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현장정보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6 seconds

Production data Management Technique for Automatic Production Line (FA 생산시스템의 정보자동화 기술)

  • 김성권;김영태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4
    • /
    • pp.285-293
    • /
    • 1995
  • FA 생산시스템에서 정보시스템의 필요성 및 그 활용효과에 대해 개념적으로 설명을 하고 FA와 CIM의 차이에 대해서 분석된 내용을 소개한다. 제조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 활용의 극대화를 통한 생산성향상방안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을 했다. 기존의 다양한 제조현장에 운영되고 있는 생산시스템의 CIMK 체제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삼성전자의 경우, CIM 체제 구축시 개발된 output을 활용하여 유사현장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CIMK체제 구축에 활용 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Downtime tracking for small-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y using shop floor monitoring (생산현장 모니터링을 이용한 중소 제조기업용 비가동 시간 수집 및 분석)

  • Lee, Jai-Kyung;Lee, Seung-Wo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4
    • /
    • pp.65-72
    • /
    • 2014
  •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company, the analysis of loss in shop floor has to be conducted and validated. This paper introduces the downtime tracking module using the pre-developed shop floo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To collect the downtime, it utilized shop floor monitoring information, user-registered downtime event, equipment diagnosis algorithm and operator's input. Also, it provided the user interface for the analysis of downtime. From the results of a pilot study, the usability of developed system was valida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duc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P.O.P Terminal (P.O.P 단말기를 이용한 생산통신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홍수열
    • KSCI Review
    • /
    • v.8 no.2
    • /
    • pp.51-57
    • /
    • 2001
  •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제조 업체의 전산 업무 관리가 매우 복잡해지고 있고, 전산 시스템이 급속히 변하며 환경이 복잡해지고 있으며. 전산에 입력해야 할 데이터들은 많아지고 있다 그래서 제조 업체의 근태 및 입출고 전표, 작업 일보 데이터를 사람이 일일이 입력하기엔 많은 전산 단말기와 용량이 큰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P.O.P(Point Of Production) 단말기를 이용한 생산통신관리 시스템은 제조 업체 현장에 P.O.P 단말기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입출고 및 생산 데이터를 생산 시점에서 입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A Model of Client-Server for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생산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 Song, Ki-Seok;Rim, Se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33-636
    • /
    • 2006
  • 오늘날 대부분의 중소제조업체들은 생상 공정의 불합리한 요소제거, 현장의 투명성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생산정보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경영자 및 작업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생산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제시한다.

  • PDF

Architecture design and information modeling for RFID-based u-Manufacturing infrastructure (u-Manufacturing 환경 구축을 위한 RFID 기반 생산 시스템 구조 설계 및 정보 모델링)

  • Yun Ju-Seong;Lee Sang-Hyeon;Seo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2-1289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에 즈음하여, 최근 생산 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제조기술의 접목을 통해 제조 현장의 혁신을 가능케 하는 u-Manufacturing 패러다임이 주목 받고 있다. u-Manufacturing 환경의 구축을 위해서는 국제적 협업 환경에서 제품 확장 수명 주기 상의 자유로운 정보 수집 활동과 더불어, 생산 현장과 상위 시스템 간의 실시간 정보 교환이 주요 이슈로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u-Manufacturing 패러다임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RFID 기술을 활용한 생산 시스템을 아래의 연구를 통해 제시한다: (1) 생산 현장에서 RFID 기술 활용 시나리오와 RFID 기반 생산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 (2) 이에 사용되는 정보를 국제 표준 규격(ISO 10303-239, ISO 15531 등)에 입각하여 모델링하고, (3) 프로토타입 구현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IoT/M2M를 적용한 스마트팩토리 표준화 동향과 시스템 구조

  • Cha, Seok-Ge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5
    • /
    • pp.36-41
    • /
    • 2015
  • 스마트 팩토리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생산현장의 생산정보 4M1E(Man, Machine, Material, Method, Energy)생산 자원을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생산 관리를 무대기시간, 무재고, 무고장, 무불량일 발생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ion)를 통하여 생산현장을 연속개선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제조업에 필요한 IT융합 국제표준화 동향으로 사이버 보안기술, Object Process Methodology기반 생산자원 통합기술, 실시간 이벤트기반 구조화 기술, 공통 생산정보화 플랫폼 서비스기술, 생산정보화 표준기능 및 국제표준동향과 한국형 중소제조업 스마트공장 적용 참조 모델에 대하여 알아본다.

Acquisition of Data of Equipments on Shop Floor Using Interface Between Various Equipments (다양한 생산 설비와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설비정보 수집)

  • Nam, So-Jeong;Lee, Jai-Kyung;Lee, Sung-Woo;Park, Jong-Kw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2
    • /
    • pp.149-156
    • /
    • 2011
  • There is much information of equipment in shop floor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re different as the equipment with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aried. To provide effective process information to MES and other production systems, the DAS requires an equipment monitoring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on the shop floor. In this study, we proposed some methods for collecting the required information about various equipments on a shop floor. The equipments such as CNC can be interfaced with the DAS by using a PLC-based method and a sensor-based interface board can be used to interface general equipments. The proposed methods can b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shop floor in real-time. Moreover these methods are very adaptive and can be easi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nges made to the shop floor. The information about a real shop floor acquired by employing these methods is saved in a database and the can be provided to a supervisor and MES so that they are aware of the status of the shop floor.

The Design and Implement of Program Simulator for testing PLC-based control systems (PLC 기반 제어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그램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 정민포;김규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63-65
    • /
    • 1999
  • 산업현장에서의 자동화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생산 현장의 제어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로 구성된다. PLC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의 자동화를 구축하는 기존의 방법론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현장의 자동화 구축 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이미 구축된 시스템에서 정밀한 테스트를 할 경우, 잘못된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제 현장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손상될 확률이 높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방법론에서 언급되는 문제점들을 프로그램의 컴포넌트(요소)로 개발하고 개선된 방법론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구현한다. 프로그램 시뮬레이터의 개발 효과는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자동차 ALC에 대응하는 Job Shop의 동기화 생산시스템에 관한 연구

  • 권보식;김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7.04a
    • /
    • pp.100-10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자동차산업이 직면한 총체적인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 안으로, 자동차 생산방식의 변혁, 인적자원관리의 혁신을 통한 생산성 제고, 독자 기술개발 능력의 조기확보, 효율적인 부품조달체제의 형성 등 산업전반에 걸친 혁신으로, 내적인 경 쟁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지역주의화의 진전에 따른 수출 여건의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선 진권 및 개발도상국으로의 현지화 노력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않으면 안될, 중대한 시점에 와 있다고 진단하면서, 본 연구의 목적을, 생산현장을 중심으로 한 내적 경쟁력 확보로 정 의하고, 그 실현방안으로서,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생산방식의 도입과, 이를 지원하는 생산정보시스템의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변화가 급격한 시장환경에 적극 대응하는 생산방식의 도입으로, 철저한 낭비 배제 사상 - 생산현장의 낭비 소요를 배제(개선)하는 것만이 아니라 배제하고 바로 체계를 바꾸어 (개혁)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을 기본으로, 정보, 관리, 생산, 제품, 물류 등에 관련된 손실 비 용을 감축시킴으로서 원가를 낮추고,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하고, 좋은 품질이 제품을 신속 히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이러한 낭비 배제 사상은 생산현장에서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만들고 운반하며 전달하는 관리 개선 등을 의미하며, 이것 을 적은 인원 및 설비로 최대한 빨리 (리드 타임의 단축), 계획대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동기화 생산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생산공정 중 주 조립공정의 ALC(Assembly Line Control)에 대응하여, 선행 공정으로서 부품을 공급하는 Job Shop의 동기화 생산방식을 실제 적용한 사례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두 번째의 접근방식은, 동 기화 생산방식에 컴퓨터 통합생산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기술을 구 현, 적용하는 것이다. 즉, 동기화 생산 시스템 (SPS, Syncronized Production Sytem)을 구 축하는 것인데, 이것은 최신의 컴퓨터 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생산방식의 혁신에 버금가는 기술혁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은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기초로 가능해진 것인데, 제조업에서의 심각한 고비용, 저효율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도입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또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로 인 하여 제품의 종류와 사양면에서 심한 변동을 보이는 시장 수요에, 신속한 정보처리로 대응 하는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Job Shop의 동기화 생산방식을 지원하는 동기화 생산시스템의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Point of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산시점관리시스템)

  • Seo, Jeong Min;Song, Jeo;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99-400
    • /
    • 2013
  • POP(Point of Production) 시스템은 제조현장에서 발생되는 생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현장의 보고 체계를 정형화 시켜준다. 또한 실시간 분석 정보를 통행 생산 이후의 과정(품질관리, 유통, 판매, 생산계획 등)을 기획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즉, 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생산 지휘 체계를 통제하는 운영 환경을 조성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이는 특힝 단위 공정의 생산량, 공정의 정확한 측정과 그에 따른 소요시간을 감축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S환경이 아닌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POP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