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al lesions of gill in teleosts

어류의 아기미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 Huh, Min-Do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Jeong, Hyun-Do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Published : 1993.05.30

Abstract

The delicate histological structure of gill in teleosts can be easily affected by a variety of biological, chemical or physical detrimental agents because it is directly exposed to the surrounding water. The epithelium of secondary lamella is thin to allow efficient gaseous exchange and this also renders it particularly vulnerable to various pathogens. As well as the main respiratory role, the gill has other various important functions such as acid-base balance, osmoregulation or the excretion of nitrogenous waste products. Thus destruction of epithelial integrity such as epithelial necrosis or thickening can render a fish very vulnerable to respiratory, secretory and excretory difficulties. This article was tried to describe in detail the common processes of pathological responses correlated to the normal histological structures of the gill in teleosts.

아가미는 체조직 중에서도 가장 섬세하고도 미묘하게 적응된 조직학적 구조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수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의 각종 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유해인자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아가미를 구성하는 조직성분중에서도 특히 이차새변상피는 단층 내지 두층의 얇은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가스교환을 할 수 있게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특수성이 오히려 각종 유해 인자의 침입 또는 이들에 의한 손상을 쉽게 할 수 있다. 아가미는 호흡기능 뿐만 아니라, 장 및 신장과 함께 삼투압의 조절, 노폐물의 배설의 기능도 갖는다. 그러므로, 새변상피의 괴사나 비후와 같은 형태학적 변화는 호흡, 분비 및 배설기능의 장애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새변상피의 기능적 및 형태학적 유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여기에서는 어떤 특정질병 또는 원인체에 관련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보다는 일반적으로 아가미조직의 조직학적 특수성을 우선 깊이 이해하고, 그 특성에 관련된 비특이적인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중심으로 기술함으로써, 특정 원인체와의 병리조직학적 반응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기하고자 이미 보고 및 출판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여기에 정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