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육분포

검색결과 902건 처리시간 0.027초

최근 6년간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기후지대별 농업기후지수의 분포 (Distribution of Agro-climatic Indices in Agro-climatic Zones of Northeast China Area between 2011 and 2016)

  • 정명표;박혜진;안중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2호
    • /
    • pp.641-645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의 22개 농업기후지대별로 유효적산온도(GDD), 무상기간(FFP) 작물생육 기간(GSL) 등 3가지 농업기후지수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업기후지수는 NASA의 MERRA-2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농업기후지수는 연도별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농업기후지대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DD는 지역별로 531.7-1650.6 도일의 범위를 보였으며, FFP는 141.5-241.7일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GSL은 125.1-217.9일의 공간적 분포를 보였다.

제주도 돼지풀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 양영환;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4
    • /
    • 2003
  •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8보) 섬유소자화세균의 혼합배양 (Studies on the Fermentative Utilization of Cellulosic Wastes (Part 8) Mixed Culture of Cellulose Assimilating Bacteria)

  • 윤한대;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1-57
    • /
    • 1978
  • 섬유소 자화세균의 분리 및 이용과정에서 혼합배양하므로써 균체증식이 향상 되었는데, 이러한 혼합배양에 따른 여러 가지 영향과 보조균을 동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ellulomona flavigena의 단독배양에서는 O.D.가 0.26이였으나, 보조균과 혼합배양하므로써 O.D.가 0.37로 증가하였다. 2) 보조균은 gliding motility가 있었으며, microcyst가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Sporocytophga 속과 일치하였다. 3) 혼합배양에서 생육최적 pH는 7.2 부근이 좋았으며, 최적온도는 3$0^{\circ}C$ 부근이었다. 4) 혼합배양에 있어서 두 균의 분포도는 10 : 1 정도로 Cellulomonas flavigena가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5) Cellulomonas flavigena의 growth factor로서 thiamine과 biotin을 요구하였으며, Sporocytophaga sp.는 vitamin 요구성이 없었다. 6) Cellulomonas flavigena의 단독배양액에서는 추적할 만한 glucose 량이 없었으나, 혼합배양에서는 glucose가 확인되었다. 7) Cellulomonas flavigena의 균체중 필수아미노산으로 valine, leucine, arginime이 비교적 많은 편이였다

  • PDF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검은별고사리(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관중과) (Unrecorded fern species from Korean flora: Thelypteris interrupta (Thelypteridaceae) and Dryopteris subexaltata (Dryopteridaceae))

  • 문명옥;김찬수;강영제;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1-489
    • /
    • 2002
  • 제주도의 수악계곡과 김녕리에 생육하는 검은별고사리[Thelypteris interrupta (Willd.) K. Iwats.] [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관중과]를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검은별고사리는 별고사리[T. acuminata (Houtt.) C. V. Morton]와 유사하지만 지하 줄기와 엽병 기부 및 포자의 색깔, 잎 이면의 선모의 유무, 포자낭군의 배열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계곡고사리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D. sparsa (D. Don) Kuntze, D. sabaei (Franch. & Sav.) C. Chr., D. yakusilvicola Sa. Kurata와 유사하지만 엽병 기부의 무성아의 유무, 우편의 선단부 모양, 포자낭군의 분포, 포막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백두산 자생 참돌꽃의 생육과 이용 I. 배양세포 유도와 유리아미 노산 조성 (Growth and Utility of Rhodiola sachalinensis in Baekdu Mountain I. Induction of Callus and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 오인숙;소상섭;허명자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48-152
    • /
    • 2004
  • 본 실험은 백두산 자생 참돌꽃의 발아조건과 종자, 유식물 및 뿌리유래 캘러스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뿌리로부터 캘러스 유도는 2,4-D 및 NA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유도되었다. 캘러스 형성율은 2,4-D 2.0 mg $L^{-1}$에 kinetin 1.0 mg $L^{-1}$ 혼용 처리구가 NAA 2.0 mg $L^{-1}$에 kinetin 1.0 mg $L^{-1}$ 혼용 처리구보다 캘러스 형성율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종자, 줄기, 뿌리 그리고 캘러스에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및 glycine 등의 25∼26종이 검출되었으며 종자, 줄기 그리고 뿌리부위에서는 lysine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으며 캘러스에서는 histidine이 높은 양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유리아미노산 분포는 lysine, histidine 및 arginine의 함량이 높아 참돌꽃 유식물 및 캘러스의 경우 염기성 아미노산의 분포가 높은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종자와 뿌리, 줄기에 비해 캘러스에서 신선중 g당 500∼l,000$\mu$mo1e정도 높아 우수한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는 참돌꽃의 성분을 배양세포를 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박과류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발생분포 및 분리병원균의 병원성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Monosporascus Root Rot and Pathogenicity of Monosporascus cannonballus on Cucurbitaceae Plants)

  • 허노열;류경열;현익화;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11-15
    • /
    • 2001
  • 최근 박과류 재배 주산단지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방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지역적인 발생분포와 발생소장을 조사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Monosporascus cannonballus 에 의한 검은점뿌리썩음병은 멜론, 참외, 수박 및 오이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생포장 수는 \\`97년 10개 포장에서 \\`98년 32개 포장으로 확대되었고, 발생지역은 김해, 진주, 남해, 광양, 광주, 여주, 이천 등이었다. 경남 남해 멜론 재배포장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생육중기까지는 발병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과실 성숙기에 급격히 발병이 증가하여 50%이상의 식물체 덩굴이 시들어 고사하였다. 시들은 증상을 나타내는 기주에서 M. cannonballus의 분리비율은 36.7%이었고,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도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물한천 시험관법에 의한 박과류 유묘에 대한 병원성은 접종후 7∼14일 사이에 대부분의 식물체가 시들고 21일후에는 뿌리에 자낭각이 형성되었다. 특히 오이품종 중에서 백봉과 은화는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한라산(漢拏山) 아고산지대(亞高山地帶)의 삼림군집구조(森林群集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 구상나무림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Mt. Halla - Abies koreana Forest -)

  • 김갑태;추갑철;백길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366-371
    • /
    • 1998
  • 한라산 북부 및 서부지역의 아고산지대(1,350-1,720m)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을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0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한라산 아고산지대의 삼림은 구성나무-주목나무-제주조릿대 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물참나무와 서어나무; 서어나무와 당단풍나무, 꽝꽝나무; 주목나무와 털진달래, 귀룽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구상나무와 물참나무; 구상나무와 당단풍나무; 제주조릿대와 산벚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11%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10-30cm 범위의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 PDF

녹두 식물체 부위별 Flavonoids 함량 변화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 김동관;천상욱;이경동;김정봉;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9-284
    • /
    • 2008
  • 녹두의 식물체 부위, 수확시기, 생육단계, 파종기 등에 따른 주요 flavonoids의 함량 차이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Vitexin과 isovitexin은 녹두 식물체 부위 중에서 종실에만 분포하고 잎, 엽병, 줄기, 뿌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녹두 종피에만 vitexin은 $52.1\;mg{\cdot}g^{-1}$, isovitexin은 $51.7\;mg{\cdot}g^{-1}$ 분포하고 자엽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녹두 조 적 만기 수확에 따른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4. 녹두 잎에 다량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분리 동정한 결과 rutin이었다. 5. Rutin함량은 녹두 잎, 엽병, 줄기 순으로 많고, 종실, 뿌리, 협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녹두 잎, 엽병, 줄기에 함유된 rutin은 3, 5, 7엽기 순으로 유묘기일수록 많았다.

한라산(山) 아고산지대(亞高山地帶) 구상나무림 군집구조(群集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1-167
    • /
    • 2007
  • 한라산 국립공원의 윗세오름(1,714m) 대피소를 중심으로 한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0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MIP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가 5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목이 16.2%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주목과 산개벚지나무, 화살나무; 사스레나무와 섬매발톱나무, 산벚나무; 산개벚지나무와 화살나무; 섬매발톱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4%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5-15cm 범위가 대부분을 차지하었다.

고추냉이 물재배시 묘크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ling and Division Nursery Stock Size on Growth and Yield in Water Culture Condition of Wasabia japonica Matsum)

  • 변학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5-381
    • /
    • 1997
  • 1. 소양댐의 수질을 조사, 분석하여 일본 주산지인 정강(靜岡)과 비교한 결과 pH는 비슷하고, 전기 전도도는 $0.03{\sim}0.2mmho/cm$ 안에 들어 재배에 적당한 조건이었다. 2. 소양댐 용수의 용존성분중 질소, 인산은 일본보다 약간 높고, K는 낮았다. 황은 높은 수준이었고, Mg는 매우 낮았다. 3. 분주묘의 초장 변화는 대묘에서는 이중 sigmoid, 중묘, 소묘는 S형 생장을 하였다. 4. 분주묘의 근경중 분포에서 40g이상의 개체는 대묘는 87%, 중묘는 80%, 소묘는 54%의 분포를 보였고, 상품 근경중은 대묘 723kg/10a, 중묘 639kg/10a 이었다. 5. 실생묘의 묘 크기별 초장 변화 곡선은 묘 크기에 상관없이 S형 생장을 나타냈다. 6. 실생묘의 묘 크기별 상품율은 대묘 60%, 중묘 13%, 소묘 20%, 상품근경중은 대묘 395kg/10a, 중묘 102kg, 소묘 160kg 이었다. 7. 고추냉이 주요 형질간 상관관계에서 초장은 엽병장, 엽장, 엽폭, 엽병중과 엽폭은 엽중, 엽병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근경중은 주경엽수, 근경장, 근경폭, 엽중, 총중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엽병중, 총근경중과도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