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상

Search Result 1,95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aunal Analysis and Oceanic Environment of the Recent Benthonic Foraminifera from the West and South Sea of korea (한국 서남해에서 산출된 현생저서 유공충의 동물군 분석 및 해양환경 연구)

  • CHEONG, HAE-KYUNG;PAIK, KWANG-HO;PARK, BYONG-KW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27 no.2
    • /
    • pp.123-136
    • /
    • 1992
  • As a result of faunal analysis on 50 bottom samples bearing a total of 183 species of the Recent benthonic foraminifers from the West and South Sea of korea, five bioassociations (groups of species) and five biotopes (groups of samples) were discriminated. From the areal distribution of biotopes in combination with bioassociations and the available ecological data of foraminiferal species, five biofacies are recognized: (1) Southern Inner Shelf Biofacies; (2) Southern Coast Biofacies; (3) Northern Middle Shelf Biofacies; (4) Central Middle Shelf Biofacies; and (5) Southern Outer Shelf and Upper Slope Biofacies. The biofacies are defined by a group of sampling stations containing a diagnostic species association and can be related to the major current pasterns and water masses in the West and South Sea of Korea: Southern Inner Shelf Biofacies is related to the Coastal Waters and drainage from China; Southern Coast Biofacies is related to the Coastal Waters and drainage from Korea; Northern Middle Shelf Biofacies is related to the Coastal Waters and Yellow Sea Cold Water, Central Middle Shelf Biofacies is related to the Yellow Sea Warm Current; and Southern Outer Shelf and Upper Slope Biofacies is related to the Tsushima Warm Current.

  • PDF

Estimation of Benthos Distribution Using Optic Satellite Data (광학위성자료를 이용한 저서생물 분포 추정)

  • Ryu, Joo-Hyung;Kim, Kye-Lim;Shin, Sang-Ho;Koo, Bon-J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14-317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다양한 퇴적환경을 공간자료화하거나 표층 생물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졌다. 그러나 갯벌 속에 존재하는 저서생물에 대한 양을 추정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 근소만에 대하여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DEM과 퇴적상 등의 분포를 공간자료화하고 이들로부터 생물상과 관련이 있는 노출시간 등의 2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현장조사에 의해 얻어진 갯벌 생물 종/개체수와 갯벌의 퇴적환경 공간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갯벌 저서생물의 공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노출시간은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퇴적상 현장조사와 연계하여 우점종을 분석한 결과, 노출시간이 가장 긴 노출시간 I 등급 지역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와, 칠게와 가재붙이가 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II 지역의 모래 우세지역에는 쏙이 그리고 펄 우세지역에는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III과 IV 지역은 조하대쪽으로 모래 성분이 전체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펄털콩게와 바지락이 우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oramniferal Characteristics in the Ganghwa Tidal Flat (강화 남부 갯벌의 유공충 특성)

  • Woo, Han Jun;Lee, Yeon Gyu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3
    • /
    • pp.51-65
    • /
    • 2006
  •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199 stations in the study area in August 2003. The surface sediments consisted of six sedimentary facies. Generally, sandy mud sediments dominated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Ganghwa Island and sand sediments dominated in channel and subtidal zones of the western part of Ganghwa Island. The area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eastward tidal flat compared to sedimentary facies in August 1997. In 30 surface sediment samples from the Ganghwa tidal flat and subtidal zone, 61 species were record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34 species of living population. Ammonia beccarii and Elphidium etigoense in living population and Ammonia beccarii, Elphidium etigoense, Jadammina sp. and Textularia earlandi in total assemblage were widely distributed. Generally, relatively large numbers of species and high values of species diversity occurred in the area of western part of tidal flat. Cluster analysis of total assemblages discriminates four biofacies. Biofacies 1 indicated eastern part of the tidal flat and biofacies 4 indicated western part of the tidal flat. Biofacies 3 were transitional zone between biofacies 1 and 4.

  • PDF

The Management Plant of the Youido Satkang Ecology Park Based on Ecosystem Monitoring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

  • 최병언;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26-38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최초의 생태공원인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물서식환경 조성기법을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니터링은 생물서식환견으로서는 수환경과 토양환경을 분석하였고, 생물상 모니터링으로 식물상, 식물군집구조, 동물상으로 구분하였고, 동물상은 조류와 어류의 변화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모니터링 내용은 식물상의 변화와 식물군집의 천이과정, 두 연못에 적용된 식생호안 공법별 식생피복룰과 발생식물상의 변화, 귀화식물의 발생 정도에 따른 귀화율의 비교이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류와 어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PDF

천곡동굴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104-108
    • /
    • 1993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천곡동굴의 생물상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78-79
    • /
    • 1994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Effects of In-Situ Flushing on the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Endosulfan (In-Situ Flushing기법이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 전민하;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198-201
    • /
    • 2001
  • In-situ flushing의 적용에 따른 농도 저감이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농도 13mg/kg dry soil과 3mg/kg dry soil인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각각 86% 및 81%였으며, 두 가지 토양 모두 24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물질전이 속도가 율속 단계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가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질전이 속도가 향상되어 생분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초기농도 3mg/kg dry soil인 경우 120시간이 경과한 후 8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용매가 동시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순응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과 에탄올의 경우 각각 8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재조합 인터페론-알파-2a의 고체상 N-terminal mono-PEGylation: Isolation, Separation, Ch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 Lee, Byeong-Guk;Yu, Chang-Hun;Lee, Seon-Gyeong;Lee, Yong-Seok;Kim, Jin-Yeong;Lee, Jeong-Hwa;Lee, Eun-Gyu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4a
    • /
    • pp.484-488
    • /
    • 2003
  • 고체상 site-specific mono-PEGylation 공정은 액체상 PEGylation 공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무작위적인 multi-PEGylation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고체상에서 PEGylation을 수행함으로써 액체상 PEGylation 공정에서 필요한 분리정제 단계를 줄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Ecological Studies of Fauna in and around Do-rim Urban Streams (도림천 및 주변지역에 서식하는 육상동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05-113
    • /
    • 2009
  • Wetland ecosystem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one in nature. Wetland is an areas in which transit between terrestrial and stream ecosystem.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fanua (birds, mammals, amphibians and reptiles) in urban stream of Dorim. A total of 3 orders, 6 families and 9 species for mammals; 17 families, 30 species of birds; 3 families and 4 species of amphibians and 2 families and 3 species of reptiles were reported. This is a through study for species identification in Dorim steams.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organisms were found around Dorim stream and this study will better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wetland restoration and establishment of biotope where organisms breed and survive.

  • PDF

광양만내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

  • 홍상희;임운혁;심원준;오재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24
    • /
    • 2002
  • Polychloinated biphenyls (PCBs) 및 유기염소계 농약은 UNEP에서 지속성유기오염물질(POPs)로 규정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환경내 잔류성이 강하고 먹이사슬을 딸라 생물증폭되는 화합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생물, 해수 중의 농도를 정량ㆍ정성분석하였다. 해수의 용존상을 제외한 모든 매질에서 PCBs와 DDT 화합물이 주요 유기염소계 화합물로 검출되었다. 퇴적물 중의 총 PCBs, DDTs, CHLs(클로르단 화합물), HCHs (헥사클로르사이클로헥산)의 농도는 각 각 0.61-1.97 ng/g, 0.16-1.16 ng/g, nd-0.51 ng/g, 0.05-0.79 ng/g의 농도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수준은 우리나라 주요 만 (부산만, 영일만, 울산만, 경기만)에서 조사된 퇴적물 중의 농도와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며, 저서생물에 독성학적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이매패류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는 총 PCBs (4.42-19.ng/g), 총 BBTs (7.54-22.6ng/g), CHLs (0.49-2.0ng/g), HCHs (0.82-7.32ng/g)의 범위를 나타었다. PCBs의 경우 산업시설 및 도시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해수 중의 PCBs 농도는 제철소 인근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해수의 용존상에서는 입자상에서와 달리 DDTs보다 HCHs가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는 두 상에 분배되는 이들 화합물의 성향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