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성

Search Result 19,915,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 Study to find out the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보정계수 발굴을 위한 사례연구)

  • Yu, Jae-Hoon;Hwang, 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382-390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사업의 성패는 사업의 첫 관문인 소프트웨어 견적의 결과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확정가격 계약으로 수행되는 국내의 소프트웨어 사업 관행 하에서는 견적의 잘못이 회사의 존폐로 귀결되는 경우도 있다. 견적의 핵은 정확한 원가의 파악인데, 이를 위해서는 고객이 요구한 업무량과 개발자의 생산성을 정확히 아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문제는 고객의 요구를 사업 초기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개발자 자신의 생산성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의 부족으로 프로젝트의 특성 파악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한 생산성 보정계수의 적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본 사례는 삼성SDS가 금년도에 종료된 수십 여 개의 프로젝트로부터 수집한 생산성 영향인자들이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어느 정도나 미치는 지를 분석한 것이다. 본 분석을 통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식별할 수 있었고, 이들이 미치는 영향 정도를 바탕으로 견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파라메트릭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생산성 영향인자의 식별과 이들을 이용한 견적용 파라메트릭 모델의 개발 방법을 다루었다.

  • PDF

A Sut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system based on Web & OLAP (웹(Web) 및 OLAP 기반의 건설 생산성 분석 시스템 개발방안 연구)

  • Lee, Jeong-Dae;Kim, Sang-Bum;Kim, Yae-Sang;Kim,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306-311
    • /
    • 2007
  • Proper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one of the main drivers of project succes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system based on Web and OLAP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construction productivity. Throughout the research effort, a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system was modeled using IDEFO & ERD techniques and was deployed on the WWW(World Wide Web). Based on the system modeling, this research studies the methodology for system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that can consult the decision of managers on job site.

  • PDF

Impact of Fertilizer Subsidy Program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Ghana (가나 비료 보조금 제도의 농업 생산성 증대 효과에 대한 공간적 분석)

  • KUGBADZOR, James;JEONG, Jaewon;KIM, Seung 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3 no.3
    • /
    • pp.13-20
    • /
    • 2017
  • 본 연구는 가나의 비료 보조금 정책(Fertilizer subsidy program: FSP)의 농업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나의 군(district) 지역 수준의 농업 생산량 및 투입요소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여, FSP 도입 이전과 FSP 도입 이후의 농업 생산성을 계측하였다. 지역적으로 상이한 수준의 농업 생산성을 반영하기 위한 지리적가중회귀(GWR)모형을 사용하여 계측의 오류를 줄이고 공간이질성을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ArcMap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지도로 시각화 한 자료를 살펴보면, FSP 도입 이후 농업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지역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는 FSP의 지역적 할당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 가능하며, 국내 ODA 추진기관에서 농업 지도 및 지원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국내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 심민섭;하도연;김율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55-56
    • /
    • 2023
  •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과 인접한 배후공간으로 항만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국내 항만배후단지는 단순한 항만물류지원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프라 시설, 정책 및 지원,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하여 항만배후단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항만배후단지 업체별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항만배후단지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 분석결과 창고업의 경우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의 경우 인천항 북항, 울산항 1공구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규모별 생산성의 경우 광양항 서측, 평택당진항 1단계 항만배후단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투자규모별 생산성은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은 인천항 북항, 부산항 웅동 항만배후단지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취급품목이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외국인 투자규모, 시설 투자규모, 종업원 수가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 of Monascus sp. YH-69 for the Production of the Pigments (Monascus sp. YH-69의 분리동정과 색소의 생산)

  • 유춘발;진영호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8 no.1
    • /
    • pp.1-7
    • /
    • 1998
  • The mold YH-69 producing pigments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as Monascus sp.. For the production of the pigments from the mold, the best condition was observed with 6% rice powder with 200 mesh, 0.2% yeast extract, 0.3% ammonium sulfate, and 0.02% ZnSO4 at pH 5 and 30$\circ$ for 6 day with reciprocal shaking.

  • PDF

The Application of Data Warehouse for Develop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건설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적용)

  • Oh, Se-Wook;Kim, Myoung-Ho;Kim, Young-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2 s.30
    • /
    • pp.127-137
    • /
    • 2006
  • Productivity is important to evaluate an efficiency of performed work and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ductivity should be defined as activity level rather than macro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use productivity data and manage a proje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warehouse, OLAP and data mining technologies which enables to easily accumulat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and perform multi layer analysis.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ystem would be able to measure the result of project and make a plan of the similar project with reliability.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건설 생산성 예측 모델 개발)

  • Woo, Gi-Beom;Ahn, Jy-Sung;Oh, Se-Wook;Kim, 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13-818
    • /
    • 2007
  •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a key factor for efficiency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 process, 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basic data of work plan in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although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important in construction industry, gathering methodology and analyzing methodology of productivity data are not well-organized therefore productivity data is not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ductivity prediction system using data mining technology based on activities and to suggest frameworks about productivity data collection, accumulation.

  • PDF

A Decomposition Analysis of Energy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 Distance Function Approach (제조업 에너지 생산성 분해분석)

  • Kim, Kwang-Uk;Hwang, Seok-Jo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4 no.2
    • /
    • pp.411-433
    • /
    • 2015
  • This paper decomposed energy productivity changes across 14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into 5 components, technological catch-up(EC), technological progress(TC), and changes in labor-energy ratio(LC), capital-energy ratio(KC) and energy mix(EMC). Then we also figured out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productivity change and export growth rate across the industries. It is found that (1) technological progress, changes in capital-energy ratio and energy mix contribute to energy productivity growth in Korea during the sample period, (2) technological progress is the primary driving forces for energy productivity growth, (3) increase in export growth rate had a positive impact on energy productivity growth excepting a part of energy-intensive industries.

뽕밭의 생산성의 저해 환경요인과 대책

  • 이원주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5 no.2
    • /
    • pp.145-148
    • /
    • 1993
  • 생산성 저해 요인의 제거는 바로 생산성 향상으로 연결된다. 뽕밭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여러가지지만 그 중에서 토양의 이화학적 불량과 농약 공해가 비중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뽕밭은 입지가 경사지에 많으므로 토심이 얕은데 비해, 뽕나무는 영년성 심근성 작물이므로 식재후 근권의 물리성에 따라 생산성이 좌우되는 비중이 매우 크다. 그러나 식재후 토양 물리성 개량은 화학성 개량보다도 어려우므로 그 결과 생산성이 낮은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정기적인 심경이나 심토 파쇄를 통한 물리성 개량이 요망된다. 계속적인 금비위주의 비배관리에 의해 강산성 반응을 보이는 토양이 대부분이므로 석회에 의한 산성개량이 필요하다. 질소질의 과다시비는 수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엽질을 악화시키고 질산태 질소가 지하로 흘러 들어가 지하수의 오염을 일으켜 청색증과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심각한 정도로 축적된 인산과 칼리도 수량을 떨어뜨리고 환경을 해치는 원인이 되므로, 축적 양분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한다. 특히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고농도의 복합비료 위주의 비배관리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토양검정을 받아서 단비를 이용하여 적정한 시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생산성의 향상, 영농비의 절감, 공해의 유발을 억제하는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농약과 산업공해로부터 양잠의 보호를 위해서는 안전지대에 잠업의 단지화, 인근 농과와의 대화를 통해서 양잠에 안전한 농약을 사용토록 하는 한편, 연구분야에서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양잠농가를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의 수립이 요망되고 있다. 종합해서 말하자면 연구기관의 심도있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워져야 할 것이며, 농민은 개발된 새기술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갖고 활용하는 한편, 필요로 하는 기술을 연구기관에 개발을 요청할 정도의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또한 연구기관의 농민의 중간 교량역할을 하는 지도부문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요청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Development Productivity at The Macro Level (거시수준에서의 응용시스템 개발 생산성에 관한 연구)

  • 이선로;이종민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5 no.1
    • /
    • pp.39-50
    • /
    • 1998
  • 응용시스템 개발생산성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프로그래머의 생산성이라는 미시적 수준에 그치는 경향을 보여왔으며 시스템개발 생명주기의 전반적 영향에 중점을 둔 거시적 수준의 생산성의 개념으로 확대되지 못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수준의 응용시스템 개발생산성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성 측정치들을 검토하고 또 다양한 생산성 향상 방법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응용시스뎀 개발 백로그가 Nolan의 정보시스템의 확장 단계에 구분없이, 또한 기타의 컴퓨팅 활동들로 특징지워지는 다양한 정보기술 환경을 가진 조직들 내에서 널리 퍼져 있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에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거시적/관리적 차원의 접근이 응용시스템 개발생산성 향상을 통한 개발 백로그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일차적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의 정보시스템 관리자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미시적/기술적 차원의 접근방법에 주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거시적/관리적 차원의 접근방법과 도구의 사용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균형잡힌 정보관리정책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