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관리

Search Result 6,119,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MRP에 의한 종합 생산관리 시스템 개발

  • 김선남;남선희;송준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4.04a
    • /
    • pp.262-269
    • /
    • 1994
  • 현재 국내 산업계에서는 임금인상과 원화절상이라는 이중부담으로 많은 어 려움을 겪고 있으며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이제는 생산기술의 발달과 함 께 관리기술도 상응하여 진보하지 않으면 안될 처지에 몰리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보수적인 실적위주의 관리방식에서 탈 피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국내의 많은 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BASC(Business Application Software Company)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MRP(Manufacturing Resources Planning, MRPII)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11 개의 모듈을 갖는 종합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전체 구조와 모듈별 기능 및 모듈간의 인계를 설명하고, 아울러 이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동기와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상술하고자 한다. 여 기에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system 개발 구성원과 소프트웨어의 개발 배경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는 현재 중소기업에서 적용할 시 발생한 여 러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설명하고, 추후에 계속된 개선 방향에 대 하여 논하고자 한다.

STEPS : shipbuilding tact epert planning system (선각 조립공정 스케쥴링 전문가 시스템)

  • 최영순;김남훈;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4.04a
    • /
    • pp.668-677
    • /
    • 1994
  • STEPS는 삼성 조선의 블록 조립생산공정의 라인스케쥴링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삼성중공업 조선 해양 사업본부는 그간 생산성 향상을 통한 대외 경쟁력 제고와 선진 조선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생산 설비 확충과 자동화 등 하드웨어 차원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이제는 설계, 계획, 관리등 소프트웨어 차원의 발전으로 전환하고 있다. 15여년 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현실적이면서 합리적인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것은 삼성조선의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이에 현장 데이타의 축적과 효과적인 관리 피드백으로 선각, 도장, 의장등 전 공정을 합리적으로 계획, 관리코자 생산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추지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공정 관리 시스템의 일환으로 대.중조블럭 일정계획의 자동화한 것이 STEPS(Shipbuilding Tact Expert Planning System) 프로젝트이다. STEPS는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으로서 전문가의 지식(Knowledge)을 시스템화하는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or a Heavy Industry (중공업 통합생산관리시스템 개발 사례)

  • Moon, Il-Kyeong;Lee, Jong-Hyeok;Choi, Sang-Jin;Lee, Soo-Yeon
    • IE interfaces
    • /
    • v.10 no.3
    • /
    • pp.223-236
    • /
    • 1997
  • 정보 기술 발전의 가속화와 더불어, 고객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고급화되어지는 가운데, 기술개발 경쟁력의 심화에 따른 기술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일고 있다. 최근 들어 많은 제조업체들은 기업 내 외부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환경 변화들로 인하여 통합생산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통합생산관리시스템은 기업의 주요기능을 전사적인 관점에서 통합하여 수주에서 납품까지 일관된 정보흐름을 제공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통합생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구축 경험 부족 및 체계적인 개발계획 방법론의 부족에 따라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진단, 개발계획 수립, 상세설계, 프로트타입 시스템 개발에 이르는 통합생산관리시스템 구축 과정을 프랜트 공장의 사례를 통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 PDF

Develop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Business Coordination (효율적인 통합 업무를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 박두순;안종근;공용해;정재헌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317
    • /
    • 2001
  • 기업의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성장 규모, 기업의 요구 사항. 기업의 보다 향상된 업무를 위해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구현, 확장,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정보의 연계, 최신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이용한 구체화와 정보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소 업체에서는 한 번에 많은 투자를 해야되는 종합 정보화 시스템보다는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각각에 대한 정보화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업체의 특성과 차별성을 고려하여 실용 업무에 보다 적합한 자동화 시스템구성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이들 시스템간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종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관리 프로그램들을 통합하는 것이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두양금속의 기존에 사용중인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고자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각각의 독립된 업무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있다.

신관리기법으로서의 산업공학(I.E)

  • 신현구
    • Cement
    • /
    • s.40
    • /
    • pp.4-11
    • /
    • 1971
  •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경영합리화와 생산성향상의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또한 이와 동시에 기업을 경영하는데 있어서 계획 및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환경의 급속한 구조 변화에 대비하여 본론에서는 생산성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경영관리 기법중의 하나인 I.E(Industrial Engineering)에 대하여 소개하고저 한다. 본래 I.E는 그 수법이나 대상에 있어서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었으나 미국의 F.W.Tayler 박사가 이를 최초로 경영학적 측면에 도입, 적용하였다. 1890년대에 미국은 공업생산국으로서 산업근대화에로의 발전과정에서 경영자측은 기술이나 방법에의 개선에 의한 산출량 증가로서 노동자의 임금절하를 기도하고 있는 노동자측은 태업으로 임금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F.W.Taylor 는 산업발전에 최대의 장벽인 임금문제의 기술적인 해결에 주력하여 노사간의 분쟁을 $\ulcorner$성과급임금제도$\lrcorner$로서 조정하기 위해 $\ulcorner$과학적 관리법$\lrcorner$(The Scientific Management)을 체계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작업에 착수하였다. 이외에도 테일러는 임금문제에 관련된 생산성 향상 문제까지도 연구발전시켜 생산계획$\cdot$공장관리$\cdot$작업조직$\cdot$자재관리$\cdot$공정관리 등의 전반적인 공장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ulcorner$공장관리$\lrcorner$(Shop management)를 발표하여 I.E의 체계를 확립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I.E는 미국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이지만 그간 우리나라에서도 도입 적용되어 발전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국양회공업협회가 본기법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일련의 조사활동을 시작한 것은 매우 의의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soil moisture and crop growth indices of irrigation water management in winter wheat fields (밀 재배포장 물관리에 따른 토양수분과 생육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 Cheng, Liguang;Kim, Dong Hyeon;Park, Hyunsu;Jang,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7-507
    • /
    • 2022
  • 작물 재배에서 정밀 관개 및 물관리를 위해 토양수분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가뭄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토양수분 변동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국산밀 생장기의 토양수분 및 관개는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빈번한 봄가뭄의 영향으로 작물 생산 및 품질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토양수분 및 양분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CT 기반의 토양 층위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관리에 따른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운봉시험지이며, 시험포장은 수분처리 조건에 따라 총 4개(A: 한발조건, B: 적정수분, C: 무처리) 처리구로 3개 블록을 구분하여 4반복으로 구성하였다. ICT 기반 10개 토양수분 및 EC (Electrical conductivity) 관측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료 수집하였으며, 밀 생육조사는 생육단계별 초장, LAI, 지상부 및 지중 생체중 등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처리구별 물관리에 따른 토양수분과 생육지표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가뭄에 따른 생육 영향과 적정 관개용수의 공급시기 및 공급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밀 생장기의 봄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물관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ICT 기반의 스마트관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밀 작황 진단 및 예측을 통해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an Effective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DooYang Steel Co. (두양금속 주식회사의 효율적인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축)

  • 공용해;박두순;안종근;정재헌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3-276
    • /
    • 2000
  • 기업의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안으로 이를 통해 자료연계, 최신 정보의 입수 둥 기존의 회사 생존 전략을 벗어난 세계화와 정보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소 업체에서는 한 번에 많은 투자를 해야되는 종합 정보화시스템의 도입보다는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각각에 대해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서로 각각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그 활용도나 연관성 면에서 유용성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들 시스템간에 서로 자료를 교환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정의를 효과적으로 제시해 주는 종합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의 프로그램들을 통합하는 것이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양금속 주식회사의 기존에 사용중인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관리 시스템의 통합을 목표로 하여,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계하여 효율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Developing A Curriculum Model for Technician Training Course of Managing Production in Electronic Industry (직무분석을 통한 전자분야 생산공정 관리자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 Lee, Jung-Chul;Kim, Han-Joo;Lee, Sung-Dae;Jung, Jea-Wo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71-81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based on a systematic job analysis, the definition, flowchart and description of Production Management Technician(PMT)'s job in Electronic Industry for developing an PM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the context of Korea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3 duties and 22 tasks in the job of Production Management Technician, and 12 education contents and 6 education courses in the PMT curriculum.

지나친 오용이나 난용은 나빠

  • 문범수
    • Food Industry
    • /
    • s.14
    • /
    • pp.52-56
    • /
    • 1973
  • 과학이 발달하여 식품공업이 대형화하고 대량생산을 하게됨에 따라 생산관리나 품질관리면에서 일정한 품질규격을 갖는 제품을 만들 필요가 생기게 되고 또 보존성이 높은 것을 요구하게 된다. 식품첨가물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나 수량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