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식세포

Search Result 1,0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Complex Cell Cycle Occurring in the Rodent Testis by Laser Scanning Cytometer

  • 박미령;주학진;천영신;이미숙;김진회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37-37
    • /
    • 2001
  • 포유동물의 정자형성과정 (spermatogenesis) 은 유사분열과 감수분열이 동시에 일어나는 매우 복잡하지만, 효율적으로 생식세포를 증식, 분화시키는 시스템이다 정상적인 spermatogenesis가 일어나는 testis에서는 haploid (IN), diploid (2N), 그리고 tetraploid(4N)과 같은 핵형을 갖는 세포들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한다. DNA flow cytometry(DNA FCM) 는 세포의 핵형(ploidy)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하여, 1N, 2N 그리고 4N에 대한 비율을 예측할 수 있어서, 생식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주기를 분석하는데 적용되어져 왔다. 세포주기 분석법 중 이와 같은 FCM이외에, flow cytometer와 static image cytometer를 결합시켜 새롭게 고안된 laser scanning cytometer (LSC)가 있다. 그리고, 이제까지 LSC를 사용한 spermatogenesis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실험은 설치류에 있어 각기 다른 발달단계에 있는 정상적인 정소세포를 분리하여 PI (propidium iodide) 로 DNA를 염색한 후, DNA함량을 LSC로 분석하였다. 이것을 FCM에 의한 정소세포의 DNA분석과 비교·검토하였으며, 이 방법을 정상적인 spermatogenesis 가 일어나지 않는 동물시스템에 적용시켰다. 생식세포를 소멸시키기 위해 항암제인 busulfan과 비타민 A를 결핍시켜 이것이 세포주기의 어떤 시점에서 어떻게 작용하여, 생식세포를 소멸시키는지 알아보았다. 위의 실험·분석결과로부터 LSC를 사용한 DNA함량과 핵형의 결정은 FCM과 동일한 수준의 정확성을 제시하였다. busulfan 또는 비타민 A의 결손은 살아있는 세포의 80% 이상이 2N의 핵형에 해당하는 G0/G1 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N:2N 및 4N:2N의 핵형비율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자극은 생식세포주기제어에 관여하며, 생식세포가 증폭하고 분화로 들어가는 단계를 차단, G0/G1 기에서 정체(arrest)되는 것으로 시사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poptosis in Porcine Primordial Germ Cells In Vitro (체외 돼지 원시 생식세포의 Apoptosis 특성 규명)

  • Lee, C.K.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4 no.4
    • /
    • pp.385-394
    • /
    • 2000
  • When porcine primordial germ cells (PGCs) isolated from the genital ridge and placed in culture to establish EG cells, a large proportion of PGCs are lost during the early period of culture. To characterize the in vitro death of porcine PGCs, PGCs were cultured in suspension, and apoptosis analyzed using a fluorescent activated cell sorter-based DNA fragmentation assay. The results from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ed an increase in apoptosis in cultured cells. However, the cells isolated from the genital ridges are a mixture of PGCs and somatic cells. To detect apoptotic signals specific from porcine PGCs, quantitative TUNEL assay was performed at different time of culture (0 ∼ 24 h). The proportion of apoptotic porcine PGCs determined by double staining with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in situ TUNEL assay increased as the time of culture progressed and continued at least 24 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ne of the causes of loss of porcine PGCs in vitro is apoptosis.

  • PDF

Studies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esis of the Granulated Ark, Tegillarca granosa (Linnee) (꼬막, Tegillarca granosa ( Linne ) 의 생식소발달 및 생식세포형성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1
    • /
    • pp.55-64
    • /
    • 1997
  • 꼬막, Tegillarca granosa은 우리나라 남해 및 서해안 일대에서 서식하는 중요한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1995년 2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전남 벌교연안에서 채집한 꼬막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1. 꼬막은 자웅이체이면서 난생이고,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족부의 근육층까지 분포한다.2. 미분화간층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초기 활성기의 소낭에 풍부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완숙기에는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공급하는 영향세포로 생각된다.3.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방출기, 방출 및 비활성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방란 및 방정은 수온 2$0^{\circ}C$정도되는 6월하순부터 시작되고, 주산란시기는 수온이 23-24$^{\circ}C$정도 되는 7-8월이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textrm{m}$이다.5. 비활성기는 9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지속되는 비교적 긴 기간이며, 초기 활성기도 비교적 길어 1월에서 5월까지 지속되는 반면, 후기활성, 완숙 및 방출기는 비교적 짧아, 5월에서 8월까지 모두 완료된다.6. 비만도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의 발달, 생식주기 및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 사용된 재료 433개체 중 1개체가 자웅동체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 Meretrix Iusoria (백합, Meretrix I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u-Ha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2
    • /
    • pp.131-141
    • /
    • 1997
  • 전북 김제시 심포에서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합은 자웅이체이고 난생을 하며,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의 하부로부터 족부의 근육부근까지 분포하며, 성숙되면 팽대되지만 방란, 방정 후에는 위축된다. 생식소는 많은 난자형성여포들과 정자형셩여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에는 호산성 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영양물질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소실된다. 초기활성기의 난원세포는 직경 10$\mu\textrm{m}$ 내외이며, 초기 난모세포는 난병을 여포벽에 부착한 채 성장을 하여 70$\mu\textrm{m}$ 내외의 완숙란으로 된다. 정원세포가 성장을 하여 정보세포, 정세포를 거쳐 변태를 마친 정자는, 정자형성소낭의 중앙 내강에 정자속을 형성한다.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생식세포가 퇴화 흡수되면서 비활성기를 지나 이듬해 수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발달을 시작한다. 생식주기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기 활성기(1-3월), 후기 활성디 (2-5월), 완숙기(4-8월), 부분 방출기(6-9월), 퇴화 및 비활성기(9-2월)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은 6월 (22$^{\circ}C$)부터 9월 ($25^{\circ}C$)까지 지속되지만, 산란성기는 7월(27$^{\circ}C$)-8월(28$^{\circ}C$)이다. 생식소지수는 1월에 0.58을 나타내며 5월에 4.60으로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는 1.0미만에 머무른다.

  • PDF

Fine Structural Study of Coelomic Solitary Spermatogenesis in Urechis unicinctus (개불 (Urechis unicinctus) 체강에서의 단위집단 정자형성(Solitary Spermatogenesis)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

  • Shin, Kil-Sang;Kim, Wan-Jong
    • Applied Microscopy
    • /
    • v.32 no.2
    • /
    • pp.107-119
    • /
    • 2002
  • Early spermatocytes of U. unicinctus are found in cluster floating in the coelomic fluid. The spermatocytes in a cluster form a syncytium or cytoplasmic mass, but there are no indications that the cytoplasmic mass is a component of a somatic cell. This work suggested that this type of spermatogenesis can be subordinated to solitary spermatogenesis in the sense exclud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support of a somatic cell for sperm developments. The solitary spermatogenesis in U. unicinctus is different in appearances and developmental details of sperm organelles and stage distributions from that of localized spermatogenesis. The acrosomal rudiments and centrioles can be observed in the early single cells of spermatogonia and clearly disclosed in the primary spermatocyte. In the stage of secondary spermatocyte, the acrosomal precursor and the centrioles begin to move to each cytoplasmic poles. The polarities of the organelles are attained at stage of spermatids. The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are arranged circumferentially along the cytoplasmic mass in which some amorphological cytoplasmic components are included. The spermatids reveal to be detached from the cytoplasmic mass into coelomic fluid. It suggests that the spermatogenesis are progressed in support of coelomic fluid, and the fact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spermatogenic cells can be in vitro cultured without somatic cells and with supplements of coelomic fluid.

Extragonadal Intraabdominal Mixed Germ Cell Tumor with Liver Metastasis: Successful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성선 외 혼합 생식세포종양: 성공적인 치료 및 장기간 추적관찰)

  • Park, Jinyoung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v.19 no.1
    • /
    • pp.25-31
    • /
    • 2013
  • 성선 외 생식세포종양은 비교적 드물어 모든 생식세포종양의 5% 미만을 차지한다. 주로 천미부생식세포종양이 골반부나 후복막으로 확장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후복막이나 복강 내에 발생하는 생식세포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는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된 여아에서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혼합 생식세포종양을 치료하였다. 복부 초음파 및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복부 좌상사분역에 석회화, 고형 및 지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낭성 종괴와 간에 1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다. 종괴는 개복 후 제거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대부분의 내배엽동 종양과 적은 성숙 기형종으로 구성된 혼합 생식세포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간의 전이병변도 동일하게 진단되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현재 수술 후 10년이 경과하였으나 재발의 소견은 없다.

Isolation and Culture of Mouse Primordial Germ Cells (생쥐 원시생식세포의 분리와 체외배양)

  • Lee, H.;Kim, S. U.;Kim, J. S.;Byun, T. H.;Lee, S. H.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9 no.3
    • /
    • pp.255-260
    • /
    • 1994
  • 원시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 PGC)는 성성숙 이후에 기능을 갖는 생식세포의 근원이 되는 세포로서, 다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chimera 및 유전자 변환동물 생산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 온 배아주(embrynic stem; ES)세포를 대신할 다른 세포계라고 생각되어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은 체외배양을 통하여 원시생식세포의 증식과 확립을 위해 배양조건을 구명하고, 또한 성장인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원시생식세포는 12.5일째의 ICR 생쥐태아의 원시생식선 융기조직으로부터 추출하였으며, DMEM + 20% FCS + nucleosides + antibiotics로 조성된 s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mitomycin C로 전처리한 되먹임세포단층(feeder layer)위에서 체외배양하였다. bFGF 및 LIF를 20, 40ng/ml농도로 각각 또는 함께 첨가하여 성장인자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원시생식세포는 성에 따라 유의적인 colony 형성율을 보였고(♂:1.9 colonies / genital ridge, ♀:1.3 colonies / genital ridge), bFGF 및 LIF의 첨가 및 첨가농도에 따라서도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0.3~1.9 colonies / genital riege). 그러나 3회 이상 계대배양을 할 경우, 원시생식세포의 colony를 4% prarformaldehyde로 20분간 고정한 후, tris-maleate buffer(pH 9.0)로 10분간 3회 세정하였다. Fast Red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colony가 염색반응을 보여 다능성을 갖는 원시생식세포의 colony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colony가 3회 이상의 계대배양시 생종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또 다른 미지의 성장인자나 보다 적절한 배양조건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 PDF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 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3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Ultrastructure and Role of Somatic Cells in Macrobrachium nipponense Testis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정소 구성세포의 미세구조와 기능)

  • KIM Dae-Hyun;KANG Jung-Ha;HAN Chang-He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5
    • /
    • pp.403-407
    • /
    • 2000
  • Ultrastructure and function of testis somatic cells in freshwater prawns Macrobrachium nipponense were studied. The paired testes of the prawn were elongated, united at their anterior end, which lay between the dorsal surface of the hepatopancreas and the heart. Each testis consisted of a large number of seminiferous cords compactly held together by connective tissue. A seminiferous cord was composed of an outer layer of simple squamous epithelium, a basement membrane, the closely packed germ cells and sustentacular cells of the germinal ridge, and an inner layer of simple cuboidal epithelial cells. Leydig cell-like cells in an angular areas filling the space of the seminiferous cords were observed. The nuclei of leydig cell-lik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a distinct nucleolus. The simple squamous epithelial layer was composed of flattened cells tying on a basement membrane. The nuclei of the flattened cells were often overlapped in a layer, and the cytoplasm of the cells was observed just near the nuclei. The sustentacular cells were complex in morphology. These cells had relatively small cell bodies from which long cytoplasmic extensions ramified reached the space of germ cells in the germinal ridge. The nuclei of sustentacular cells usually exhibited angular profiles and located most commonly at the periphery of the cords. Cells of simple cuboidal epithelium located between germinal ridge and lumen of seminiferous cord, and part of the cells were adjacent to basal lamina, The cuboidal epithelial cells contained numerous mitochondria, the well-developed rER, the well-developed Golgi complex, and irregularly shaped nuclei. Transition vesicles appeared on the cis side of the Golgi complex. The large vesicles on the trans side of the complex appeared to fuse to form a membrane-bound structure. A number of pits on the cell apex suggested exocytotic activity for secretion of the sperm supporting matrix.

  • PDF

Depletion Effects of Chick Germinal Crescent's Primordial Germ Cells by Heat Activated Busulfan Injection (닭 생식반월의 Busulfan 가온 주입방법에 의한 원시생식세포 제거 효과)

  • Jeong, Dong-Kee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1 no.3
    • /
    • pp.219-22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optimistic primordial germ cells'(PGCs) migration activity using heat activated busulfan treatment for the increasing germline chimerism. Donar PGCs viability tests of important conditions for useful germ line chimerism indicated approximately $70{\sim}80%$ viability was time dependent. Transplantation experiments of PGCs into recipient embryos after busulfun treatment, showed the treatment group having 23.5% viability. By comparison, the control group showed 4.8% viability. The 96 hour treatment group and the 118 hour treatment group of the cultured PGCs showed high migration activity. Generally, the transplantation method would consider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transplant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busulfan on migration activity showed viability highest at 53.4% after 48-hour incubation time. However, a previous study showed the best condition for transplantation time to be prior to the 48-hour incubation period, when the chicken embryo does not yet have a developed blood vessel system. In conclusion, an important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 transgenic chicken is that most donor PGCs migrate into the recipient embryo without any inhibitory factor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perhaps by using this modified method of transplantation, it can produce a more efficient chimeric germ line, transgenic chick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