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자원

Search Result 2,0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Construction of High Quality Marine-Bodiversity Metadata DB (해양생물다양성 메타DB 고품질 구축 연구)

  • Yang, Sung-Yo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9-462
    • /
    • 2011
  • 해양생물다양성 자원에 대한 국가 주권을 인정하는 해양생물다양성협약의 발효로 생물다양성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각 기관 및 대학들이 보관하고 있는 해양생물자원 정보가 산재되어 있고, DB에 대한 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학술적, 산업적 활용이 어려운 상황임을 인지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생물다양성 자원 중 고품질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해양생물다양성 데이터 고품질 확보 방안을 위한 DB 품질 오류율 산정 기준을 적용하여 메타DB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향후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전략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6 unrecorded Pseudomonas spp. from Korean soil (토양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종 Pseudomonas 속 6종의 생화학적 특성과 계통 분류)

  • Kim, Hyun-Joong;Jung, You-Jung;Kim, Hae-Yeong;Hur, Moonsu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5 no.1
    • /
    • pp.39-45
    • /
    • 2019
  • In 2017, as a study to discover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in Korea, a total of 6 bacterial strains assigned to the genus Pseudomonas were isolated from soil. From the high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geq}99.5%$)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closely related species,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seudomonas species which were unrecorded in Korea. The six Pseudomonas species were Pseudomonas mandelii, P. canadensis, P. thivervalensis, P. jessenii, P. lurida, and P. brenneri. Gram reaction, culture conditions, colony and cell morphology, basic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in the species description section.

Effect of Dictyopteris divaricata Extracts on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 Chul Hwan Kim;Seok-Chun Ko;Hyun-Soo Kim;Gun-Woo Oh;Ji-Yul Kim;Kyung Woo Kim;Jeong Min Lee;Myeong-Seok Lee;Yun Gyeong Park;Gyeong Lee;Jae-Young Je;Jung Hye Won;Young Jun Kim;Dae-Sung Lee
    •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15 no.2
    • /
    • pp.59-66
    • /
    • 2023
  • Dictyopteris divaricata, a type of marine brown algae, has been studied for its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whitening effects. However, its potential antiobesity effects have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 divaricata ethanol extract (DD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using 3T3-L1 preadipocytes. Our results showed that when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noncytotoxic concentrations of DDE there was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fat accumulation rate and triglycerid produ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Furthermore, DD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PPARγ, C/EBPα, and SREBP-1) and fatty acid transport protein (FABP4), which are crucial for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DE may exhibit antiobesity effect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l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Therefore, DDE hold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Republic of Korea's Position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an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생물다양성협약 대응 대한민국의 전략 - 디지털 염기서열 정보 및 2020년 이후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 프레임워크 -)

  • Byoungyoon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4
    • /
    • 2022
  • 앞으로 10년간 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2022년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다. 전 세계 전문가와 정책입안자들이 여러 내용을 다루지만 그중에서도 염기서열 정보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우선 생물다양성협약에서의 이익공유에 관한 내용은 북아시아 원산인 콩을 현재 대량으로 재배하고 수확하고 있는 미국, 브라질 등의 사례를 선별하여 소개한다. 이어서 생물다양성협약 체결 전후의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국제적으로 합의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핵심 내용을 발표한다. 그러나, 최근의 합성생물학은 유전정보만을 가지고 설계자의 의도대로 실물 생물자원 없이 새로운 생물과 원하는 물질을 합성할 수 있기에 국제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유전공학과 합성생물학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유전정보를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익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알아본다. 생물자원 이용 국가들은 유전정보는 물리적인 실체가 없기에 이익공유대상이 아님을 주장하면서 유전정보는 원하는 누구에게나 이용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생물자원 풍부국 입장은 생명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원산지 국가의 허가 없이 생물 유전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생물 주권의 침해로 보고 있으며, 유전정보를 실물 생물자원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나고야 의정서상의 이익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유전정보에 대한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입장과 제 14차 협약 총회에서 합의한 결정문을 소개한다. 또한, 2019년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에서 지구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를 평가한 보고서에서 생물 멸종의 위협요인으로 제시된 토지이용 변화, 남획, 기후변화, 오염, 외래종에 대한 문제점을 기반으로 작성된 post-2020 생물다양성협약 10개년 실행 목표를 알아보고 2022년 12월 개최하는 제15차 당사국총회의 주요 의제에 대한 전망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인 책임(CBDR,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의 개념을 소개한다.

  • PDF

Draft genome sequence of Bacteroides sp. KGMB 02408 isolated from a healthy Korean feces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Bacteroides sp. KGMB 02408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

  • Yu, Seung Yeob;Kim, Ji-Sun;Oh, Byeong Seob;Ryu, Seoung Woo;Park, Seung-Hwan;Kang, Se Won;Park, Jam-Eon;Choi, Seung-Hyeon;Han, Kook-Il;Lee, Keun Chul;Eom, Mi Kyung;Suh, Min Kuk;Kim, Han Sol;Lee, Dong Ho;Yoon, Hyuk;Kim, Byung-Yong;Lee, Je Hee;Lee, Jung-Sook;Lee, Ju Huc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5 no.3
    • /
    • pp.296-299
    • /
    • 2019
  • The genus of Bacteroides has been isolated from vertebrate animal feces. Bacteroides sp. KGMB 02408 was isolated from fecal samples obtained from a healthy Korean. The wholegenome sequence of Bacteroides sp. KGMB 02408 was analyzed using the PacBio Sequel platform. The genome comprises a 5,771,427 bp chromosome with a G + C content of 39.50%, 5,005 total genes, 18 rRNA genes, and 74 tRNA genes. Furthermore, we found that strain KGMB 02408 had some genes for oxidoreductases and menaquinone biosynthesis in its genome based on the result of genome analysis.

Metabolomics in Natural Products Research (천연물 연구에서의 메타볼로믹스)

  • Chan Seo;Tae-Su Kim;Bo-Ram Kim;Su Hui Seong;Jin-Ho Kim;Ha-Nul Lee;Sua Im;Jung Eun Kim;Ji Min Jung;Jin-Woo J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16-16
    • /
    • 2023
  • Metabolomics is the study of global metabolite profiles in a system (cell, tissue, or organism) under a given set of conditions. Metabolomics has its roots in early metabolite profiling studies but is now a rapidly expanding area of scientific research in its own right.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s of metabolomics in natural product studies are explored. Ginseng is a well-known herbal medicine and ha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which include antiaging, anticancer, antifatigue, memory enhancing, immunomodulatory, and stress reducing effects. Metabolomic analysis of organic acids has not been performed for evaluation whether ginseng has been cultivated using conventional or environmental-friendly farming methods. In this study, profiling analysis was conducted for organic acids (OAs) in ginseng roots produced using conventional 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s at five locations in each of five regions. In OA profiles,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A in all regions, with the excep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ed ginseng in two of the five regions, in which glycolic acid was most abundant OA. OA profiles in all regions showed isocitric acid levels were increased by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which suggests metabolic differences associated from farming method, and that isocitric acid might be a useful discriminatory biomarker of environmental-friendly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metabolomic studies of OAs in ginseng roots might be useful for monitoring whether ginseng has been cultivated using conventional or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