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성환경

Search Result 7,21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Bayesian Inference of Behavior Network for Perceiving Moving Objects and Generating Behaviors of Agent (에이전트의 움직이는 물체 인지와 행동 생성을 위한 행동 네트워크의 베이지안 추론)

  • 민현정;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6-4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실제환경에서와 같이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에이전트의 인지와 자동 행동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에이전트의 지능제어 방법은 환경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한다는 제약 때문에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에 적응할 수 없었다. 최근, 미리 알려지지 않은 환경에서 자동으로 행동을 생성할 수 있는 센서와 행동을 연결하는 행동 기반의 방법과 추론, 학습 및 계획 기능의 부여를 위한 하이브리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으로 움직이는 장애물을 인지하고 피할 수 있는 행동을 생성하기 위해 행동 네트워크에 Bayesian 네트워크를 결합한 방법을 제안한다. 행동 네트워크는 입력된 센서 정보와 미리 정의된 목적 정보를 가지고 다음에 수행할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행동을 선택한다. 그리고 Bayesian 네트워크는 센서 정보들로부터 상황을 미리 추론하고 이 확률 값을 행동 네트워크의 가중치로 주어 행동 선택을 조정하도록 한다. 로봇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행동 네트워크와 Bayesian 네트워크의 결합 방법으로 움직이는 장애물을 피하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Generation of 3D Environment Model From a Single Image (한 장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환경 모델의 생성)

  • 류승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96-699
    • /
    • 2004
  • 본 논문은 현실감 있는 영상 기반 환경 모델의 생성을 위해 영상 분할 기반 환경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을 환경 특성에 따라 바닥면, 천정(하늘), 주변 물체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바닥면이나 천정을 참조 평면으로 설정하고 주변 물체들의 깊이값을 계산함으로써 상세한 환경 모델을 얻을 수 있다. 영상 분할 환경 모델링 방법은 환경 맵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환경의 특성에 따른 깊이값 추출 방법으로 손쉽게 환경 모델링이 가능하다. 또한, 시점이 이동되고 시차를 갖는 환경의 표현이 가능하다.

  • PDF

Implementation of Preprocessor for CSCM code by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환경을 이용한 CSCM 수치해석 코드에서의 전처리 과정 개발)

  • Ivanov Evgeny G.;Song Dong Joo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69-7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격자 생성, 초기유동조건 및 경계조건 설정 등 일련의 전처리 과정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개발하였다. MFC/Visual C++를 이용하여 개발된 전처리 프로그램은 Windows 계열의 OS와 호환이 가능하며, 기하학적 격자생성, 초기값 설정 및 수치해석 코드의 제어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전처리 과정을 격자생성(단일격자생성, 다중격자생성), 유체 물성치정의, 경계조건 생성, 초기조건 생성 및 코드제어로 구분하였다. 개발된 전처리 프로그램의 특성으로서 다중 격자 생성 작업을 단일 격자계의 중첩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각 경계면을 "interface"형을 취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전처리 과정을 16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Compression ramp 문제 및 축대칭 Bump 문제에 적용하여 개발된 전처리 과정을 검증하였다.

  • PDF

Nonphotorealistic Walkthrough Using 3D Environment Modeling (3차원 환경 모델링을 이용한 비사실적 탐색)

  • Ryoo, Seung-Tae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3
    • /
    • pp.1-8
    • /
    • 2004
  • 본 논문은 한 장 혹은 여러 장의 실세계의 사진 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영상 기반 모델링 방법 중 하나인 영상 분할 모델링 방법을 통해 환경을 3차원으로 모델링을 하고 주어진 실세계 사진 영상을 비사실적 렌더링하여 환경 탐색시 환경맵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비사실적 탐색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세밀한 3차원 환경 메쉬 모델을 생성하여 2차원 환경맵의 비사실적 랜더링 과정을 통해 비사실적 애니메이션 효과를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환경맵의 비사실적 렌더링을 통한 환경 매핑방법으로 각 프레임 간의 유사성을 유지하며 렌더링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자연스러운 비사실적 탐색 영상을 생성 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HDL Environment (VHDL 환경 설계 및 구현)

  • 김충석;표창우;원유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7 no.11
    • /
    • pp.1247-1263
    • /
    • 1992
  • VHDL, which is the IEEE standard HDL, has gradually become popular in the area of hardware design, the VHDL Environ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VHDL Support Environment and VHDL Using Environment. The VHDL Support Environment is composed of Analyzer, CDFG Generator for synthesis, Synthesizer, and VHDL Generator converting CDFG to VHDL. The VHDL Using Environment provides users with more convenient access to the VHDL Support Environment. The VHDL Using Environment allows accessing the tools in the VHDL Support Environment through Graphical User Interface. VHDL program can be automaticaly generated from schematics in the VHDL Using Environment.

  • PDF

An User-driven Service Creation Architecture in Consumer Networking Environments (소비자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주도 서비스의 효율적 생성)

  • Jung, Yuchul;Kim, Jin-Young;Lee, Hyejin;Kim, Kwang-Young;Suh, Dongj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6
    • /
    • pp.479-487
    • /
    • 2016
  • In a Web 2.0 context, users are exposed to numerous smart devices and services that allow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users (or consumers) and developers (or producers). For the provisioning of new user-created services based on user's context, the data management of service creation experiences becomes a non-trivial task. This article introduces a data model for service creation and then proposes a service creation management architecture which enables new service creation using the data model, the management of the service creation data, and the semantic service discovery across internal/external service repositories. The article also explains the use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with two different scenarios: home and mobile environments. The proposed architecture for service creation data management offers consistent and seamless handling of the service creation data throughout its usage lifecycle.

Generation and Combination of Rainfall Ensembl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인공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강우 앙상블 생성 및 조합)

  • Kim, Taereem;Shin, Ju-Young;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7-497
    • /
    • 2018
  • 복잡한 기상조건 하에서 강우의 예측은 수문 기상 분야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월 단위의 강우 예측은 장기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 수립 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예측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지구적 기후 변동의 양상을 수치화 하여 나타낼 수 있는 기상인자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모형을 기반으로 한 강우 예측이 수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적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높은 예측력을 바탕으로 강우 예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초기 가중치의 무작위성 또는 과적합으로 인한 문제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의 활용성을 높이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강우 예측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상인자를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을 위한 정보를 구축하고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생성되는 결과로부터 단일 예측이 아닌 앙상블 예측을 활용함으로써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고 조합하였다. 그 결과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한 단일 예측보다 앙상블을 통한 예측으로 안정적이고 정확한 예측 결과를 산정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한 예측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A Robot Coverage Algorithm Integrated with SLAM for Unknown Environments (미지의 환경에서 동작하는 SLAM 기반의 로봇 커버리지 알고리즘)

  • Park, Jung-Kyu;Jeon, Heung-Seok;Noh, Sam-H.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
    • /
    • pp.61-69
    • /
    • 2010
  • An autonomous robot must have a global workspace map in order to cover the complete workspace. However, most previous coverage algorithms assume that they have a grid workspace map that is to be covered before running the task. For this reason, most coverage algorithms can not be applied to complete coverage tasks in unknown environments. An autonomous robot has to build a workspace map by itself for complete coverage in unknown environments. Thus, we propose a new DmaxCoverage algorithm that allows a robot to carry out a complete coverage task in unknown environments. This algorithm integrates a SLAM algorithm for simultaneous workspace map building. Experimentally, we verify that DmaxCoverage algorithm is more efficient than previous algorithms.

Generating a Correct Environment Model for Reactive System (반응형 시스템을 위한 올바른 환경 모델의 생성)

  • Kwon, Ryoungkwo;Kwon, Gih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43-1546
    • /
    • 2012
  • 반응형 시스템은 외부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이다. 반응형 시스템이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서 상호 작용을 수행할 환경 모델을 구축 해야 한다. 환경 모델은 반응형 시스템에게 항상 올바른 입력들을 제공 해야만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입력들을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GR(1) Synthesis 는 수학적 정형 기법으로써 논리식으로 표현된 요구 사항을 보장할 수 있는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올바른 환경 모델을 생성하고 반응형 시스템에게 올바른 환경의 입력들을 자동으로 제공 함으로써 반응형 시스템의 행위가 올바른지를 환경 모델 상에서 검사하였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해 환경 모델을 이용한 검사가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rbitrary View Images Generation Using Panoramic-Based Image Morphing For Large-Scale Scenes (대규모 환경에서 파노라믹 기반 영상 모핑을 이용한 임의 시점의 영상 생성)

  • Jeong, Jang-Hyun;Joo, Myung-Ho;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85-188
    • /
    • 2005
  • 영상 기반 렌더링에서 평면에 투영된 사영 영상만을 가지고 3 차원 영상을 재구성 하는 여러 가지 모델링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4D Plenoptic Function 을 사용하는 Light Field Rendering 이나 Lumigraph 방법은 여러 개의 영상으로 새로운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세계에서의 항해를 가능하게 하고 2 차원의 정보만으로 3 차원 환경을 구성 할 수 있다. Concentric Mosaic, Plenoptic Stitching, Sea of Image 등은 Light Field 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 환경에서 항해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다. 특히 Takahashi 는 도시의 거리와 같은 대규모 환경에서의 항해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단일 경로를 따라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한 다음 Light Field 방법을 사용해서 새로운 시점의 영상을 생성한다. 하지만 대규모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범위는 매우 넓고 경로를 따라 조밀하게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고 영상획득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참조 영상의 네트워크 전송 시에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akahashi 의 방법을 기본으로 파노라마 영상 모핑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 시점 (Arbitrary View)의 영상을 렌더링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파노라마 영상의 획득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하면서 파노라마 영상 모핑 기법을 이용하여 중간 영상을 생성한 후 Takahashi 의 방법을 사용하여 임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적은 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비교적 좋은 임의 시점의 영상을 재구성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