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육분포

Search Result 9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of F$_1$ Hybrids, Their Restorers and Maintainers in Rice (벼 1대 잡종 품종들의 생장특성과 수량)

  • 김창국;이변우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9 no.3
    • /
    • pp.262-269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high yielding factors of F$_1$ hybrids in terms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canopy structure, nitrogen content and nitrogen profile in the canopy.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four hybrid rices showing different heterosis in grain yield and their parents. Varieties of Japonica were Reimei (maintainer), TP 681 and TP 1278(restorers), and F$_1$ (Reimei ms ${\times}$ TP 681, Reimei ms ${\times}$ TP 1278) hybrid rices. Those of Indica type were 1378 (maintainer), Milyang 46 and Suweon 287(restorers), and F$_1$ (1378 ms ${\times}$ Milyang 46, 1378 ms ${\times}$ Suweon 287) hybrid rices. High heterosis in F$_1$ hybrid rices were shown in panicles per hill and spikelets per panicle, being greatest in spikelets per panicle. Spikelets per square meter expressed even greater heterosis than those two yield components because of multiplicative effect of them. Heterosisof ripened concentration of leaf nitrogen and steeper gradient of leaf nitrogen in canopy strata but also better productive structure in favor of light interception seemed to have led to higher canopy photosynthesis of F$_1$ hybrids and subsequent higher partition of assimilates for leaf area expantion especially during vegetative growth stage. Higher dry matter production, resulting from these factors, during vegetative stage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greater number of spikelets per square meter, and consequently to higher grain yield in F$_1$ hybrids.

  • PDF

희귀식물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et)의 자생지 분포현황 및 생육상황

  • Kim, Ji-Eun;Kang, Young-Je;Kim, Jin;Byun, Kwang-Ok;Kim, Chan-So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69-69
    • /
    • 2002
  •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et)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드물게 교목으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식물이다. 이 종의 주요 분포대는 동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로 제주도는 위도 상 북한계로 알려져 환경부 지정 보호식물 제 39호로 지정\ulcorner보호하고 있으나 자생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지의 현황과 생육상황을 파악하여 자생지 보전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갈매나무과는 세계적으로 58속 900여종이 분포하고, 갈매나무속(Genus Rhamnus), 헛개나무속(Genus Hovenia), 대추속(Genus Zyzyphus) 등이 주요 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갯대추속(Genus Paliurus)은 과실이 건과이고 날개가 있는 특징으로 다른 속과 구별된다. 꽃은 양성화로 7월~9월에 피고, 화서는 수 개의 꽃이 달리는 취산화서, 열매는 반구형으로 과병에 연한 갈색의 복모가 있으며 얕게 3부분으로 갈라져 각 실마다 편평한 공모양의 종자가 1개씩 들어있다. 갯대추 자생지는 제주도의 동부지역인 북제주군 구좌읍 김녕에 1개소, 남부지역인 남제주군 남원읍 태흥에 1개소, 서부지역인 북제주군 한경면 용당에 1개소, 한경면 용수에 1개소, 한경면 신창에 3개소 및 남제주군 대정읍 일과에 2개소 등 총 6지역 9개소였다. 분포지는 해발 20m이하의 해안가 토심이 얕은 암반 위였으며, 주로 해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이었다.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바다 쪽으로 갈수록 수고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소 0.3m, 최대 4.5m였고 평균 1.6m 정도였다. 수반종으로는 순비기나무와 갯기름나물, 갯까치수영 등 해안식생의 구성종이 대부분이었으며, 돌가시나무, 상동나무 등도 혼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생지 위협요인으로는 양식장 시설, 도로개발, 해안매립 및 쓰레기 투기 등과 같은 인위적 간섭과 상동나무 등 주변식물의 피압이 주 요인이었다. 한편 갯대추는 희귀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해류에 의해 전파되는 종으로 알려져 있어 제주도의 식물지리학적 연구에도 좋은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종 보전대책 및 자생지 보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n Unrecorded Alien Species in Korea: Lactuca saligna L. (Compositae), Melilotus indicus (L.) All. (Leguminosae), Hainardia cylindrica (Willd.) Greuter (Poaceae)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가는잎가시상추, 좀전동싸리, 나도뿔이삭풀)

  • Ryu, Taebok;Lee, Seungeun;Kim, Namyoung;Lee, JungHyo;Kim, Deokki;Choi, DongHu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50-50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생육이 확인된 미기록 외래식물을 보고하고 그 특성을 기술하고자 한다. 가는잎가시상추(Lactuca saligna)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 10~65cm에 까지 자란다. 줄기에 난 잎은 피침형, 좁은피침형이며, 기부는 이저(耳底), 줄기를 반쯤 감싼다. 유라시아원산으로 지중해, 유럽온대까지 넓은 생육범위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부산, 울산 해안가 주변 공터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부산, 울산 해안가 저지대를 중심으로 신속한 분포확산이 예상된다. 근연종인 가시상추의 국내 분포확산, 위해성 등을 고려할 때 가는잎가시상추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좀전동싸리(Melilotus indicus)는 해안 초지에 생육하는 일년초이며 높이 60cm까지 성장한다. 잎은 우상 3소엽, 소엽은 도란형~좁은도란형, 길이는 1~2.5cm이며 거치가 있다. 좀전동싸리는 국내생육하는 전동싸리와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성을 보인다. 좀전동싸리는 꽃의 길이 2~3mm 개화기는 4~5월이며, 전동싸리는 꽃의 길이 4~7mm 개화기는 7~11월로 차이를 보인다. 지중해, 유럽 남서부 원산으로 전세계적으로 온대 전역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일대 해안가 저지대 공터 및 초지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넓은 면적에서 분포하며 제주도에 정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나도뿔이삭풀은(Hainardia cylindrica) 해안 초지에 생육하는 일년초이며 높이 5~35cm까지 성장한다. 수상화서는 25cm에 이르며, 쇠뿔모양으로 단단하다. 소수는 화서 중축에 파인곳을 메우고 있으며, 길이 5~8mm 1개의 소화를 포함한다. 초형은 혁질이며 예두이다. 남아메리카원산으로 북아메리카, 호주 일본 등에 귀화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신리 해안가 일대 공터 및 초지에 생육이 확인되었다. 나도뿔이삭풀속 Hainardia 은 국내 처음 보고되는 속이며, 뿔이삭풀과 유사한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국명을 신칭하였다.

  • PDF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Eurya japonica Thunb.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사스레피나무의 생육지 예측과 영향 평가)

  • Yun, Jong-Hak;Park, Jeong Soo;Choi, Jong-Yun;Nakao, Katsuhir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291-302
    • /
    • 2017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limat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Eurya japonica, and the potential habitats (PHs)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Four climate factors; the warmth index (WI),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summer precipitation (PRS), and winter precipitaion (PRW) :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Seventeen general circulation models under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scenarios were used as future climate scenarios for the 2050s (2040~2069) and 2080s (2070~2099). Highly accurate SDMs were obtained for E. japonica. The model of distribution for E. japonica constructed by SDMs showed that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is a major climate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E. japonica. The area above the $-5.7^{\circ}C$ of TMC revealed high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E. japonica. Future PHs for E. japonica were projected to increase respectively by 2.5 times, 3.4 times of current PHs under 2050s and 2080s. It is expected that the potential of E. japonica habitats is expanded gradually. E. japonica is applicable as indicator species for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E. japonica is necessary to be monitored of potential habitats.

Potential Habitats and Change Prediction of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in Korea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후박나무의 잠재 생육지 및 변화예측)

  • Yun, Jong-Hak;Nakao, Katsuhiro;Park, Chan-Ho;Lee, Byoung-Y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6
    • /
    • pp.903-910
    • /
    • 2011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limat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Machilus thunbergii, and the potential habitats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 by using classification tree (CT) model. Four climate factors;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the warmth index (WI), summer precipitation (PRS), and winter precipition (PRW) :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The model of distribution for Machilus thunbergii (Mth-model) constructed by CT analysis showed that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is a major climate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M. thunbergii. The area above the $-3.3^{\circ}C$ of TMC revealed high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M. thunbergii. Potential habitats was predicted $9,326km^2$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61,074{\sim}67,402km^2$(South Korea: $58,419{\sim}61,137km^2$, North Korea: $2,655{\sim}6,542km^2$) under the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s (CCCMA-A2, CSIRO-A2, HADCM3-A2). The Potential habitats was to predicted increase by 51~56%(South Korea: 49~51%, North Korea: 2~5%) under the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potential expand of M. thunbergii habitats has been expected that it is competitive with warm-temperate deciduous broadleaf forest. M. thunbergii is evaluated as the indicator of climate change in Korea and it is necessary for M. thunbergii to monitor of potential habitats.

Estimation of Possible Growing Area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Environment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황칠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생육가능지역 추정)

  • Chun, Young-Moon;Lee, Eun-Hye;Lee, Jae-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8 no.1
    • /
    • pp.30-39
    • /
    • 2010
  • We researched community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Dendropanax morbifera populations distributed in Goheung, Haenam, Wando (I.), and Bogildo (I.) at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Our research was also estimated possible area for growth of Dendropanax morbifera by analyzing meteorological factors of the habitat thereof. Dendropanax morbifera community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group and Carpinus laxiflora group by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 Broad-leaved evergreens showed high dominance value in view of rNCD in Dendropanax morbifera community as follows: Camellia japonica (100.0), Quercus acuta (88.6),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55.8), Dendropanax morbifera Lev. (41.4),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23.8), Eurya japonica (19.9) and Ligustrum japonicum (11.5).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94.2% of Carpinus laxiflora group consisted of sapling and small size class that are less than 5 cm in DBH while 54.2%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group did. The soil environment of habitat showed low soil acidity, good organic matter and water content, and good drainage. The distribution area of Dendropanax morifera habitat had $13^{\circ}C$ or more in annual mean temperature, $7.4^{\circ}C$ or more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100^{\circ}C$ month or more in warmth index, and approximately 1,344 mm in mean annual precipitation. Dendropanax morifera habitat corresponded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located in islands and coast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ern limit line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was determined as Gunsan-Jeongeup-Gwangju-Jinju-Pohang-Youngdeok line based on $13^{\circ}C$ in annual mean temperature that was confirmed in natural habitat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ive Conifers in Korea (국내 자생 구과식물의 분포 및 특성)

  • Jong Cheol Y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지리적 분포가 한정적인 한반도 구과식물들은 점점 서식지 내 생육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구과식물의 지속이용가능한 보전을 위해서는 각 종별 형질 특성 및 분포, 생육정보 등의 기초정보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구과식물(Pinidae, Conifers)은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Gymnosperms)의 3/5정도인 630여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rjon, 2008).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하고, 잎은 대부분 바늘형으로 단순하며, 상록성인 특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 분포 및 식재되고 있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이 구과식물에 속한다. 구과식물이 전 세계적으로 넓은 분포역을 갖지만, 종별로는 제한적인 분포를 갖는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과식물 대부분도 동북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종들이 대다수이다. 한반도 구과식물은 총 5과 12속 23종 5변종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과는 5속 12분류군으로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중복형질이 확인되었으며, 측백나무과는 3속 9분류군으로 눈향나무를 변종에서 종 수준으로 적용하였고, 어청도에서 해변노간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개비자나무과는 1속 3분류군으로 수형에 따라 큰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로 구분하였다. 주목과는 비자나무속을 포함하여 2속 3분류군으로 설악눈주목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나한송과는 1속 1분류군으로 신안군 가거도에서 나한송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구분형질이 모호함에 따라 집단별 유전정보 분석을 통한 계통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는 빙하기에 북부지역의 조상종이 남하하여 분화되고, 후빙기에 중부지역까지 분포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