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성제고효과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 for the investment on aircraft development (생산유발 및 생산성 제고 효과를 통한 항공기 개발 투자의 파급효과 분석)

  • Hong, Chang-Mok;Yi, Jae-Kyung;Lee, Tae-Hee;Kim, Do-Hy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5 no.4
    • /
    • pp.51-68
    • /
    • 2010
  • The article analyses economic effect of medium size aircraft development project. It 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induced production and increased productivity by the investment on the development project. The analysis shows around 5.2 trillion KRW induced production and 65 billion KRW productivity are expected, if 1.4 trillion KRW is invested as planned. The economic effects with the same size of investment across different manufacturing industries - shipbuilding, auto, general machinery and emiconductor - are also measured for comparison. The result reports ircraft anufacturing is positioned as middle in terms of induced production nd productivity nhancement. he results in this article support the investment, which has economic asibility as well as strategic and military importance as argued.

  • PDF

외국인투자기업(外國人投資企業)의 생산성효과(生産性效果) 분석(分析)

  • Kim, Seung-J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215-272
    • /
    • 1999
  •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외국인투자가 한국의 산업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실증연구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업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국인투자의 생산성효과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소유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높다. 둘째, 외국인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는 양(+)의 효과를 가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생산성 파급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우선 외국인투자기업이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를 전수할 능력을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외국인투자를 유치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인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 전수의 전제조건인 외국인투자기업의 기술 및 노하우 소유가 실제로 성립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외국인투자가 국내산업 전반의 효율성 제고로 이어지는 데는 아직 장애요인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경쟁규율이 확립되지 않았거나 기술파급을 위한 제도적 여건이 미비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책적인 시사점은 어떻게 기술파급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집중된다. 경쟁에서 낙오한 기업의 퇴출을 확실히 제도화함으로써 외국인투자의 경쟁압력이 기업의 효율성 증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각종 반경쟁적 관행 또는 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경쟁정책의 확립이 요구된다. 또한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산업입지정책의 효율화 등을 통해 외국인투자의 기술이전 및 확산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효과의 변동추이

  • Lee, Gi-Sang;Lee, Mu-Yeong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6
    • /
    • pp.57-81
    • /
    • 2003
  • 우리나라 항공기 산업은 아직도 발전의 초기단계로 크게 심한 해외의존성으로 인해 항공기산업 내부에서 공급되는 주요정밀 부품은 주로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등 여전히 취약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생산유발효과나 부가가치유발효과 등 산업연관효과를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낮은 연관효과로 인해 부가가치율의 크기는 크지 않지만, 영업잉여는 높은 불균형적 부가가치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항공기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투자가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어서 기술적, 산업적 측면에서 취약성을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안정적 생산물량의 확보, 기술자립도의 증가, 지속적인 인력 및 투자수준의 제고 등을 위한 효율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전략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발전의 추진방향은 기술자립도의 제고를 통한 대외의존성의 약화, 고부가가치화, 수요창출을 기반으로 하는 생산계획 수립, 제도완화 및 부서의 통합기능을 강조하는 정부개입 등의 방법에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기업민영화(公企業民營化)의 정책효과분석(政策效果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 Choe, Jong-W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1
    • /
    • pp.119-148
    • /
    • 1994
  • 본(本) 연구(硏究) 1960년대말 이후 1980년대초 기간중에 민영화(民營化)된 공기업(公企業)에 대하여 민영화(民營化)가 개별기업(個別企業)의 생산효율성(生産效率性)에 미친 효과를 회귀분석모형(回歸分析模型)에 의하여 추정하고, 추정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부의 바람직한 민영화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本) 연구(硏究)의 분석결과(分析結果), 공기업민영화(公企業民營化)는 대한통운, 대한항공, 대한재보험, 그리고 대한석유공사의 경우 개별기업의 생산효율성(生産效率性) 증진(增進)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나, 5대(大) 시중은행(市中銀行)의 경우 공기업민영화(公企業民營化)가 기업(企業)의 생산효율성(生産效率性) 제고에 미친 효과가 미미하여 통계적 신뢰성이 낮게 나타나거나 부정적(否定的)인 효과(效果)가 추정(推定)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分析結果)에 근거할 때, 기업민영화(公企業民營化)가 항상 기업(企業)의 생산효율성(生産效率性) 증가(增加)에 기여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믿음은 현실적안 근거가 부족하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그러한 믿음이 현실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민영화(民營化)가 바람직한 정책효과(政策效果)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공기업민영화시(公企業民營化時) 기업소유권(企業所有權)의 민간이전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경영권(經營權)의 이전이 수반되어야 하며, 민영화(民營化)와 더불어 정부(政府)의 각종 규제(規制)와 간섭(干涉)이 배제되어야 한다.

  • PDF

Analysis of Difference in Effect of Venture Certification and Innobiz Certification of Manufacturing Venture Enterprise (제조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인증과 이노비즈 인증의 효과 차이 분석)

  • You, Yen-Yoo;Roh, Jae-Wha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000-1023
    • /
    • 2011
  • The government adopts mainly three venture-supporting systems such as Venture Certification, InnoBiz Certification, and MainBiz Certific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policy effects of productive aspects and technical inefficiency aspects of Venture Certification and InnoBiz Certification using the data on 'The 2010 Actual Conditions of Venture Enterprise.' With the estimation of production functions, it is found that only 'financing and ease of investment' produc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s, the other effects of 'the venture certification' do not produce positive effect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venture certification policy' primarily reduces technical inefficiencies. The InnoBiz certification policy shows primarily insignificant effects in both sides of the production aspects and technical inefficiency aspects. However, the 'marketing ability effect' produce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ion and reduces the technical inefficiencies as well.

  • PDF

슈퍼컴퓨터의 국내도입 및 활용 현황

  • 양영규;김경옥
    • 전기의세계
    • /
    • v.38 no.7
    • /
    • pp.39-45
    • /
    • 1989
  • 반도체, 항공.우주, 신소재 등 첨단 산업기술 부문의 연구개발 고도화의 필요성에 효과적으로 부응하고 국내 기초과학 육성을 위하여 CRAY-2S가 설치되었다. 선진 각국의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지적소유권 보호가 강화됨에 따라 첨단기술의 도입이 점차 어려워지는 이때 학계와 연구소의 기초연구에 활용, 국내 연구 수준을 선진국 대열로 높이고, 국내 산업계의 신제품 개발 및 산업 생산성 증대에 활용하여 국산품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A study on Coordination of Marketing and Production Plan (판촉과 생산을 동시에 고려한 영업 및 생산계획에 관한 연구)

  • 김대현;성제훈;장태우;함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3-146
    • /
    • 2000
  • 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이 급변하면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조정하여 경쟁사보다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특히 기업의 영업과 생산 부문은 프로세스 통합, 조정의 필요성이 가장 큰 분야이면서 서로 판이한 전략 및 목표를 가짐으로 인해 가장 통합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그 이유는 영업 부문에서는 가격과 판촉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제고하면서 많은 판매 수입을 올리는 것이 목표라면 생산 부문은 생산성을 높이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정적인 판매 시즌을 가지는 상품에 대해서 동일 기업 내의 영업 부문과 생산 부문의 문제들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 의사 결정 정책을 제시하였다. 영업과 생산 부문의 의사 결정이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결정되는 순차적 모델과 영업과 생산 부문의 의사 결정이 동시에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통합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l-based Web DSS (모델기반 웹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박동진;황인극;김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781-786
    • /
    • 2000
  •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은 비ㆍ반구조적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각 단계 혹은 전과정에 걸쳐 의사결정자를 지원함으로써 의사결정의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이다(Scott Morton, M. S., 1971). 지금까지 많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제조생산, 금융,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개인 및 집단의 의사결정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Holsapple and Whinston, 1996).(중략)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ity Rate and Female Labor Supply on Economic Potential (출산율 및 여성고용 제고 정책이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 Ryu, Deock-Hy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1
    • /
    • pp.27-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licy boosting fertility and labor participation rate on potential GDP growth rate. To do this, we employ a growth accounting approach, which decomposes per capita GDP into two part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dependency ratio and the other is the change of labor input. The labor input is again decomposed in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ts. The quantitative part considers the change of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working time. The qualitative aspects is based on the trend of productivity of labor. From the scenarios of NSO(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effect of the fertility-raising policy on per capita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calculated and projected to the year of 2050. We also forecast the policy effect inducing high labor participating rate of female labor and beyond 55-year old labor. The baseline results show that the per capita GDP growth rate will show mid 4% to the year of 2010, gradually declining to 3.94% by 2020, 3.03% by 2030, 2.41% by 2040. The high fertility rate scenario will not have effects on the potential growth by 2030, but show 0.10%p higher per capita GDP growth rate than that of baseline scenario result. By the high female labor participation policy, the per capita GDP growth rate will reach 0.04%p higher per capita GDP growth rate than that of baseline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conclude that the quantitative labor input cannot solely account for the trend decline of potential GDP, and the qualitative aspect, like labor productivity, is much more important element to sustain and boots the economic growth.

우리나라 항공기 산업의 발전과제와 대책

  • Lee, Gi-Sang;Lee, Mu-Yeong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8
    • /
    • pp.1-23
    • /
    • 2006
  • 항공기산업은 고부가가치, 높은 기술파급효과 등의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국방 등의 전략적 요구 및 국가이미지의 대내외적 제고 등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는 첨단의 전략산업일뿐 아니라 개발성과가 불확실하고, 수요의 독점성과 기술의 복합성, 자본 및 경험 집약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육성하기 어려운 산업이다. 우리나라에서의 항공기산업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세계적인 선도 산업에 비해 아직은 그 산업의 성과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그 이유로는 수요의 영세성과 불연속성, 고립된 산업 구조 및 그로 인한 낮은 산업파급효과와 낮은 부가가치구조, 취약한 부품산업 등의 여러요인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와 공급 및 기술과 산업구조 등의 여러측면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정부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중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공군력 증강과 장기 경제발전을 위해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현재 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산업의 명확한 비전과 발전전략의 제시와 적절한 사업의 선정의 효과적인 추진이 중요할 것이다. 적절한 사업의 하나로는 국내의 축적된 기술과 생산기반을 활용하여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개발/생산할 수 있는 적절하게 통제된 규모의 중급항공기 개발사업을 들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도 통합된 정부의 역할이 가장 긴요하다. 특히 산업이 가지고 있는 공공성, 전략성 및 복합성 등의 특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을 통한 장기적인 공군력 증대에의 기여를 위해서는 수요, 기술, 생산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통괄하되, 책임소재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수요부처 중심의 추진주체로서의 정부의 통합된 기능과 역할이 특히 강조된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