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육분포

검색결과 902건 처리시간 0.022초

다학제적 데이터 융합에 기초한 우박위험지도 (Hail Risk Map based on Multidisciplinary Data Fusion)

  • 김수현;이승재;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4-243
    • /
    • 2022
  • 우리나라에서 우박에 의한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의 경우 노지 작물과 재배 시설에 치명적인 손실을 입히고 있다. 이러한 우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주산지 분포와 작물 생육에 맞춤화 된 우박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박의 관측은 다른 기상 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자료도 시공간적으로 불균일성이 크며 산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박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우박 발생에 대한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자연과학적 자료인 기상청 목측자료와 사회과학적 자료인 신문기사 자료를 통합한 우박 관측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박위험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다학제적 우박 자료 융합을 통해 우박 자료의 공백기간과 공백지역에 대해서 보완이 될 수 있었다. 지역별 우박 발생 시기와 빈도 및 크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크기가 큰 우박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발생 시간은 상승기류가 잘 형성되는 오후 시간대에 주로 분포하였다. 강원, 경북, 충북 등 남한의 북동쪽과 일부 내륙 지역이 더 자주 발생하였고, 겨울에는 북쪽 해안과 일부 내륙 지역에 주로 싸락 우박이 발생하였다. 통합 자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우박 위험지도를 통해 1970~2018년 기간의 전국적인 발생 분포 특성과 극값들이 제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제작된 우박위험지도는 작물 재배적지 선정과 생육 관리에 다학제적인 응용기후 자료로서 도움을 줄 것이다.

담팔수깍지벌레의 충태별(蟲態別) 생육(生育) 특성(特性)과 수상분포양식(樹上分布樣式)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ango Shield Scale, 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 (Homoptera : Coccidae) on Elaeocarpus sylvestris (Lour.))

  • 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0-49
    • /
    • 1995
  • 담팔수짝지벌레(신청)는 자충(雌蟲)만이 존재하는 산자성 단위생식(單位生殖)을 하며 부화(孵化)한 유충(幼蟲)은 3령을 경과하여 성충(成蟲)이된다. 본(本) 짝지벌레는 1년(年)에 2세대(世代)경과하고 제(第) 1세대(世代) 분산유충(分散幼蟲)은 5월초순(月初旬)부터 6월중순(月中旬)까지, 제(第) 2세대(世代)는 8월상순(月上旬)부터 10월상순(月上旬)까지 발생하였으며 최성기는 발생초기에 나타났다. 1령(領) 분산유충(分散幼蟲)은 10시(時)부터 14시(時)사이에 가장 많이 성충체(成蟲體) 복부(腹部)로부터 이탈하였으며 분산한 1령유충(齡幼蟲)은 8시간(時間)이내에 90% 이상의 개체(個體)가 담팔수 잎에 정착하였다. 본(本) 종(種)은 담팔수 잎 양면(養面)에 주로 분포(分布)하였으며 수간별(樹間別)의 개체군(個體群) 밀도(密度)의 분포차(分布差)가 크게 나타났다. 성충기의 경우 수관하부(樹冠下部)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방향간(方向間)의 밀도차(密度差)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단위(葉單位)의 분포(分布)는 약한 colony성(性)을 갖는 집중분포형(集中分布型)으로 판명(判明)되었다.

  • PDF

곰보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Morchella esculenta)

  • 신성의;차월석;이동병;정길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6-130
    • /
    • 2004
  •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은 맛과 영양이 풍부한 버섯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버섯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곰보버섯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본 연구는 곰보버섯(자실체) 인공대량 생산방법 개발 및 심부배양을 통한 균사체 및 다당체 대량생산 공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shaking flask culture를 이용한 곰보버섯 균사체 배양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곰보버섯 균사체의 최적 배양온도는 $25^{\circ}C$이며, 최적 초기 pH는 6.5, 최적배지는 BG 이었다. BG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영양 요구성 실험을 한 결과 최적탄소원은 fructose이고 최적농도는 5.0% (w/v)이며 질소원 선발 및 최적농도에서는 peptone과 NH$_4$Cl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최대 균사체생육을 보였고, 상기의 두 질소원을 1:1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4.0% (w/v)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최대 균사생육을 보였다.

인삼(人蔘)의 생육(生育)과 양분조성(養分組成)에 대(對)한 질소형태(窒素形態)의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Panax Ginseng)

  • 박훈;조경식;최병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0-265
    • /
    • 1983
  • 인삼(人蔘)(3년근(年根))의 생육(生育)과 무기양분의 부위별(部位別) 분포(分布)를 네 농도의 질소형태 (황안, 뇨소, 질산칼슘)별로 사경(砂耕)조건에서 조사하였다. 형태에 관계없이 50ppm에서 지상부 및 근부생육이 최대였다. 질산태는 최대의 근중을 뇨소태는 최대의 지상부중을 보였다. 무질소구에서 엽폭이 켰다. 경장(莖長)과 경직경(莖直徑)의 비(比)는 질산태보다 암모니아태에서 적고 근동체부(根胴體部)의 장(長), 직경비(直徑比)는 이와 반대여서 지토부(地土部)와 근부(根部)의 장(長), 직경비(直徑比)는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다. 질소시용은 엽(葉)과 경(莖)에서 인산의 농도를 높인 반면 칼슘의 농도는 저하시켰다. 50ppm구에서는 모든 질소형태에서 무질소구에 비하여 잎으로의 P의 분배(分配)는 감소하였으며 Mg, Ca 및 N는 증가하였다.

  • PDF

파종기 이동에 따른 콩의 Isoflavone 함량 변화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ates)

  • 윤홍태;김욱한;이영호;서세정;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74-178
    • /
    • 2006
  • 본실험은 조생종인 하대두형 및 중국수집종 콩과 중숙${\sim}$만숙종의 국내 육성 종과의 isoflavone 함량변이를 비교하며, 파종기 이동 및 콩의 생육단계별 생육기간에 따른 isoflavone함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isoflavone함량은 파종기 이동에 관련 없이 국내 수집종이 하대두형 및 중국수집 종에 비하여 놓았으며, 하대 두형콩과 중국수집 종과 비슷한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파종기이동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파종기를 늦게 할수록 하대두형, 중국수집종 및 국내육성종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 이었다. 3. 콩의 개화기${\sim}$성숙기의 기간 및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isoflavone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부합되었다. 4. 콩의 isoflavone 함량은 입중이 무거울수록 함량이 낮아 졌으며, 상관계수는 4월${\sim}$5월 파종구에서 각각 -0.57, -0.51 및 -0.38로 분석되었다.

광학센서를 이용한 쌀 단백질 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grain protein contents in rice canopy from the active optical sensors)

  • 김이현;홍석영;이지민;임상규;곽한강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8-2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광학센서를 이용한 벼 군락의 질소수준별 생육단계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쌀 단백질함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질소의 경우 0, 7, 10, 13kg/10a등 4수준으로 범위를 두고 처리하여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2종의 능동형 광학(G)NDVI 센서를 이용하여 벼 군락의 반사특성을 측정하였고, 동시에 식물체의 생육량, 엽면적지수, 엽 질소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생육단계에 따른 식생지수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G)NDVI값은 이앙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다가 수잉기 전후로 수확기에 이르기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소 수준에 따른 식생지수 변화의 경우 무처리구를 제외하고는 처리수준별 G(NDVI)값이 큰 변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처리 수준에 따라 일정하게 식생지수 차이를 보였다. (G)NDVI값 과 엽질소 함량과의 시기별 상관분석 결과 유효분얼기, 유수형성기 보다는 출수기, 결실기에 엽 질소 함량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고, GNDVI값이 NDVI값보다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출수 후 쌀 단백질 함량과 엽 질소 함량과의 관계를 조사해보았는데 높은 정의 상관관계($r=0.96^{**}$)를 보였다. 출수기에서 수확기까지 자료를 이용한 각 시기별 G(NDVI)값과 쌀 단백질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GNDVI값을 이용한 수확기 쌀 단백질 함량 추정식($R^2=0.92$)을 작성하였고, 쌀 단백질 함량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해보았더니 1:1선에 근접하게 분포하였다($R^2=0.90$).

  • PDF

참깨의 생육 및 함유율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Level on the Growth and Oil Qual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서관석;조재성;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29
    • /
    • 1986
  • 참깨의 N, P, K 시비수준별 생육과 함유량, 지방산조성분포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질소배비(16k/10a)시용시 초장과, 주당삭수, 착삭부위장, 분지수등은 증가되나, 삭당입수와 종실중은 표준비(8k/10a)에서 가장 많았다. 2. 가리의 배비(18k/10a)시용시에는 지상부 생육과 등숙비율이 모두 높았으며, 인산 및 가리, 배비구(N 8, P$_2$O$_{5}$ 8, $K_2$O 18k/10a)에서는 표준비(N 8, P$_2$O$_{5}$ 4, $K_2$O 9k/10a)의 종실중 91kg보다 11% 증가되었다. 3. 엽의 무기성분중 N과 $K_2$O는 파종후 20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되는 경향으로 N과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함량은 증대되었다. 4. 시비수준별 함유량은 질소의 배비시용구(16k/10a)와의 P$_2$O$_{5}$ 표준시용구(4k /10a)에서 가장 많았으나, 가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지방산조성은 양질의 Oleic acid는 질소, 인산,가리의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Linoleic acid는 인산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시설고추 초형이 군락생산구조,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Types on Group Production Structure, Growth and Yield of Green Pepper (Capcicum annuum L.) in Greenhouse)

  • 전희;김경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6-91
    • /
    • 1997
  • 분지각을 기준으로 유인방법을 달리한 시설 고추 재배에서 군락내 수광태세와 초고별 기관분포로 살펴본 군락생산 구조 분석과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여 생육 전반적인 군락생산 구조는 흡광계수, 군락 모식도 측면에서 45$^{\circ}$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좋았다. 초장은 직립구에서 가장 컸으며 1차분지 이후의 평균 절간장은 45$^{\circ}$ 처리구가 가장 짧았으나 경경, 엽면적, 식물체 무게는 45$^{\circ}$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량은 45$^{\circ}$ 처리후 직립구>45$^{\circ}$ 처리구>직립구 순이었으나, 수확 과수는 45$^{\circ}$ 처리후 직립구>직립구>45$^{\circ}$ 처리구 순이었다.

  • PDF

식생매트가 국화 'Ford'의 발근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Mat-Types on the Rooting and Growth in Dendranthema grandiflorum 'Ford')

  • 남유경;이진희;정기령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5
    • /
    • 2011
  • 이 연구는 화단용 국화의 식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식생매트에 삽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매트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8가지 처리 조건의 매트에 Dendranthema grandiflorum 'Ford'를 삽목하고 난 후 50일 후 생육을 조사한 결과, 매트 내 뿌리 분포는 10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coir net(C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도 각각 29cm, 5.6g으로 동일 조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뿌리가 형성된 매트를 포장에 정식 40일 후 초장은 12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Jute net가 가장 좋았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C 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매트 내 뿌리 형성과 정식 후 삽수 길이별 생육은 길이 5cm인 삽수가 3과 8cm인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한반도 미기록 선류식물 I (Four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the Korean flora)

  • 윤영준;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6-191
    • /
    • 2010
  • 우리나라 미기록 선류식물 4종을 발견하였다. 미기록속인 Meteoriaceae (누운끈이끼과)의 오름끈이끼(Barbella flagellifera (Card.) Nog.)는 주로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제주도 서검은오름의 나무 등에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미기록종인 Lembophyllaceae (호랑꼬리이끼과)의 울릉잎맥호랑꼬리이끼(Isothecium hakkodense Besch.)는 I. subdiversiforme와 유사하지만 가지 잎의 모양과 익부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고, 울릉도 성인봉 부근의 바위에서 수백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Mniaceae (초롱이끼과)의 백무초롱이끼(Mnium orientale R. E. Wyatt, Odrzykoski & T. J. Kop.)는 M. heterophyllum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겹톱니의 유무, 세포의 크기면에서 구분이 가능하며, 경상남도 함양군 지리산 백무동계곡에서 채집되었다. Fissidentaceae (봉황이끼과)의 바위봉황이끼(Fissidens gardneri Mitt.)는 F. obscurirete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잎의 모양, 잎맥의 길이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전라남도 고흥군 팔령산 계곡의 바위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