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데이터

Search Result 2,511,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WBS Development for Acquisition and Analysis of public Housing Productivity Data (공동주택 생산성 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한 WBS 개발)

  • Kim, Jae-Woo;Kim, Yea-Sang;Kim, Young-Suk;Kim, Sang-Bu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5
    • /
    • pp.86-94
    • /
    • 2008
  • Productivity is one of key management indexes for evaluating soundness of a manufacturing organization and its efficiency. In many aspects of productivi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ntuition of an experienced field manager still plays a greater role while productivity data is not utilized efficiently fo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urposes, becaus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productivity-related information are not systematic. Lack of systematic method in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roductivity data results in such problems. The existing WBS should therefore be improved to solve them. The authors developed a new WBS for productivit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y following the research direction that was determined by literature reviews, overseas cases, and interviews with field engineers. The new breakdown structure was then evaluated for its feasibility as a productivity analysis framework.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data collected by the WBS will be used for OLAP and mining for future productivity forecast.

Data Transformation System Implementation for the Automation of PCB Product (PCB 생산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구현)

  • Lee Seung-Hyuk;Kim Gui-Jung;Han J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5
    • /
    • pp.17-25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ign data transformation interface for the automation of PCB product. The data designed to CAD does not exchange itself for the assembly line, so we construct an automation system which is exchangeable. To do this, we analyze the information of PCB components and construct the Information of IC components as database. We also develope two kinds of algorithm; one is to detect human error and another is to exchange itself for the data which is suitable for PCB assembly line. We design data transformation interface to do addition and revision of the information for PCB assembly line. By automating existing manual processing, we are able to shorten access time and enhance reliability of the data and the efficient assembly line of PCB.

  • PDF

The Application of Data Warehouse for Develop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건설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적용)

  • Oh, Se-Wook;Kim, Myoung-Ho;Kim, Young-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2 s.30
    • /
    • pp.127-137
    • /
    • 2006
  • Productivity is important to evaluate an efficiency of performed work and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ductivity should be defined as activity level rather than macro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use productivity data and manage a proje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warehouse, OLAP and data mining technologies which enables to easily accumulat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and perform multi layer analysis.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ystem would be able to measure the result of project and make a plan of the similar project with reliabi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duc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P.O.P Terminal (P.O.P 단말기를 이용한 생산통신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홍수열
    • KSCI Review
    • /
    • v.8 no.2
    • /
    • pp.51-57
    • /
    • 2001
  •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제조 업체의 전산 업무 관리가 매우 복잡해지고 있고, 전산 시스템이 급속히 변하며 환경이 복잡해지고 있으며. 전산에 입력해야 할 데이터들은 많아지고 있다 그래서 제조 업체의 근태 및 입출고 전표, 작업 일보 데이터를 사람이 일일이 입력하기엔 많은 전산 단말기와 용량이 큰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P.O.P(Point Of Production) 단말기를 이용한 생산통신관리 시스템은 제조 업체 현장에 P.O.P 단말기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입출고 및 생산 데이터를 생산 시점에서 입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Development of Data Collection System for Analysing the Productivity of Plums (매실 생산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개발)

  • Seo, Dong Min;Akhter, Tangina;Lee, Jong Ho;Cho, Seong Yoon;Kim, Gwang Shim;Park, Hong Joon;Kim, Hyuck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매실 생산성 향상 분석을 위해 범용 싱글보드 컴퓨터로 제작한 원격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발하였다.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소형 범용 싱글보드 컴퓨터는 저렴하게 IoT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쉽게 개발할 수 있어 중소규모 매실 농장의 생육 환경 정보 및 재배 이력을 수집하는데 활용도가 매우 높아 생산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분야에서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실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생육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에서 이러한 소형 싱글보드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센싱 및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발하였다. 수집데이터로는 주변 기온과 습도, 토양의 온도와 수분함량 및 pH이다. 1차 프로토타입은 아두이노 MKR1000을 사용하여 주변 온도 및 습도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장치를 제작하고 대표적인 통신사인 KT가 운영하는 IoT Makers라는 클라우드 저장소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MKR1000을 사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장단점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 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재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주변 기온과 습도, 토양의 온도와 수분함량 및 pH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장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개발된 데이터 수집 장치는 2017년 순천 인근의 매실 밭에 설치되어 실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며 수집한 데이터는 매실 생산성 향상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데 사용할 것이다. 저가의 범용 IoT 장치를 활용한 원격 데이터 수집을 넓은 범위의 매실포장에 활용한다면, 매실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은 물론 매실의 이력추적관리의 기초 데이터를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Design of Realtime Data Sharing Platform of Production Equipment PLC (생산설비 PLC 데이터의 실시간 공유 플랫폼 설계)

  • Kim, Phyoungjung;Hong, Sungwoong;Oh, Yeonggyu;Kim, Dal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77-1180
    • /
    • 2014
  • 본 논문은 생산설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데이터의 실시간 공유 플랫폼을 설계한다. 이 플랫폼은 자동화 설비를 보유하고 운영 중인 수출집약 중소기업에서 FTA(Free Trade Agreement) 체결 수입 상대국의 원산지 증명을 위한 생산 시험성적서 제출에 활용할 수 있고, 생산설비의 OPC 서버가 갖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래프, 생산관리 모니터링 및 설비 관리를 가능케한다. 따라서 중소기업이 생산관리, 공정관리, PLC 데이터공유 등에 필요한 수준별 분야별로 실시간 제조운영관리 시스템의 확대 보급이 가능하고, 생산설비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Domestic Forag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IoT (IoT 기반 국내산 풀사료 유통 및 관리 시스템)

  • Cho, Sangwook;Kim, Don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247-250
    • /
    • 2018
  • 정부는 국내산 풀사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풀사료용 기계장비 및 제조비 등의 지원에 해마다 1,000억 이상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수반한 보조금의 공정한 집행을 위한 절차와 서류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집행 및 정산에 상당한 행정비용이 발생하여 국내 생산 확대의 걸림돌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풀사료는 생산시점의 환경(습도, 온도 등), 수분함유량, 압축압력, 풀사료 품종 등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데 품질기준이 미흡해 유통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풀사료 생산이력 정보 수집에 필요한 센서, IoT 통신기술 등은 상용화 수준에 도달했으나 풀사료 생산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풀사료 수확기 등과의 통합이 필요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정책 입안을 위한 기반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풀사료의 생산량 증대 및 유통 활성화를 위한 IoT 기반의 풀사료 생산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발 중으로, 우선 관리 기준이 되는 표준 데이터를 정립해 DB화(化) 하고, 풀사료 수확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생산이력 생성장치 및 생산이력 수집장치와 이를 IoT망을 활용해 전송하기 위한 생산이력 송신장치를 개발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베이스화(化) 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유무선 인터넷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웹/앱을 개발 중이다.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로는 풀사료 수확기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에서 생성되는 압력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기술, 제어용 컨트롤러 설계 기술, 센서 데이터 가공 기술, IoT망을 이용한 실시간 전송 기술, 풀사료 통합 DB 구축 기술, Full Stack JavaScript 기술 등이 있다. 본 시스템를 풀사료 현장에 적용하면 풀사료 현장 조사 시간 및 비용 절감, 풀사료 생산/유통/보조 업무 전반의 효율화 및 투명화, 생산이력제 정착으로 풀사료 온라인 유통 활성화 및 물류비 절감, 센서, 측정장치, 표기장치 판매 및 유지보수 등 농업분야 신규사업 창출이 가능하다.

  • PDF

고에너지물리 e-Science 연구 환경의 구축 및 활용

  • Gong, Dae-Jeong;Kim, Hyeon-U;Jo, Gi-Hyeon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5 no.2
    • /
    • pp.90-95
    • /
    • 2008
  • e-Science를 기반으로 한 고에너지물리 연구 환경 구축은, 실제로 실험 데이터가 생산되는 외국의 가속기 연구소에 가지 않고서도, 언제어디서나 실제 가속기 연구소에서 고에너지물리 연구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연구 환경을 제공한다. 그 구성 요소로서는 1) 데이터 생산(production), 2) 데이터 프로세싱(processing), 3) 데이터 분석(analysis)이 있다. 데이터 생산은 원격 제어시설(remote control room)을 구축하여 원격으로 데이터 생산에 참여하는 것이며, 데이터 프로세싱은 그리드 팜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를 뜻하며 데이터 분석은 EVO(Enabling Virtual Organization)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 협업 환경으로 연구 결과물을 얻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고에너지물리 실험의 하나인 CDF 실험에 구현하여 활용한 사례를 보여 준다.

  • PDF

Design and Analysis of Metrics for Enhancing Productivity of Data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개발생산성 향상을 위한 측정지표의 설계 및 분석)

  • Park, Jong-Mo;Cho, Kyung-S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5
    • /
    • pp.151-160
    • /
    • 2007
  • A datawarehouse which extracts and saves the massive analysis data is used for marketing and decision support of business. However, the datawarehouse ha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process time and cost as well as has a high risk of process errors because it integrates vast amount of data from distributed environments. Thus, we propose a metrics for measurement in the area of productivity, process quality and data quality. Also through the evaluation using the proposed metrics, we show that our proposal provides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process improvement.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Rainfall Sensor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using Optima Rainfall Intensity Technique (Optima Rainfall Intensity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강우센서 강우 산정기법 개발)

  • Lee, Byung Hun;Hwang, Sung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9-429
    • /
    • 2019
  • 최근 들어 이상기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국지적이고 집중적인 호우가 빈발하고 있으며 도로상의 교통체증과 도로재해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단기간 이동성 강우정보 기술과 도로 기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차량의 AW(AutoWiping) 기능을 위해 장착된 강우센서를 이용하여 강우정보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강우센서는 총 4개의 채널로 이루어져있고, 초당 250개의 광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며, 1시간이면 약 360만 개의 데이터가 생산되게 된다. 5단계의 인공강우를 재현하여 실내 인공강우실험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강우센서 데이터와 강우량과의 상관성을 W-S-R관계식으로 정의하였다. 실내실험데이터와 비교하여 외부환경 및 데이터 생성조건이 다른 실외 데이터의 누적값을 계산하기 위해 Threshold Map 방식을 개발하였다. 강우센서에서 생산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강우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빅 데이터 처리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실내 데이터의 Threshold를 강우강도 및 채널에 따라 평균값을 계산하고 $4{\times}5$ Threshold Map(4 = 채널, 5 = 강우정보 사상)을 생성하였고 강우센서 기반의 강우정보 생산에 적합한 빅데이터 처리기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처리기법 중 Gradient Descent와 Optima Rainfall Intensity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지상 관측강우와 비교검증을 하였다. 이 결과 Optima Rainfall Intensity의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실시간으로 관측한 8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강우센서 강우를 생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