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분해성 오일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환경수용성 윤활기유의 기술적 고찰

  • 심주섭;조원오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1권3호
    • /
    • pp.1-10
    • /
    • 1995
  • 전세계적으로 환경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수용성(Environmentally Acceptable) 윤활기유에"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에 관한 연구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환경수용성 윤활기유는 크게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합성 윤활기유로 분류된다. 환경수용성 윤활기유의 중요한 물성으로는 기유의 화학적 조성,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에 따른 생분해성 및 산화 안정성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환경수용성 윤활기유는 정제된 유채오일과 선택적으로 합성된 에스테르오일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이들의 생분해성이 우수하므로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유채오일과 에스테르오일을 비교해 보면 유채오일은 공급이 충분하고 비교적 값이 싼 반면에 에스테르오일은 식물성 오일보다 윤활 안정성은 우수하나 가격이 비싼 단점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다소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생분해성이 우수한 에스테르오일이 오늘날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광유계 윤활기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환경수용서 윤활기유의 중요성과 그 종류 및 개발동향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하고자 한다.

오일분산제 적용을 위한 융합연구의 필요성 (Importance of Convergency Researches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Oil Dispersant)

  • 오경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81-187
    • /
    • 2018
  • 오일분산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 사고는, 2010년에 발생한 멕시코만의 기름유출 사건을 들 수 있다. 사용된 오일분산 제로는 Corexit 9500라는 제품이 사용되었으며, 아직도 이 오일분산제가 끼친 생태계의 부정적인 평가는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함에도 US EPA에서는 아직도 이 오일분산제를 향후에도 사용가능한 제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새로운 대체 오일 분산제 개발을 위해서는 특히 미생물학, 생태학, 환경, 화학, 그리고 화학공학 연구자들의 융합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rexit 9500의 주성분들을 찾아 화학구조와 물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분산된 오일의 생분해 과정과 바이오계면활성제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혼합배양계에서 활성오니를 이용한 생분해성플라스틱 생산 연구 (Production of Bioplastics from Activated Sludge in a Mixed Culture)

  • 조재경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3호
    • /
    • pp.119-126
    • /
    • 2001
  • 혼합배양계에서 활성오니를 이용하여 유기성폐수로부터 생분해성프라스틱 생산 공정이 연구 검토되었다. 공정은 크게 PHA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선택 분리하는 선택반응기와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PHA를 축적 생산하는 축적반응기로 구성되었는데 선택반응기로는 연속회분식반응기(SBR)가 이용되어 초기 접종된 활성오니로부터 PHA 축적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부영양/빈영양 영역을 반복 운전하였으며 PHA 축적미생물은 어떠한 성장 제한이 없는 SBR에서 잘 성장하였으나 PHA 축적률은 미미하였다. 미생물내 PHA 축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비탄소원의 영양원이 제한된 조건에서 배양이 필요하게되어 별도의 축적반응기를 이용 실험을 실시한 결과 산소 제한은 효율적이지 못하였고 인과 질소 성분의 제한 조건에서 PHA 축적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질소 제한조건하의 유가식 기질 공급 실험에서 PHA가 건량기준으로 미생물내 60%까지 축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PHA 축적속도는 미생물내 PHA 함량에 크게 의존하여 PHA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해양 미생물에 의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생산의 최근 동향 (Recent Trends in The Produc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Using Marine Microorganisms)

  • 김선민;이혜인;정해수;전용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680-691
    • /
    • 2023
  • 오일 피크, 기후변화 그리고 미세 플라스틱과 관련된 석유합성 플라스틱의 생산과 사용은, 지속 가능한 인류 생활을 위협하는 범세계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생분해성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가 대안이 되고 있으며, 그중 주목받고 있는 소재 중 하나는 polyhydroxyalkanoates (PHA)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이다. 본 총설은 PHA 생산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해양 미생물의 산업적 활용 이점과 현재까지 밝혀진 해양미생물의 생산성을 비교하고, 이들이 산업에서 활용되기 위해 필요한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해양미생물로부터 생산된 PHA는 석유합성 플라스틱이 보유한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띄는 중합체 소재로의 대체 가능성과, 배지 제조 시 해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 특별한 멸균 과정이 필요치 않은 장점, 그리고 분리 정제 과정 등에서 비용 절감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해양미생물의 PHA 생산성은 육상에서 분리된 상용화 균주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선진 omics 기반 합성 미생물학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고밀도 연속배양기술 개발, PHA 효율 증진 및 다양한 시장 요구에 필요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이 미래 플라스틱 대체 소재 개발에 필요한 연구임을 확인하였다.

향오일을 함유한 Poly(ε-caprolactone)/Poly(ethyleneimine) 마이크로캡슐의 방출거동 (Release Behaviors of Poly(ε-caprolactone)/Poly(ethyleneimine) Microcapsules Containing Fragrant Oil)

  • 박수진;석수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482-486
    • /
    • 2005
  • 향오일이 흡착된 $Al_2O_3$를 심물질로 함유한 생분해성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poly(ethylene imine) (PEI) 마이크로캡슐을 PEI의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교반속도 그리고 유화제의 농도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직경과 모폴로지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열적 거동은 DSC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향오일 방출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UV.vis. 흡광광도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방출된 향오일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PCL/PEI 마이크로캡슐의 입자크기는 교반속도와 유화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표면 모폴로지는 PE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은 변했고, 마이크로캡슐의 용융 엔탈피(${\Delta}H_m$)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오일의 방출속도는 PE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이는 친수성인 PEI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캡슐표면의 친수성 그룹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향오일의 확산이 용이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성 오일 기반 Poly(β-amino ester) 합성 (Synthesis of Vegetable Oil-Based Poly(β-amino ester))

  • 장나리;김범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64-1067
    • /
    • 2012
  • 최근 저가의 풍부한 재생 가능 천연자원인 식물성 오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식물성 오일은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들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rylated epoxidized soybean oil (AESO)과 2-aminoethanol의 중합 반응에 의해 poly(${\beta}$-amino ester)를 합성하였다. AESO와 2-aminoethanol의 몰비를 변화시켜 다양한 비율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FT-IR을 이용하여 poly(${\beta}$-amino ester) 내의 C-N 결합의 생성을 확인하였으며, 98% 이상의 겔함량으로부터 가교 고분자 네트웍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고분자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각각 0.3~1.3 MPa, 32~55%였다. 고분자 필름은 lipase 효소가 첨가된 pH 7.2 완충용액에서 35일 경과 후 2~7%의 질량감소를 보였다.

전력분야의 바이오 기반 친환경 전기 절연유 적용에 관한 개발 동향 분석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s on Bio-based Environmental Transformers Oils in Power Sector)

  • 김재곤;민영제;김목연;곽병섭;박현주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8권2호
    • /
    • pp.41-52
    • /
    • 2022
  • Mineral electrical insulating oil, which is widely used in transformers, exhibits excellent cooling performance and transformer efficiency. However, given that it is composed of petroleum-based components, it is weak in terms of biodegradability. This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in case of leakage and a low flash point, which is a factor that would cause great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ubstation. In this context, the use of eco-friendly electric insulating oil composed of bio-based vegetable oil and synthetic ester, which has excellent biodegradability and flame retardancy performance,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the field of electric power, and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studies are in progress. According to different research results, vegetable oil and synthetic ester manufacturing technology, thermal stability, oxidation stability, property change, and quality control,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electrical insulating oils, a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maintenance of insulating oil properties. In addition, power compan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quality control standards according to the use of eco-friendly electrical insulating oil as they expand the exploitatoin of renewable energy in electricity production. In particular, deterioration and oxidation characteristics were jointly identified in R&D a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according to the content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present in vegetable oils and synthetic esters in power transformer applications.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N-아실 글리신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Acyl Glycine Used Triglyceride)

  • 신혜린;박예원;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8-1065
    • /
    • 2017
  • 단백질 계면활성제로서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친환경적인 화합물이다. 따라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기대된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높은 생분해성, 낮은 독성 및 표면 활성 특성을 갖는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 기반의 계면활성제인 cocoyl glycine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글리신에 의해 합성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표면 장력, 유화 특성, 거품 안정성 및 HLB 값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에 의해 확인되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1.0{\times}10^{-4}mol/L$에서 31.2 dyne/cm 이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팜 오일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3.2{\times}10^{-5}mol/L$에서 42.1 dyne/cm 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 기포 높이를 측정했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14.5cm이고 5분 후 10.7cm였다. 팜 오일에 의해 합성 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3.0 cm이고, 5 분 후에 2.8 cm이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의 기포 높이는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보다 높았다. 그러나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기포 안정성은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보다 우수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유화 특성은 벤젠과 콩기름에서 관찰되며 유기 용매에서의 유화 성질이 콩기름에서보다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