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침입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기후변화 피난처로서 풍혈지의 식물자원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보전 및 관리방안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Plant Resources and Functions of Algific Talus Slope as a Climate Change Shelter)

  • 황태영;이종원;윤호근;박완근;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3-171
    • /
    • 2023
  • 본 연구는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에 대한 생물학적 가치와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풍혈에 대한 기초자료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분포하는 풍혈 25개소 중 지형학적 유형에 따라 분류한 애추형, 동굴형, 함몰형 풍혈 6개소를 선정하여, 지하에서 바람이 불어나오는 전석지를 경계로 구분하여 풍혈 내·외부로 나누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계절별로 기상정보와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여름철에 6곳의 풍혈 모두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났다. 6곳의 풍혈의 관속식물은 101과 350속 621종 18아종 57변종 7품종 70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29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위급종(CR) 5분류군, 위기종(EN) 3분류군, 취약종(VU) 4분류군 등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48분류군 등 총 168분류군, 북방계식물은 129분류군,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 중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8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6.8%로 나타났다.

문수산(김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속식물상 변화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 윤호근;이아영;안종빈;황태영;이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1-338
    • /
    • 2021
  • 본 연구는 경기도 김포의 최서북단 DMZ 접경지역 및 민북지역에 위치한 문수산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침입외래식물 등을 파악하고 확인된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95과 276속 395종 13아종 33변종 3품종 44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분류군의 약 9.09%로 나타났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출현한 한반도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산이스라지, 백운산운추리 등 6종이 관찰되었다.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총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 약관심종은 쥐방울덩굴과 창포가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초 3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IV등급은 바위말발도리 등 2분류군, III등급은 고광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등급은 잣나무 및 오리나무 등 총 1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개망초, 달맞이꽃 및 개쑥갓 등 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3.1%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8.0%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과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최근 조사 구간이 더 넓고 다양한 경로를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 비해 분류군 수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희귀·특산식물의 수는 크게 감소하고 외래침입식물의 수는 임도 및 등산로 등으로 크게 확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자생식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림휴식년제 등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정전후 무지개 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Before and After Insemination in Rainbow Tront, Oncorhynchus mykiss)

  • Yoon, Jong-Man;Park, Hong-Ya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6
    • /
    • 2000
  • 광학,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성숙난자의 방사대와 난문 및 정자가 난문으로부터 난세포질까지 침투하는 과정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무지개송어의 난문은 깔때기 모양의 전정부와 방사대를 가로 지르는 나사선 모양의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문은 윗부분은 편평하면서 긴 도관 모양을 가지고 있었고, 난문벽은 시계방향(우선형)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난문 주변부에 있는 난표면에는 정자를 접촉시키는 데 필요한 유인물 질을 분비하는 무수한 많은 돌출물이 원을 이루면서 존재하였다. 침투 초기단계에 난문의 도관에 있는 한 마리의 정자는 난표면에 수직상태로 확인되었고, 곧이어 수정이 이루어진지 250초가 경과하자 정자두부는 사라지게 되었다. 정자두부가 난내부로 침투한 이후에 난표면에 있던 돌출물의 상호연결부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부위로 정자가 침투하는 지를 살펴보았지만 그러한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난문의 수정추의 형태적인 구조를 관찰한 결과 이 미세구조물은 단 한 마리의 정자만을 허용함으로써 다정자침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포유동물 난자의 유성 및 무성 발생과정 동안 핵 및 세포질의 변화 (Nuclear and Cytoplasmic Dynamics in Mammalian Oocytes during Sexual and Asexual Developments)

  • Kim, Nam-Hy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7-12
    • /
    • 2000
  • 수정에 의한 배 발생은 정자가 난자 내로 침입하여 정자와 난자의 반수체 핵질이 융합되고 이어 유사분열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수정 및 초기 배 발생 동안 자웅 핵질과 난 세포질 구성 요소 상호간의 작용기전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 많다. 수정보조기법인 세포질 내 정자 직접 주입법의 개발은 남성불임치료에 혁신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수정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핵치환에 의한 복제동물 생산기법도 분화된 핵이 난 세포질 내에서 재 분화 (reprogramming)하여 발생하는 유일한 과정으로 세포질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과 발생 조절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최근 몇 년간 돼지 난자 세포질에 정자 및 원형정자 직접주입, 세포질 이식, 세포질 융합 및 핵치환 한 후 난자의 발생과정을 간접 면역형광 분석법과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체외수정, 세포질 이식 및 정자직접 주입법 등과 같은 임상치료기술 과 핵치환에 의한 복제동물생산 기법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포유동물 난자의 후생적 발생과정 (epigenesis)에 관해 공부할 수 있었다.

  • PDF

어류의 아기미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al lesions of gill in teleosts)

  • 허민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1993
  • 아가미는 체조직 중에서도 가장 섬세하고도 미묘하게 적응된 조직학적 구조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수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의 각종 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유해인자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아가미를 구성하는 조직성분중에서도 특히 이차새변상피는 단층 내지 두층의 얇은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가스교환을 할 수 있게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특수성이 오히려 각종 유해 인자의 침입 또는 이들에 의한 손상을 쉽게 할 수 있다. 아가미는 호흡기능 뿐만 아니라, 장 및 신장과 함께 삼투압의 조절, 노폐물의 배설의 기능도 갖는다. 그러므로, 새변상피의 괴사나 비후와 같은 형태학적 변화는 호흡, 분비 및 배설기능의 장애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새변상피의 기능적 및 형태학적 유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여기에서는 어떤 특정질병 또는 원인체에 관련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보다는 일반적으로 아가미조직의 조직학적 특수성을 우선 깊이 이해하고, 그 특성에 관련된 비특이적인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중심으로 기술함으로써, 특정 원인체와의 병리조직학적 반응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기하고자 이미 보고 및 출판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여기에 정리하였다.

  • PDF

낙동강권역 생태계 필요유량 산정방법 비교 연구 (Study on for Estimation of Ecological Instream Requirement in Nakdong River)

  • 박정은;김정곤;정영원;이상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0-180
    • /
    • 2011
  •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유량을 의미하는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수질보전, 하천생태계보호, 하천경관보전, 염수침입 방지, 하구막힘 방지,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보호, 지하수위 유지 등을 감안하여 산정하게 된다. 하천유량 변화는 하천내 동 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고등 생물인 어류의 서식처, 산란장소 및 산란조건 등은 유량 및 수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하천구간별 어류의 서식처 유지에 적절한 수심, 유속 등 수리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유량을 산정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어류의 적절한 수생 서식환경 평가를 위해 주로 유량 점증 방법론(IFIM,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개념에 입각한 물리서식처 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13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여 어류의 물리서식처 모형과 수심-유속-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간단법을 이용하여 생태계 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어류 물리서식처 모형으로는 어류서식환경 평가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생태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량점증방법론의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 모형을 선택하였다. 현장 모니터링 및 문헌조사를 통해 각 지점별 대표어종을 선정하고, 유량, 수심, 저수로 하천단면, 하상재료와 같은 수리특성을 조사하고, 선정된 한계단면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수심-유속-유량 관계곡선을 통하여 각 지점의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최소유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지점별로 서식처 적합도 지수(HSI, Habitat Suitability Index)와 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를 산정하였으며, 이는 PHABSIM 모형의 적용에 이용되었다. 물리서식처 모형과 간단법 적용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모든 지점에서 물리서식처 모형 적용결과가 간단법에 비해 크게 산정되었는데, 이는 간단법이 성어기 서식에 필요한 최소 수리조건을 선택하였지만, PHABSIM의 경우 성어기 어류서식의 최적 수심 및 유속을 이용하여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서식과 관련된 많은 관련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어류서식처에 맞는 최적의 생태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여성의 Lactadherin 유전자 Cloning과 발현 연구 (Cloning and Expression of Lactadherin Gene from Korean Women)

  • 염행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53-261
    • /
    • 2007
  • Lactadherin은 모유의 유지방구막의 당단백질의 하나로 mucin, butyrophilin과 결합된 복합체이다. 특히 모유중의 mucin과 lactadherin은 출생 직후 면역력이 약한 유아를 병균의 침입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어하여 초기 유아의 생존과 성장 및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Lactadherin은 유아 설사의 원인이 되는 rotavirus의 번식과 성장을 억제한다. 아울러 이 단백질은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촉진하는 주요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 단백질의 결핍이 치매의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중요성이 강조되는 lactadherin에 대한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인 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 여성의 유선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였고, 1.2 kb lactadherin cDNA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였다. 이 cDNA를 pET vector에 삽입하여 E. coli에서 43 kD 단백질을 발현시켰으며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으며, 이 단백질을 정제하여 토끼에서 항체를 생산하여, 한국 여성의 모유에서 발현되는 70, 55, 46, 30 kD의 band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백인 여성의 lactadherin 유전자와 한국 여성의 정상 및 유방암 조직의 유전자 비교에서 다양한 SNP가 관찰되었고 변이의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

세포동영상의 자동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세포추적방법 (Efficient Cell Tracking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of Cellular Sequences)

  • 한찬희;송인환;이시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40
    • /
    • 2011
  • 저속촬영이 가능한 현미경을 통해 얻어진 세포동영상에서 세포활동의 추적 및 분석은 종양의 전이, 바이러스의 침입, 상처회복, 세포분열과 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추적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각 프레임에서의 세포검출, 전후 프레임 내 세포들의 상관관계 조사, 새로운 세포의 인식 및 세포분열의 확인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효과적인 자동 세포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첫 번째 프레임에서는 세포영역의 특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각 세포의 마커 영역을 추출하고, 여기에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세포 분할을 수행한다. 연속된 프레임들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분할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분할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각 세포의 기하학적 특성과 밝기 특성의 결합 비용함수를 사용하여 전후 프레임 간 세포의 올바른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추적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실험에서 세포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CellProfiler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Drosophila melanogaster의 김포 자연집단이 유전적 구조 (The Genetic Structure of Kimpo Natual Popula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 이택준;김남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11
    • /
    • 1990
  • 본 연구는 김포 노랑 초파리 자연집단의 제 2 염색체에 보유되어 있는 유해유전자를 분석하여 집단의 유전적 구조의 일단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컷 초파리는 1974년가 1981-1987년 까지 매년 9월말경에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유해유전자의 빈도는 1987년 41.48%로 가장 높았으며 8년간에 대한 유의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Lethal gene의 동좌율은 1981년에 1.30%로 가장 낮았고 1974년에 5.03%로 가장 높았으며 동좌율을 이용한 유효생식집단 크기는 평균 약 3,300쌍으로 산정되었다. Lethal gene의 동형접합에 의한 제거율은 0.0004에서 0.0019의 범위였으며, 이것은 제 2 염색체의 돌연변이율보다 매우 작은 값이다. 김포자연집단의 lethal gene의 일정한 빈도는 p-type mutator factor (P element)의 침입에 의한 증가와 동형 및 이형접합 상태에서의 제거에 의해서 유지된다고 생각한다.

  • PD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의 최근 동향 (Recent Update in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 김혜진;강경민;김수진;임은옥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5-274
    • /
    • 2014
  • 장내 미생물은 사람의 장에 거주하는 미생물 집단으로 자신들의 효소를 이용해 사람에게 직접적인 에너지원이 되는 대사산물을 만들기도 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응하기도 하며 소화관의 구조와 기능유지 및 면역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다양한 분석기술을 통해 사람의 장에 있는 다종 및 다수의 미생물의 구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특정 질병을 지닌 사람의 장내 미생물 구성은 건강한 사람의 일반적인 구성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건강한 사람의 대변에 있는 장내 미생물을 질병을 지닌 수여자에게 이식하는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시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FMT는 장내 미생물의 구성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질병에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재발률이 높은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밝혀진 장내 미생물과 관련된 질병들의 종류와 실제 질병에 FMT를 적용한 사례 등을 정리하고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치료제나 진단도구의 예를 기술함으로써 장내 미생물의 사람의 건강증진과 질병치료를 위한 차세대 생물학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