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rid-based Biological Data Mining using Dynamic Load Balancing (동적 로드 밸런싱을 이용한 그리드 기반의 생물학 데이터 마이닝)

  • Ma, Yong-Beom;Kim, Tae-Young;Lee, Jong-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2
    • /
    • pp.81-89
    • /
    • 2010
  • Biological data mining has been noticed as an issue as the volume of biological data is increasing extremely. Grid technology can share and utilize computing data and resour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system that combines biological data mining with grid technology. Especially, we propose a decision range adjustment algorithm for processing efficiency of biological data mining. We obtain a reliable data mining recognition rate automatically and rapidly through this algorithm. And communication loads and resource allocation are key issues in grid environment because the resources are geographically distributed and interacted with themselves. Therefore, we propose a dynamic load balancing algorithm and apply it to the grid-based biological data mining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measure average processing time, average communication time, and average resource utiliz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provides many advantages in aspects of processing time and cost.

Bio Ontology-based XML DB for Biological Pathway (Biological Pathway정보를 위한 타이오 온톨로지 기반의 XML DB)

  • 배은진;박승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07-409
    • /
    • 2003
  • 최근 바이오인포메틱스 분야는 IT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또한 기존의 분자생물학분야의 연구들을 컴퓨터의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화, 전산화하는 것으로 생명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으로 서열정보의 주석처리 둥이 발전되어 왔다. 또한 분자생물학의 오랜 연구결과들 중 수많은 문헌들을 토대로 한 분석인 텍스트마이닝, 정보추출은 전산학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추출, 수집하여 분자생물학 데이터의 양적 팽창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집된 biological Pathway 정보의 효율적인 저장, 재사용 그리고 활용을 위해 바이오 온톨로지 기반의 XML DB를 설계하고자 한다. XML 스키마를 이용해 표현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포맷의 생물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들로 XML DB를 구축한 후 Biological Pathway 정보 표현과 재사용. 나아가 생명정보학 응용분야에 활용하려 한다.

  • PDF

Large-Scale Bayesian Genetic Network Learning for Pharmacogenomics (Pharmacogenomics를 위한 대규모 베이지안 유전자망 학습)

  • 황규백;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39-141
    • /
    • 2001
  • Pharmacogenomics는 개인의 유전적 성향과 약물에 대한 반응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를 위해 DNA microarray 데이터를 비롯한 대량의 생물학 데이터가 구축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계학습과 데이터 마이닝의 여러 기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harmacogenomics를 위한 생물학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석 수단으로 베이지안망(Bayesian network)을 제시한다. 배이지안망은 다수의 변수들간의 확률적 관계를 표현하는 확률그래프모델(probabilistic graphical model)로 유전자 발현과 약물 반응 사이의 확률적 의존 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NC160 cell lines dataset으로부터 학습된 베이지안 유전자망(Bayesian genetic network)이 나타내는 관계는 생물학적 실험을 통해 검증된 실제 관계들을 다수 포함하며, 이는 배이지안 유전자망 분석을 통해 개략적인 유전자-유전자, 약물-약물, 유전자-약물 관계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Design of Bioinformatics Application using Grid (그리드를 이용한 바이오 인포메틱스 응용 클라이언트 설계)

  • 유승범;신동규;신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64-366
    • /
    • 2002
  • 최근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IT와 BT가 결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이에 게놈 프로젝트 결과 분석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은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장치 외에 슈퍼컴퓨터 급의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장치 외에 슈퍼컴퓨터 급의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바이오 인포메틱스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닝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로 인해 그리드 환경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환경에서 분산된 수많은 생물학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합 환경으로 응용 클라이언트를 제시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Gene-Drug Interactions Using Bayesian Networks (베이지안망을 이용한 유전자와 약물 간 관계 분석)

  • O, Seok-Jun;Hwang, Gyu-Baek;Jang, Jeong-Ho;Jang, Bye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1-97
    • /
    • 2002
  • 최근의 생물학 연구를 위한 기기의 자동화 및 고속화는 생물학 관련 정보량의 급증을 가져오고 있다. 예를 들어, DNA chip에서 얻어지는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는 수천 종류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동시에 측정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생물의 세포나 조직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다양한 현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관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생명공학의 전반적인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대량의 생물학 관련 정보의 분석이나 데이터 마이닝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표적인 기법들로는 각종 클러스터링(clustering) 및 신경망 계열의 모델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그래프모델의 하나인 베이지안망(Bayesian network)을 생물정보분석에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유전자 발현패턴과 약물의 활성패턴 및 암 종류 사이의 확률적 관계를 모델링한다. 이러한 모델은 NCI60 dataset(http://discover.nci.nih.gov)에서 베이지안망을 학습함으로써 구성된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sparse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들이 제시되며 학습된 모델에 대한 검증은 이미 생물학적으로 확인되어 있는 사실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된 베이지안망 모델은 각각의 유전자 간, 혹은 유전자와 처리된 약물 간의 실제 생물학적 관계를 다수 표현하며, 이는 제시되는 방법이 생물학적으로 유의미한 가설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적으로 생성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Design of Web-based Phylogentic Tree Inference System Using DataBase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웹 기반 계통수 추론 시스템 설계)

  • Kim, Shin-Suck;Hwang, B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21-124
    • /
    • 2001
  • 계통수는 특정 객체의 분류 즉 특정 객체로부터 추출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그 객체의 소속 분류 집단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특정지역에서 획득한 토끼의 종을 구분하기 위해서 이미 분류된 토끼의 염기서열들을 가지고 염기서열들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계통수를 제작함으로써, 객체를 분류 할 수 있다. 계통수 제작은 기존의 계통수 제작 도구들(MEGA등)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계통수 제작 도구는 객체의 어떤 특성에 의해서 종이 나뉘어지는 가는 예측 할 수 없다. 계통수 제작에 이용되는 염기서열 데이터는 기존의 염기서열 데이터 베이스들(EMBL, GenBank, DDBJ)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찾을 수 있지만, 계통생물학을 위해 누적된 데이터가 아니므로, 계통수 제작을 위해서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 계통수 제작 도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관련 염기서열 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웹기반 계통수 추론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은 염기서열 데이터를 검색하여, 계통 분류 즉 계통수 제작을 위한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계통수를 그릴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마이닝 분류 기법을 사용하여, 각 객체 분류 집단을 모델링하며, 분류 속성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Automatic Extraction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information from biological literature (생물학 관련 문헌으로부터 상호작용 정보 자동 추출)

  • 정의헌;김민경;박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808-81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 관련 문서에서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현재 구현된 상호작용 정보 자동추출 시스템의 연구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이미 알려진 단백질들의 관계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단백질의 이름에 대한 특성 구분과 표현의 의미적 해석등에 NLP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에 따른 룰을 생성하는 방법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단백질간의 관계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또한 위의 이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는 방법이 현재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연언어처리 기법과 머신러닝 기법(SVM)을 이용하여,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일반 생물 정보 문헌에서 추출하고, 그 성능을 테스트 해 보겠다.

  • PDF

A Study on GUI based Subgraph Generation Tool for Similar Matching in Large Capacity Graphs (대용량 그래프에서의 유사 매칭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서브 그래프 생성 도구에 대한 연구)

  • Song, Je-O;Hong, Seung-Min;Lee, S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49-350
    • /
    • 2018
  • 최근 빅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실험 장비의 발전에 따라 첨단 분야에서의 과학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래프 매칭은 컴퓨터 네트워크 모니터링, 소셜 네트워크의 진화 분석, 생물학 네트워크에서 모티프(motif) 탐지 등 네트워크 분석 및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모델링 및 유사 그래프 매칭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및 기반 기술 개발은 필수적인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확보된 대용량 그래프에서 유사한 형태의 서브 그래프를 매칭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기반의 생성 도구를 제안한다.

  • PDF

Trend of Research and Industry-Related Analysis in Data Quality Using Time Series Network Analysis (시계열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데이터품질 연구경향 및 산업연관 분석)

  • Jang, Kyoung-Ae;Lee, Kwang-Suk;Kim, Woo-J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6
    • /
    • pp.295-3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oth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predict industrial flows using the meta-data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data qualit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various fields till lately. However,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data quality has produced poor results because of its vast scope and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we used a text min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ime series network analysis to analyze the vast scope and data of data quality collected from a Web of Science index database of papers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data quality-field journals for 10 yea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Decreases in Mathematical & Computational Biology, Chemistry, Health Care Sciences & Services,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and Medical Information Science. Increases, on the contrary, in Environmental Sciences, Water Resources, Geology, and Instruments & Instrumentation.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s which have the high centrality are analysis, algorithm, and network, and also, image, model, sensor, and optimization are increasing subjects in the data quality field. Furthermore, the industrial connection analysis result on data quality shows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technique, industry, health, infrastructure, and customer service. And it predicted that the Environmental Sciences, Biotechnology, and Health Industry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people, not only who are in the data quality industry field, but also the researchers who analyze research patterns and find out the industry connection on data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