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 활성

Search Result 1,08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수용성 금속가공유 폐액의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연구

  • 한창민;이근희;손형식;차미선;조순자;정재원;이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207-208
    • /
    • 2002
  •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생육조건이나 환경인자의 변화에 따라 활성과 증식속도간의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환경에 적용시 환경인자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다 높은 분해효육 조건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 PDF

Structure Analysis, Biological Activity of a Novel Antibiotics, Cystocin, from Streptomyces sp. GCA0001 and Production of its Derivatives (Streptomyces sp. GCA0001로부터의 신규 항생물질 Cystocin의 구조분석, 생물활성 및 유도체제조)

  • 김자용;이희찬;우진석;송재경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295-297
    • /
    • 2001
  • Cystocin, a derivative of Puromycin, is a new material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GCA0001, new strain of Actinomycetes spiecies. This compound has outstanding biological activities in anti-bacteria, anti-tumor and anti-virus than former Puromycin compounds. And it is chosen by natural selection processing through extraction, isolation and purification from , so it may replace old Puromycins in most applications.

활성탄 담체가 포함된 Jet-Loop Reactor를 이용한 종합염색폐수처리

  • Park, Jong-Tak;Lee, Gil-Ho;Ryu, Won-Ryul;Jo, Mu-Hwa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4a
    • /
    • pp.406-409
    • /
    • 2000
  •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dye-processing wastewater, JLR(Jet-Loop Reacto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were investigated. BOD removal efficiency was found as 99% when influent BOD concentration of dye-processing wastewater was 400 mg/L. $COD_{Mn}$ of effluent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as 86${\sim}$ 89% when these of activated sludge reactor were 62${\sim}$72%. Also, color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as 84${\sim}$87% when these of activated sludge reactor were 72%${\sim}$77%. After JL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had been used, all of the $COD_{Mn}$, $COD_{Cr}$ and color removal efficiencies Increased when chemical precipitation was done. Consequently, JL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was proved to be more excellent than the activated sludge reactor.

  • PDF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e Antibiotics Produced by a Clostridium sp. KH-431 (Clostridium sp. KH-431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의 특성 및 구조)

  • 홍수형;김경석;박용복;하지홍;이재근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21 no.1
    • /
    • pp.47-53
    • /
    • 1993
  • Antibiotics KG-431A and KG-431B were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the Clostridium sp. KH-431. As we have shown previously, only KG-431B was successful to recrystallize. These antibiotic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road spectrum of bacteria and fungi. KG-431B also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ome animal tumor cells according to the SRB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G-431B were determined using UV, IR, NMR and Mass spectra. It was identified to be 3-Indole propionic acid and the structure of the KG-431A i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 PDF

나노 크기의 생체 재료를 이용한 골 재생 촉진용 지지체의 제작 및 특성 평가

  • Heo, Su-Jin;Jie, Wei;Kim, Dong-Hwa;Lee, Si-U;Kim, Seung-Eon;Sin, Jeon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6.1-46.1
    • /
    • 2009
  • 우리 몸의 뼈를 재료적인 측면으로 보면, 주로 나노 크기의 콜라겐과 아파타이트로 이루어 져 있는 복합체이다. 때문에 최근 생체 모사적인 측면에서 나노 크기의 생체 활성 재료를 이용하여 골 재생 촉진이 우수한 지지체를 제작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 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크기의 재료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크기의 생체 재료에 비해 표면적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생체 활성 (bioactivity)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골 재생용 지지체의 구성 재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기계적 강도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크기의 HA, CaSiO3 등 다양한 나노 생체 활성 입자들을 침전법 (precipitation method)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골 재생 촉진을 위한 3차원 지지체를 제조 하였다. 또한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생체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와의 생물학적, 기계학적 비교 평가를 통하여 나노크기의 재료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나노 크기의 재료로 제작된 골 재생용 지지체의 경우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보다 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능이 우수하였고,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나노 크기의 생체 활성재료는 골 재생 촉진을 위한 지지체 제작에 응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한국전통식품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주의 항산화 활성)

  • Kim, Da-Young;Kim, Hong Seok;Yoo, Jung Sik;Cho, Yoon Ah;Kim, Cheol-Hyu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38 no.2
    • /
    • pp.89-9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a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Gram staining was performed by Macrogen (Macrogen, Inc.) for identification of the LAB. Five strains of LAB were identified, including DKGF9 (Lactobacillus plantarum), DKGF1 (L. paracasei ), DKGF8 (L. casei ), DK207 (L. casei ), and DK211 (L. casei ).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heat resistance of the strains was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commercial strain L. acidophilus LA-5. Indirect testing of the ability of the strains to attach to the mucin layer revealed that DKGF9, DKGF1, and DKGF8 have high binding affinities for the mucous layer. All strain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commercial strain LA-5. In proteolysis experiments, the diameters of proteolysis zones of the five strains increased in the period of 24-72 h, with DKGF1 exhibiting the largest zone diameter. Three strain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the five isolated strains, L. paracasei DKGF1 showed potential probiotic activity, and thus, it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promoting products.

Analysis of Gene-Drug Interactions Using Bayesian Networks (베이지안망을 이용한 유전자와 약물 간 관계 분석)

  • O, Seok-Jun;Hwang, Gyu-Baek;Jang, Jeong-Ho;Jang, Bye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1-97
    • /
    • 2002
  • 최근의 생물학 연구를 위한 기기의 자동화 및 고속화는 생물학 관련 정보량의 급증을 가져오고 있다. 예를 들어, DNA chip에서 얻어지는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는 수천 종류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동시에 측정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생물의 세포나 조직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다양한 현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관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생명공학의 전반적인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대량의 생물학 관련 정보의 분석이나 데이터 마이닝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표적인 기법들로는 각종 클러스터링(clustering) 및 신경망 계열의 모델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그래프모델의 하나인 베이지안망(Bayesian network)을 생물정보분석에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유전자 발현패턴과 약물의 활성패턴 및 암 종류 사이의 확률적 관계를 모델링한다. 이러한 모델은 NCI60 dataset(http://discover.nci.nih.gov)에서 베이지안망을 학습함으로써 구성된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sparse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들이 제시되며 학습된 모델에 대한 검증은 이미 생물학적으로 확인되어 있는 사실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된 베이지안망 모델은 각각의 유전자 간, 혹은 유전자와 처리된 약물 간의 실제 생물학적 관계를 다수 표현하며, 이는 제시되는 방법이 생물학적으로 유의미한 가설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적으로 생성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