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 다양성

Search Result 2,39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of Forest Ecosystems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 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 보전전략(保全戰略))

  • Shin, Joon 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4 no.3
    • /
    • pp.377-393
    • /
    • 1995
  • Forest ecosystems are major reservoirs because forest lands are up to 65% of the national land of Korea. Biodiversity is the basis of forest conserv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forest ecosystem productivity. When we are going to establish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however, we need to have a good eye in order that we are not limited only to species but we can also understand whole ecosystems. Therefore, to develop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development process of biodiversity on the earth, the fundamental logic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onservation system and steps of the conserv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research subjects needed urgently are recommended.

  • PDF

Status and Quality Analysis on the Biodiversity Data of East Asian Vascular Plants Mobilized through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출판된 동아시아 관속식물 생물다양성 정보 현황과 자료품질 분석)

  • Chang, Chin-Sung;Kwon, Shin-Young;Kim, Hu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2
    • /
    • pp.179-188
    • /
    • 2021
  • Biodiversity informatics applies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s in organizing, accessing, visualizing, and analyzing primary biodiversity data and quantitative data management through the scientific names of accepted names and synonyms. We reviewed the GBIF data published by China, Japan, Taiwan, and internal institutes, such as NIBR, NIE, and KNA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ssessed data in diverse aspects of data quality using BRAHMS software. Most data from four Asian countries have quality problems with the lack of data consistency and missing information on georeferenced data, collectors, collection date, and place names (gazetteers) or other invalid data forms. The major problem is that biodiversity management institutions in East Asia are using unstructured databases and simple spreadsheet-type data. Owing to the nature of the biodiversity information, if data relationships are not structured, it would be impossible to secure the data integrity of scientific names, human names, geographical names, literature, and ecological information. For data quality, it is essential to build data integrity for database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s for taxonomists who are continuous data managers to correct errors. Thus, publishers in East Asia play an essential role not only in using specialized software to manage biodiversity data but also in developing structured databases and ensuring their integration and value within biodiversity publishing platforms.

A Study on Using of Biodiversity Database for Learning of Biodiversity (생물다양성 학습을 위한 생물다양성 DB 활용에 관한 연구)

  • Ahn Bu-Young;Cho Hee-Hyung;Park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428-432
    • /
    • 2005
  • This paper has studied the concept and technical factors of e-Learning system to which we intend to apply domestic biodiversity information. This article describes how we analyzed and designed the e-learning system to serve biodiversity information as e-Learning contents. It would be useful for the public and students if this information are organized and provided as e-learning contents especially in our country which has well-established network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limited land space.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e-Learning system based on this proposed design will help students and public to access and team biodiversity on cyber space.

  • PDF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을 기반으로 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설정방안 연구)

  • Kim, Sang-Jun;Park, Seon-Joo;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4-24
    • /
    • 2019
  • DMZ 및 접경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의 보고이며,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서 한반도생태계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러한 DMZ 및 접경지역에 대하여 국내적 중요성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위해 IUCN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의 기준을 적용하여 DMZ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가치정도 판단 및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보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DMZ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의 분포지역을 파악하여 DMZ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은 18과 139속 367종 1아종 44변종 10품종 422분류군으로, 총 138과 613속 1,517종 8아종 217변종 58품종으로 총 1,8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동부지역에서 가장 많은 1,482분류군, 중부지역은 1,225분류군, 서부지역은 1,080분류군으로 가장 적은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둘째, DMZ 및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DMZ 및 접경지역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개느삼, 금강초롱, 모데미풀 3종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후보종으로 선정하였다. 후보종별로 분포예측 결과 전체 면적 $5,270.5km^2$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정기준을 통하여 선정된 DMZ 및 접경지역에 서식하는 주요 식물에 대한 국제적 가치를 판단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방안으로 투명하고 체계화된 국제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의 생물종 다양성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에 적합한 종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국내적으로 중요한 지역적 멸종위기종에 대한 적용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및 구체적 접근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DMZ 및 접경지역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을 통하여 꾸준히 재평가하여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Search Portal on Biodiversity Data (생물다양성데이터 검색포탈 구축)

  • Ahn Sung-Soo;Park Hyung-Seon;Kwon Chang-Hyuk;Ahn Bu-Young;Cho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24-128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data standards and protocols for exchanging biodiversity data, explains ways to construct biodiversity search portal of Korea, and describes software components used to implement the portal. We also discuss the expected activity of data custodians to share the biodiversity data.

  • PDF

Establishment of Search Portal on Biodiversity Data (생물다양성데이터 검색포탈 구축)

  • Ahn, Sung-Soo;Park, Hyung-Seon;Kwon, Chang-Hyuk;Ahn, Bu-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561-564
    • /
    • 2005
  • 본 논문은 생물다양성데이터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국내외의 생물다양성데이터 표준형식과 프로토콜 등을 소개하고 지리적으로 분산된 국내 생물다양성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활용 할 수 있는 방법과 국내생물다양성데이터의 검색포탈을 어떻게 구축하였는지 설명한다. 다음으로 포탈구축에 사용된 데이터 표준,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 시스템 아키텍쳐 그리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끝으로 검색포탈이 원활이 운영되어지기 위해 데이터 소유기관 등에서 필요한 활동과 생물다양성데이터 검색포탈 구축의 결과 및 기대효과 등에 서술한다.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 Researches on the Diversity of the Marine Benthic Copepods and the Prospects (해양 저서성 요각류의 다양성 연구 현황과 그 전망)

  • 이원철;송성준;이재성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1
    • /
    • pp.1-9
    • /
    • 2002
  • Copepod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imary consumer in the various aquatic ecosystems. Most of marine benthic copepods belong to the Order Harpacticoida, and are known over 3,000 species in the world. Research on the biodiversity of the benthic copepods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bio-resources, and the genetic resources. The importances and the prospects of biodiversity research on the mavins benthic copepods are discussed.

Discriminability of Molecular Markers Based on M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 tataricum (단메밀과 쓴메밀의 ITS 염기서열 기반 식별마커)

  • Oh, Dae-Ju;Hyun, Ho-Bong;Lim, Tae-Joon;Yoon, Seon-A;Ham, Young-Min;Yoon, Weon-Jong;Yang, Woo-Sam;Jung, Yong-Hwa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6 no.4
    • /
    • pp.745-757
    • /
    • 2018
  • We analyzed the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of commo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and tartary buckwheat, F. tataricum. The diversity of the nucleotides and haplotypes, Tajima's D, and Fu's Fs was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varieties of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The diversity of nucleotides and haplotypes indicated that the buckwheat populations had undergone rapid population expansion but D and Fs did not support their expansion statistically.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sequences did not clearly establish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eties of common buckwheat. The In/Del sequence of ITS-1 region could, therefore, be used as a DNA marker to distinguish raw or manufactured products derived from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환경칼럼 - 21세기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심이 되겠습니다

  • Kim, Sang-Bae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1
    • /
    • pp.2-3
    • /
    • 2014
  •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산업 육성을 위한 생물자원 활용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생물자원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생물자원 체계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 등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논의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