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가스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3초

연료 전환 사업의 방법론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상쇄제도 분석 (Methodology of the Fuel Conversion Project and Analysis of the Offset System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

  • 김억용;신민창;박정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478-485
    • /
    • 2022
  • 외부사업을 통해 발행받은 인증실적을 배출권 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에게 판매하고 할당 대상업체는 구매한 외부사업 인증실적을 상쇄 배출권으로 바꾸어 할당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방법론은 기존 기름보일러를(유종별) 사용하던 화석연료를 상대적으로 탄소 함량이 적은 프로판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로 교체하였을 때 유종별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분을 인정받아 온실가스 감축을 하지 못해 배출허용량을 넘긴 대기업의 부족된 할당량으로 보충하기 위한 초기 분석으로 탄소감축 배출량과 배출권 거래 금액을 산출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숯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분해가스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gas production in charcoal production process of lignocelluloisic biomass)

  • 박수남;구재회;임용택;허려화;서용교;이일규;하후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3-446
    • /
    • 2009
  • 바이오매스 에너지라 함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을 이용하는 에너지이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 위기 및 $CO_2$에 의한 지구온난화 및 화석자원의 고갈이 진행되면서, 화석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중의 하나이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기술로는 직접연소, 열화학적 변환, 생화학적 변환의 기술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를 원료로 한 부분산화 조건의 숯 생산 공정에서 목재의 열분해 가스 생산특성을 고찰하였다. 열분해가스 중에 응축된 목초액의 pH는 3.58~3.92 정도로 분석 되었고, 산도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2.74에서 4.44%로 농도가 증가 되었다. 숯 생산 공정에서의 목재의 열분해는 초기부터 48시간까지는 열분해가스의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48시간 경과 후에는 열분해가스 중에 가연성가스인 $H_2$, CO, $CH_4$가 약 5%정도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반식 퇴비화 암모니아가스의 부숙퇴비를 이용한 탈취성능 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atured Compost Biofiltration of Ammonia Gas from the Agitated Composting)

  • 홍지형;박금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2
  • 실제 규모의 반밀폐 교반통기식 퇴비화 시스템에서 돈분과 톱밥의 혼합물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의 탈취처리를 위하여 개방식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제작하고 바이오필터로서 부숙퇴비를 이용하여 탈취시험을 수행하였다. 퇴비화 및 탈취과정에서 재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암모니아가스의 발생량을 측정하여 퇴비화의 특성 및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바이오필터의 암모니아가스 탈취효율은 2개월 평균 84%로 나타났으며 탈취재를 통과한 후의 암모니아가스의 농도는 최대 45ppm 이하로 나타나 허용농도 (50ppm) 범위에 있었다. 부숙퇴비는 교반통기식 퇴비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의 탈취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물학적 정보를 활용한 병원에서 존재하는 공기중 부유 세균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유용성 (Usefulness of Chlorine Dioxide to Airborne Bacteria at a Hospital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2020
  • 본 연구에서, 세균의 생물학적 정보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생화학적 정보들을 활용하여, 그람 양성 세균인 Alloiococcus otitis, Erysipelothrix rhusiopathiae, Staphylococcus caprae, Staphylococcus lentus 및 그람 음성 세균인 Acinetobacter baumannii complex, Aeromonas salmonicida, Brucella melitensis, Oligella ureolytica에 대한 이산화염소가스의 성장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는 10 CFU 미만으로 세균의 성장을 약 99 % 억제하였다. 하지만, 그람 양성인 Alloiococcus otitis 및 그람 음성인 Aeromonas salmonicida는 약 50 CFU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세균과의 실험 결과를 비교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는 세균 억제에 대해 10 ppm 내지 400 ppm 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임상에 있는 근무자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예방하는 사전 지식에 도움이 되는 경우, 융합분야 중, 임상에서처럼 환자 치료와 같은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에,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해 억제되는 미생물들의 정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감염된 미생물들을 신속히 억제하는데 기초가되는 연구결과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형기공성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된 니켈촉매 상에서 액화천연가스(LNG)의 수증기개질반응에 의한 수소 제조 (Hydrogen Production by Steam Reforming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over Nickel Catalyst Supported on Surfactant-templated Mesoporous Alumina)

  • 서정길;윤민혜;송인규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47-53
    • /
    • 2009
  • 양이온성(C), 음이온성(A) 및 비이온성(N) 계면활성제 각각을 주형물질로 사용하여 중형기공성 알루미나 (A-C, A-A 및 A-N)를 제조한 후, 이를 담체로 활용하여 일반적인 함침법으로 담지 니켈촉매(Ni/A-C, Ni/A-A 및 Ni/A-N)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액화천연가스의 수증기 개질반응에 의한 수소 제조에 적용하였다. 소성된 촉매에서 니켈종은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중형기공성 알루미나 담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되었다. 하지만 환원된 촉매에서 니켈과 알루미나 담체 간의 상호작용 세기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밀접하게 의존하였다. 액화천연가스 전환율 및 건가스 중 수소가스 조성은 Ni/A-C < Ni/A-A < Ni/A-N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환원된 촉매 상의 니켈 비표면적이 증가할수록 반응활성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촉매중에서 니켈 비표면적이 가장 높은 Ni/A-N 촉매가 가장 높은 반응환성을 나타내었다.

Glucose를 기질로 한 Rhodospirillum rubrum KCTC-1372 의 수소생산

  • 박준성;이상묵;박기용;김철경;김남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277-280
    • /
    • 2000
  • 수소 생산량은 기질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수소의 분자수와 균주간의 특성에 의해서 좌우된다. 광합성 세균에 의한 수소 가스 생산은 유기물질 및 물을 전자 공여체로 하여 광합성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론적으로 수소생산량은 glucose 한 분자로부터 12분자의 수소가스가 생산된다.

  • PDF

토양가스 측정을 위한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Situ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soil gas)

  • 유찬;이종범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10-416
    • /
    • 2005
  • 생물학적 통풍법은 유류오염 지역에 자주 적용되는 정화공법이다. 이 과정은 지중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토착 미생물에 의한 오염성분의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공법의 적용시 공정진행에 따른 공법의 효율성 분석과 장기적인 정화효율 예측을 위한 지중 가스성분의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그 적용사례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토양가스 성분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사례를 시스템의 구성과 측정방법, 관측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현장적용 결과는 토양가스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용 시작 후 6개월동안 센서나 측정장비에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공정관리를 위한 공법효율성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PDF

실험실규모의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저감 및 메탄전환 공정 연구 (A Study on the Lab-scale process of $CO_2$ conversion to $CH_4$)

  • 이준철;김재형;전혜연;박홍선;장원석;박대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1.2-111.2
    • /
    • 2011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산화탄소의 분리 및 유용물질 전환 등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전환시키는 생물학적 반응은 acetotrophic methanogen, hydrogenotrophic methanogen 등의 미생물이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hydrogenotrohpic methanogen을 이용하여 메탄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체류시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선행 연구로 혐기성슬러지의 혼합배양균으로부터 hydrogenotrophic methanogen을 우점종화 하기 위해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소 가스를 주입하여 고농도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반응기내의 이산화탄소의 메탄전환 균주로써 수소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hydrogenotrophic methanogen이 배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의 체류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메탄 전환 실험 결과, 약 4시간에서 이산화탄소의 저감률이 99%이었으며, 체류시간이 2시간, 1.5시간인 경우 이산화탄소의 저감률은 각각 71%, 68% 이었다.

  • PDF

연소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기술 (Biological Removal of Nitrogen Oxides from Combustion Flue Gases)

  • 이기세
    • 공업화학
    • /
    • 제21권3호
    • /
    • pp.243-251
    • /
    • 2010
  • 연소배가스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촉매 환원, 흡수, 흡착 등 화학적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생물학적 공정의 개발 및 이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소 배가스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공정의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장단점을 고찰하였다. 질산화와 탈질 기작을 이용하는 박테리아 시스템과 광합성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기술의 원리와 현재의 기술 수준을 논하였다. 두 경우 모두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불용성의 일산화질소를 일단 적절한 흡수제에 고농도로 포집시킨 후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 또는 고정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며, 배가스 중 $CO_2$와 NOx를 동시에 고정이 가능하고 별도의 탄소원이 요구되지 않는 미세조류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