(Φ215×Φ170×210mm(H))를 조성하여 5월 20일에 1주 3본으로 이앙을 하였다. 물 관개방식은 생육시기별로 염도를 1,000, 1,500, 2,000, 2,500 ppm으로 조절한 각각의 염수를 관개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담수(지하수)를 관개하였다.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에 의한 벼 생육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고자 벼의 초장, 분얼수,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간척 논토양에서 초장, 분얼수는 생육초기인 이앙기의 염수에 의해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확량은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논토양에서는 초장, 분얼수는 생육시기에 따른 염수관개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수확량은 염분농도에 관계없이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Hassen Ebrahimi 등, 2011)의 벼 생육기인 분얼기, 유수형성기의 염수 관개가 수확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일반 논토양과 간척 논토양 모두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염분 배경농도가 높은 간척토양은 저농도의 염수에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벼 생육초기의 관개용수 염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 of Graphite on Rice Growth (흑연(GRAPHITE)의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Hwang, Cher-W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6 no.2
    • /
    • pp.86-91
    • /
    • 2003
  • Carbon material such as graphite and activated charcoal can promote the growth of some formsog bacteria. We examined whether this bacterial growth promoting effec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ield crops. Refined graphite was mixed into the standard soil used in rice cultivation. Varying soil graphite mixtures of 0.1%, 0.5% and 1% were used to cultivate rice seedling for 3 weeks. After transplanting in the filed, rice plants were cultivated for 4 months. To observe the effect of graphite(carbon material) during the cultivation of rice, we examined various different growth components in this research. During the transplanting stage, growth promoting effect of carbon was observed in the 0.1% carbon added soil. However,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 between graphite added soil and standard soil in the other stages. Rice yield was highest in the soil with 0.1% graphite.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e)의 온도 및 광 등의 생육조건이 하이드란지놀(Hydrangenol)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 Jong-Won Lee;Su Hong Lee;Jun Hui Choi;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7-97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본포하는 범의귀과 수국속(Hydrangea L.) 식물인 산수국의 잎에서 열수추출하여 활성된 지표물질중 하나인 하이드란지놀(Hydrangenol)의 함량변화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산수국(H. serrata f. acuminata)잎을 추출한 결과 Hydrangenol, Diam-sep5-Rt8.2, Thunberginol compound, Hydrangenoside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 동물 임상 실험에서 항비만, 근개선 및 노화된 피부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2019년 수행된 추출실험 결과, 하이드란지놀은 산수국의 생육 조건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5월 23일부터 6월 24일까지 소백산과 무등산 등 전국에 여러 생육지에서 채집한 산수국의 하이드란지놀의 함량은 0%로 파악되었으나, 그 이후 채집된 시료에서는 하이드란지놀의 함량이 일부 확인되었다. 산수국은 생육초반에는 하이드란지놀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개화시기 이후 잎의 생장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활성이 보이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온도 및 광량 등 생육조건에 따라서 하이드란제놀의 함량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 추가적인 재배 및 생리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 PDF

Growth of Plug Seedlings of ‘Nokkwrang’ Pepper in Mixture of Used Rockwool and Woodchip Particles (폐암면과 목재 입자의 혼합비율에 따른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

  • Hwang, Seung-Jae;Kim, Oh-Im;Kim, Ik-Joon;Jeong, Byoung-Ryo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2 no.3
    • /
    • pp.166-172
    • /
    • 2003
  • Rockwool slabs used for hydroponic cultures are expected to have potential to be reused after breakdown as a growing medium component for hydroponic culture of vegetables and cut flowers, pot plants, or plug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feasibility of using particles of used rockwool slabs (PURS) mixed with woodchips for growing plug seedlings of ‘Nokkufang’ pepper. In the first experiment growth of pepper seedlings was tested in media of steam sterilized PURS mixed with chestnut woodchips (CW), which was weatherized for six months and screened through 2.8 mm or 5.6 mm sieves, at 100:0, 75:25, 50:50, 28:75 or 0:100 (%, v/v). In the second experiment growth of pepper seedlings was tested in 20 different media containing steam sterilized PURS mixed with 4 mm chestnut woodchips (CW), 4 mm pinc woodchips (PW), coir, peatmoss, or perlite. In the first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wth differences as affectcd by particle size of CW, while the overall best growth was achieved il1 the control and l00% PURS. In the second experiment, seedling growth was enhanc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in 100% PURS or PURS mixed with peatmoss, coir, or perlite. In contrast, growth was suppressed as the proportion of peatmoss or coir mixed with PUR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CW increased. Growth was better in the PURS + peatmoss than in the 100% PURS or PURS + coir, and when woodchips were mixed with coir than peatmoss.

Several Factors Affecting Raising Seedling of Larch-like stitchwort (Minuartia laricina (L.) Mattf.) (너도개미자리 육묘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 Yeon, Soo Ho;Ji, Bo Ran;Lee, Min Yong;Jeong, Mi Jin;Cho, Ju Sung;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33-33
    • /
    • 2019
  • 너도개미자리(Minuartia laricina (L.) Mattf.)는 석죽과 나도개미자리속 식물로 낭림산 이북부터 백두산까지 분포하며, 7~10월에 백색의 꽃이 아름답게 개화하여 관상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너도개미자리를 관상식물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육묘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유용식물증식센터에서 분양받은 종자를 2019년 4월 19일에 트레이에 파종하여 6월 14일까지 충북대학교 첨단유리온실에서 8주 동안 육묘하였다. 파종용기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162, 200, 288구 트레이를 이용하였다. 토양은 단용토로 원예상토를 사용하였으며, 혼용토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3:1, 4:1 비율로 혼합하여 진행되었다. 파종립수 실험은 200구 트레이의 셀당 각 1, 2, 4, 6립씩 파종하였으며, 차광 실험은 0, 55, 75%의 차광막이 설치된 육묘배드에서 실시하였다. 추비는 hyponex (6.5-6-19)를 처리별 각 0, 250, 500, $1000mg{\cdot}L^{-1}$의 농도로 출아 후 2, 4, 6주차에 총 3회 살포하였다. 대조구는 200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셀당 1립씩 파종하여 차광을 하지 않은 온실에 배치하였으며, hyponex $500mg{\cdot}L^{-1}$를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 너도개미자리는 셀의 용량이 클수록 모든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보여, 162구 트레이에 육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토양 실험의 결과, 원예상토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용토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셀당 파종립수를 달리한 결과, 너도개미자리의 개체별 생육은 파종립수가 적을수록 유리하였으나, 본 연구의 목적인 관상적 가치를 위한 생육과 볼륨을 고려하였을 때 셀당 2립 파종묘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비 실험은 농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이었으며, $1000mg{\cdot}L^{-1}$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차광 실험의 결과, 무차광 조건에서 전반적인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차광율이 높을수록 초장이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너도개미자리의 육묘는 162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셀당 종자를 2립 파종하여 무차광 조건에서 추비를 $1000mg{\cdot}L^{-1}$의 농도로 처리하며 육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파괴 작물 생육측정장치 개발 및 활용방법

  • 정수호;이형석;조혜성;조연진;안호섭;정종모;김희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3.04a
    • /
    • pp.24-24
    • /
    • 2023
  • 현대화된 재배법은 작물의 생육을 위해 시설내부의 환경을 제어하고 실시간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으나, 작물의 생육·생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생육데이터 취득은 아직까지도 전문 재배사·농민이 수작업을 통해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작물의 생육데이터 자동 취득을 위한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정확도 측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한 장치구성은 3D Depth 카메라(Intel D415)와 운용 PC이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의 세부기관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모델을 포함한다. 장치는 다양한 재배환경의 작물 생육데이터 취득을 위하여 휴대용, 고정형, 로봇형 3가지 유형으로 개발하였고 측정 정확도 검증은 휴대용 생육측정장치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작업이 아닌 영상에 의한 생육 데이터수집으로 작물의 생육정보(측정값+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환경데이터와 함께 객관적인 정보에 의한 작물의 생산량, 수확시기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 PDF

일미생물에 의한 인삼에 관한 연구(제1보)-인삼추출물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이정치;양한철;양한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5.12a
    • /
    • pp.181.5-182
    • /
    • 1975
  • 인삼의 성분 및 약이학적 연구에 관하여 많은 보고가 있으나 인삼성분이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실험에서는 인삼추출물이 유산균, 효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중략)

  • PDF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for Acetic Acid Production (초산 생성을 위한 발효공정의 최적화)

  • Shin, Jin-A;Oh, Nam-Soon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4 no.3
    • /
    • pp.217-221
    • /
    • 2010
  • Various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by Acetobacter aceti B20 strain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o optimize the fermentative production of acetic acid. The effects of the initial ethanol concentration on growth and acid productivity in a flask and fermentor were also studied. The growth of A. aceti B20 strain was inhibited as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increased. However, the highest total acidity and fermentation yield were 5.34% and 56.1%, respectively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7% in the batch fermentation.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initial glucose influenced the growth rate of B20 strain, it did not influence the total acidity in the flask culture. When the agitation speed increased, the growth, total acidity and fermentation yield were all improved. In fed-batch fermentation, total acidities and fermentation yields were 7.14-8.76% and 39.1-53.0%, respectively, and their values mostly depended on the feed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