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막 공정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8초

상향류 및 하향류 생물막여과공정의 처리특성에 관한 연구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erated Filter Process Using the Upflow and Downflow System)

  • 이양규;김건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37-848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test results of biological aerated filtration(BAF) process to replace activated sludge process by enhancing treated effluent quality and reducing the costs. In BAF process both BOD and SS compounds in wastewater are degraded and removed by biological reaction and filtration. Upflow BAF with expanded polypropylene media and downflow BAF with ceramic medi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draulic and organic loads on effluent quality. As a result, in BAF processes which has different media, upflow BAF reactor shows 5% higher efficiency than downflow BAF and this phenomena caused by backwashing methods and operational conditions. The results of influence factor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ethod in BOD and SS treatment efficiency are the size of media, hight of media bed and type of media. The quantitative effects of media size are 5.73% in TBOD, 5.78% in SBOD and 7.65% in TSS, so we confirmed the main factor is media size.

한외여과에서 자연대류 불안정성의 막오염 제어 효과 (Effects of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on Membrane Fouling Control in Ultrafiltration)

  • 김태곤;염경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1-104
    • /
    • 1997
  • 1. 서론 :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는 장치 및 조작이 간단하고, 열의 사용없이 물질을 분리 정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제품 등을 비롯한 거대분자들의 분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외여과 공정의 운전시 가장 큰 문제점은 막에 의해 분리된 물질들이 필연적으로 막표면에 가역적으로 누적되는 농도분극(concentration polarization)과 이 누적된 물질이 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막표면에 비가역적으로 침적되는 막오염(membrane fouling)현상을 유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외여과는 막세공과 분리 대상물의 크기차에 의한 sieve effect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막오염이 발생되면 세공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막히게 되어 결국에는 투과선속(permeate flux)이 감소하고, 막의 세공분포가 달라져 막 본래의 분리성능에 변화가 초래된다.(생략)

  • PDF

혐기성 고정 생물막 공정에서 유입 농도의 변화에 따른 기질 전달 현상

  • 이덕환;김도한;박영식;윤태영;송승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51-354
    • /
    • 2002
  • 부산광역시 수영 하수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농축조로 보내지는 혐기성 슬러지를 탈기된 증류수와 1:1로 희석하여 11.900 mg/L로 만든 후 혐기성 고정 생물막 반응기에 15일간 생물막을 부착시킨 후, 부유 슬러시를 제거하고 각 반응기에 각각 8.00 mgTOC/L, 9.76 mgTOC/L, 및 18.97mgTOC/L의 기질 농도를 유입하여 HRT 0.496일로 각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실험하였다. 기질 전달 현상과 관련하여 각 반응기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저농도로 기질이 유입된 반응기 l과 2에서는 생물막 두께 및 기질 제거율, 기질 소비 속도 상수($k_v$), 유효 확산 계수($D_{eff}$) 가 비슷하였으나, 고농도로 기질이 유입된 반응기 3에는 자농도로 기질이 유입된 반응기 1과 2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실험에 사용된 혐기성 미생물이 고농도의 기질을 유입하였을 때, 더욱 원활하게 성장함에 따라 높은 기질 소비를 나타내었다.

  • PDF

조합형 분리막공정을 이용한 침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Leachate Using Combined Membrane Process)

  • 강문선;최광호;손성섭
    • 멤브레인
    • /
    • 제10권4호
    • /
    • pp.213-219
    • /
    • 2000
  • 고령화매립지 침출수 처리에서 발생되는 난분해성물질의 제거 및 탄소원 부족에 의한 탈질의 제한문제를 해결하고자 분리막침지형생물반응기(SMBR)와 역삼투(R/O)공정의 조합공정을 침출수처리에 적용하였다. 먼저 용인시에서 SMBR Pilot 테스트를 약 100일간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SMBR 공정에 대한 신뢰성은 확인되었으나 ($NH_3$-N제거율 : 90%) 난분해성물질의 제거와 질산화의 한계는 있었다. 실플랜트 규모에서는 조합공정(SMBR + R/O)의 성능을 관찰하였는데 방류수의 $COD_{Cr}$이 3mg/L 이하(98%), TN이 50mg/L 이하(94%)의 우수한 처리효율을 보였다.

  • PDF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투과증발막의 부탄올 분리/농축 연구 (Butanol Separation/Concentration by Plasma Treated Pervaporation Membrane)

  • 김현영;임군택;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10권4호
    • /
    • pp.198-204
    • /
    • 2000
  •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richloroethylene 분해를 위한 혼합 메탄자화균 생물막 반응기의 초기 조건 (Initial Condition of Methanotrophic Consortium Biofilm Reactor(MCBR) for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 이무열;양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71-980
    • /
    • 2000
  • 가용성 메탄산화효소를 분비하는 혼합 메탄자화균총을 celite R-635에 고정화시켜 TCE 분해를 위한 새로운 형식의 가압 산기식 혼합 메탄자화균총 고정층 생물막 반응기를 설계하였다. Celite R-635에서 용출되는 용액의 pH는 약 4시간 후부터 안정화되어서 중성 영역에 도달하므로 더 이상 중화할 필요가 없었다. 혼합 메탄자화균 생물막을 완전히 형성하기 위해서는 130일이 걸렸으며, 처음에 흰색을 띠고 있었던 celite는 점차 붉게 변해 갔었다. 생물막이 형성된 후에는 메탄과 산소를 각각 2.5~4, 8~10 ppm씩 공급할 때 하루 동안 체류한 후 0.5~1, 1~2 ppm 정도로 농도가 낮아졌다. 초기에 2 ppm의 TCE를 메탄자화균 고정층 생물막 반응기에서 10시간 동안 체류시켰을 때 79.9%의 분해 효율을 보였다.

  • PDF

부유메디아 생물막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처리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using Moving Bed Bioractor)

  • 신동훈;이상헌;류승한;박준형;조석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110-110
    • /
    • 2011
  • 염색공업 폐수는 그 성분이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작업공정의 가동 사항에 따라 수질 변동이 큰것이 특징으로, 각 공정에서 배출되는 염료, 보조화학물질, PVA(Polyvinyl alchol), 전분, wax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pH가 높고, 색도로 인해 하천에 방류될 경우 확산성이 높아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방해하여 하천의 수중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염색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일반적으로 응집침전, 부상분리법 등의 전처리한 후 활성오니공정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 처리공정으로는 폐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화학적 구조의 색소성분 및 유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염색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는 산소활성슬러지법, 유동상 및 고정상 생물막법, 포괄고정화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중 기존의 처리공정을 증축없이도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담체를 이용한 부유메디아 생물막공정(Moving-Bed BioReactor, MBBR)이 있다. 이공정은 미생물이 부착, 성장할 수 있는 공극율과 비표면적이 큰 담체를 이용하므로 반응조내의 부유 미생물 뿐만 아니라 담체에 고농도로 부착된 부착 미생물에 의해서도 유기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다른 공정들에 비해 처리효율이 뛰어나고 기존의 활성슬러지 공정에 비해 갑작스러운 부하변동 및 유독성 폐수유입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연구에서는 부유메디아 생물반응기(Moving-Bed BioReactor, MBBR)을 이용하여 염색폐수내 $COD_{Mn}$, 색도 및 난분해성 물질인 PVA 저감에 대한 Lab-scale test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염색폐수의 수질은 평균 pH 13, $COD_{Mn}$ 900 mg/L, SS 135 mg/L, 색도 1,134 [C.U.], PVA 593 mg/L였으며, 2L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회분식 실험을 수행였다. 본 실험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염색폐수의 생분해가 유지되는데 필요한 최적의 용존산소 농도와 이에 필요한 공기 폭기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i) DO uptake rate측정과 ii) 담체의 충진율, iii) COD/N ratio, iv) Air 유량, v) 담체내 흡착제의 종류, vi) $Ca^{2+}$ 첨가가 염색폐수의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운전시간을 7일로 하여 COD, 색도, PVA 등을 측정한 결과 담체를 첨가한 경우가 담체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보다 제거효율이 뛰어났다. 특히 충진율 30%(C/N 3)의 경우에서 COD, 색도, PVA의 제거율이 각각 평균 65%, 70%, 60%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생물막 끈상여재를 이용한 낙차형태별 수중 미량유해물질 ibuprofen, acetaminophen, caffeine분해특성 (Removal characteristic on micropollutants as ibuprofen, acetaminophen, caffeine in small water fall system using HBC ring media)

  • 독고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9-135
    • /
    • 2009
  • PPCP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s known as micropollutant that is released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Research represents that these contaminants have increased in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tries to make four different trickling filter systems using plastic fiber media to remove PPCP such as acetaminophen, ibuprofen, caffein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at compares the process efficiencies of four different systems (A, B, C and D) using HBC media show that almost all the reactor has around 95% removal efficiency. Slope type HBC reactor has twice higher efficiency rather than submerged type reactor to remove PPCP in water system. In 8 hours, 89% of acetaminophen, ibuprofen, caffeine are removed in slope type reactor while 39% of them in submerged type.

완속여과 공정에서 표층 생물막 생성 및 제어와 원인조류 규명 (Analysis and effectiveness of biological thin Layer (Schmutzdecke) on the sand surface in slow sand filtration processes)

  • 김성수;박노석;김충환;박종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9-298
    • /
    • 2008
  • Because of their simplicity, efficiency, and economy, slow sand filters are appropriate means of water treatment for small water systems. Biological activity within the sand bed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by slow sand filtration. This report investigated the microorganisms(algae) of slow sand filtration pilot plant at Y water treatment plant. Data were collected at inflow and slow sand filtration from May to October, 2007.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ght exposure was influenced on microorganism in slow sand filtration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algal biofilm.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biomass and accumulated particulates to head loss development in slow sand filters requires further study.

전기응집 분리 막 생물반응기의 막 오염 저감 (Membrane fouling reduction using electro-coagulation aided membrane bio-reactor)

  • 김완규;홍성준;장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05-114
    • /
    • 2018
  • 전기응집 (Electro-coagulation)을 활용한 분리 막 생물반응기 (Membrane Bio-Reactor) 공정의 막 오염 저감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전기응집의 주요 운전 인자인 전류밀도와 접촉시간 변화가 활성슬러지 혼합액의 막 여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전기응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산화금속염이 막 오염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류밀도를 $10A/m^2$으로 높게 유지한 경우에는 전기응집 시간이 증가하여도 막 오염 감소 효과가 크지 않은 반면 $2.5A/m^2$의 낮은 전류밀도 하에서는 전기응집 시간이 증가하면 추가적인 막 오염 감소가 관찰되었다. 즉, 막 오염을 감소시키는 전류밀도와 접촉시간의 곱이 전체 막 오염 저감 정도를 지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어진 전류밀도와 인가시간에서 입도분포는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콜로이드 입자와 막 오염 저감과는 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전기응집을 통해 생성된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이 막 여과 과정에서 동적 막 (Dynamic Membrane)을 형성하여 막 오염 현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기응집에서 발생한 수산화금속염이 막 표면에 동적 막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유입수의 입자성분이 직접 막 표면과 내부에 침적되는 것을 방해하고 동적 막에 주로 쌓이게 함으로써 막 오염이 감소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힌 수산화금속염에 의한 동적 막의 역할은 전기응집을 활용한 MBR 공정의 후 막 오염 감소 메커니즘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