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명의나무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4초

두릅나무 '자오'의 체세포배 유도와 식물체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삼투압제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Osmoticums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s Regeneration in Aralia elata Cultivar 'Zaoh')

  • 김지아;문흥규;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29-134
    • /
    • 2005
  • 체세포배 유도를 통해 두릅나무 역병 저항성 개체인 '자오'의 효율적인 재분화가 가능하였다. 절편에 따라 배발생 캘러스에 요구되는 생장조절제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경우 MS 배지에 2,4-D와 TDZ, L-glutamine이 처리된 배지에서 캘러스와 체세포배의 유도가 양호하였으며, 엽병과 뿌리는 2,4-D 단독처리 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적정 배양조건하에서 배발생캘러스 유도율은 잎, 엽병, 뿌리로부터 각각 75%, 67% 및 83%를 나타냈다. 삼투압제 처리에 따른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sucrose, glucose, maltose모두 9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식물체 형성은 2% sucrose에서 72%로 가장 좋았다. 어린 식물체는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1/2MS 배지에서 정상 식물체로 생장하였고, 인공상토에 이식하여 95% 이상 순화하였다. 본 실험결과는 두릅나무 역병 저항성 개체 '자오'의 체세포 배발생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성숙목의 아배양에 의한 기내번식 (Micropropagation of Mature Betula davurica by Bud Cultures)

  • 문지연;문흥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1-274
    • /
    • 1999
  • 아배양을 통한 물박달나무 성숙목의 기내증식은 DKW 배지에서 양호하였다. 이 배지는 다른 두 배지보다 줄기증식 및 줄기생장이 양호하여 물박달나무의 적정 배지로 생각되었다. DKW 배지에서 액아배양과 정아배양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증식에는 액아배양이, 생장에는 정아배양이 다소 양호하였다. 한편 1/2 MS 배지에서는 절편기부에 callus가 직경 1.0cm이상 지나치게 형성되어 줄기신장을 억제하였고, WPM에서는 줄기형태는 정상이나 생장이 저조하여 물박달나무의 아배양 배지로는 부적당하였다. 발근은 NAA 처리가 IBA 보다 효과적이었다. l/2 DKW 배지에 1.0 mg/L NAA 처리로 80%의 기내발근 되었으며 유도된 뿌리수도 많았다 얻어진 줄기는 직접 기외삽목도 가능하였는데, 이 같은 결과는 물박달나무 성숙목의 효율적인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거제 학동 동백나무림 주변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around Camellia japonica Stand in Hakdong, Geoje Island)

  • 정재민;정혜란;강진택;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1-40
    • /
    • 2010
  •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 보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다. 현장조사는 동백나무림, 혼효림, 편백조림지, 해송림에서 이루어졌다. 교목층은 동백나무림과 혼효림에서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편백조림지는 편백, 해송림은 해송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경우 동백나무림은 동백나무, 혼효림은 좀작살나무, 편백조림지는 참식나무, 해송림은 때죽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동백나무림 0.121~1.589, 혼효림 0.543~1.540, 편백조림지 0.276~1.321, 해송림 0.764~1.52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pH는 동백나무림 5.72. 혼효림 5.26, 편백조림지 5.21, 해송림 5.32로 분석되었으며,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동백나무림 5.77, 0.48%, 혼효림 4.41, 0.30%, 편백조림지 3.28, 0.33%, 그리고 해송림이 5.32, 0.28%로 나타났다.

짝자래나무[Rhamnus yoshinoi] 가지 추출물에 의한 전립선암세포의 Wnt/β-catenin 분해 유도 활성 및 GC/MS 분석 (Extract from the branches of Rhamnus yoshinoi exerts anti-cancer effects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through Wnt/β-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by GC/MS)

  • 강연경;어현지;김다솜;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06-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Rhamnus yoshinoi (RY, 짝자래나무) 가지 부위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전립선암세포의 항암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짝자래 나무 가지 추출물을 전립선암 세포 PC-3에 처리하여 β-catenin과 TCF4의 단백질 수준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후, β-catenin과 TCF4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β-catenin은 감소하지 않았고, TCF4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β-catenin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지만, TCF4 mRNA 발현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효소억제제인 MG132를 처리한 전립선암 세포 PC-3에서 단백질 수준 확인을 통해 β-catenin의 단백질 분해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립선암 세포 PC-3에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의 GSK-3β 유도 β-catenin 단백질 분해 Kinase 구명과 β-catenin 인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은 GSK-3β 의존성 Wnt/β-catenin 단백질의 분해를 통해 전립선암의 생육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에서 항암활성과 관련된 활성물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전립선암의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찔레나무뿌리(Rosa multiflora root)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 박근혜;이진영;김동희;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20-1126
    • /
    • 2011
  • 찔레나무뿌리를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67.05${\pm}$0.56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DPPH, ABTS, superoxide anion 라디컬소거능 확인 결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의 HA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500 ${\mu}g/ml$ 에서 60% 이상의 높은 HAase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NO 생성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사실에 기초하여 NO 생성저해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iNOS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추출물 100 ${\mu}g/ml$에서 40%의 iNOS protein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iNOS의 발현억제가 NO생성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 NO생성억제는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함으로 기능성화장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자귀나무 추출물이 송사리(Oryzias latipes) 생식소 성숙에 대한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Albizzia julibrissin on Gonadal Maturation in a Medaka (Oryzias latipes))

  • 이은희;오상필;김명희;김광현;홍상훈;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사료에 첨가된 saponin이 함유된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껍질 추출물이 송사리(Oryzias latipes)의 생식소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귀나무(A. julibrissin) 껍질의 n-BuOH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Silica gel과 Sephadex LH-20 chromatography들을 이용하여 조 사포닌 분획물(HaBC)을 분리하였다. 실험 어류들은 순환여과 장치 시스템의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HaBC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여 암컷의 생식소 성숙 억제 및 산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미성숙 송사리들에 대한 실험에서 사료에 HaBC를 20 mg/g-feed 이상 첨가한 사료를 먹인 어류들은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을 개시하는 시기가 지연되었다. 또한 성숙한 암컷 송사리들도 HaBC를 20 mg/g-feed 이상 첨가한 사료를 먹었을 때 대조구에 비해 낮은 GSI 값을 보였다. 미성숙한 송사리에 대한 길이 성장이나 체중에 대한 변화는 HaBC의 첨가량에 관계가 없었으나, 비만도(CF)에서는 HaBC를 첨가한 사료를 먹인 어류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자귀나무(A. julibrissin)의 껍질로부터 분리한 saponin 분획물은 송사리 암컷의 성숙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성장 촉진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았다. 이들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나무류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한 연구(硏究)(I) -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의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 (Growth,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Species (I) - With Reference to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Q. mongolica in Kwangju, Kyonggi-Do -)

  • 박인협;이돈구;이경준;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76-83
    • /
    • 1996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중부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 수령(樹齡) 32-38년생(年生)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등 4개 수종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임분별 $10m{\times}10m$ 조사구 10개씩을 설치 한 후 매목조사(每木調査)를 실시하고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임분의 순으로 컸다. 임목밀도(林木密度)는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임분의 순으로 높았다.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 임분 122.73t/ha, 굴참나무 임분 87.03t/ha, 신갈나무 임분 72.14t/ha, 떡갈나무 임분 38.56t/ha의 순으로 많았다.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신갈나무 임분 7.49t/ha/yr., 굴참나무 임분 6.47t/ha/yr., 상수리나무 임분 6.06t/ha/yr., 떡갈나무 임분 3.52t/ha/yr.의 순으로 많았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상수리나무 임분 3.275, 굴참나무 임분 2.898, 신갈나무 임분 2.888, 떡갈나무 임분 1.840의 순으로 높았다. 4개 임분의 순동화율(純同化率) 순위와 순생산량(純生産量)순위가 다른 것은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다르기 때문이었으며 순생산량(純生産量) 순위와 현존량(現存量) 순위가 다른 것은 지속적 축적기관인 줄기,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기관인 가지, 비축적기관인 잎의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르기 때문이었다.

  • PDF

미류나무 잎절편체 조직배양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Adventitious Shoot induction from Leaves of Populus deltoides Bartr)

  • 신동일;설일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4-141
    • /
    • 1997
  • 미류나무 잎절편 조직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여러 가지 여인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가지 각기 다른 농도를 가진 培地에 줅,절편을 치상하여 側牙의 발달을 유기시킨 결과, WPM이 MS배지 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였고 또한 배지내의 NH$_{4}$NO$_{3}$의 양은 측아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기내에서 증식된 잎을 3부분으로9윗, 중간 그리고 및) 절단하여 2종류의 식물성장 절물질(TDZ와NAA)의 16가지의 농도배합을 사용하여 배양한 결과 TDZ0.01mg/1와 NAA 0.02 mg/1에서 가장 높은 부정줄기 형성체들이 생성되었다. 또한 잎의 윗 부분 보다는 중간과 밑부분에서 높은 부정줄기 형성체들이 생성되었는 것을 관찰하였다. 3. 3가지 탄수화물을 사용하여 부정줄기의 유기를 관찰한 바, sucrose 나 glucose보다 fruct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 PDF

노각나무 잎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Stewartia koreana on Nitric-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이승수;방면호;박세호;정대균;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9-516
    • /
    • 2018
  •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quercetin (1), quercitrin (2), hyperin (3), quercetin-3-O-(6"-O-galloyl)-${\beta}$-D-galactopyranoside (4),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의 5종의 플라보노이드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5종 성분의 염증 반응에 대한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들 5종 성분 중 compound 4, 5는 노각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것으로 항염증 활성에 대한 보고도 없다. 분광분석법으로 확인된 노각나무 잎 유래 성분들은 LPS 처리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으며, 특히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는 가장 강한 억제효과(17.17%, 5.0%, 3.92%, 6.32% and 63.35% inhibition of compound 1, 2, 3, 4 and 5 at $10{\mu}g/ml$)를 나타냈다. 또한, 이러한 NO 생성 억제효과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 분리된 플라보놀인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는 노각나무 잎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 사료된다.

인력 적과 시기가 '감홍'/M.9 사과나무의 고두증상 발생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ime of Hand-thining on Bitter Pit Incidence and Fruit Quality in 'Gamhong'/M.9 Apple Trees)

  • 권헌중;사공동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2-350
    • /
    • 2021
  • 본 시험은 '감홍'/M.9 사과나무의 인력 적과 시기가 영양생장, 고두증상, 과실품질 및 이듬해 개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인력 적과 시기는 만개 후 3, 5, 7, 9주였으며, 1차 적과(중심과만 남기는 적과)와 2차 적과(착과수 조절을 위한 적과)는 동시에 이루어졌다. 인력 적과 시기는 영양 생장, 평균 과중, 생산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 고두증상 발생률 및 이듬해 개화율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나무별 중급 과실(과중이 214-299g이면서 고두증상이 발생하지 않은 과실)의 생산량, 잎 내 칼슘 함량 및 과실의 착색 정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과실의 경도, 산 함량 및 나무 당 총 조수입은 인력 적과 시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감홍'/M.9 사과나무의 인력 적과가 만개 후 9주에 마무리되면 고두증상이 없는 300g 정도의 고품질 과실을 생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