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명력 회복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조선왕조의 생명력 되살려온 역사의 길

  • 한영우
    • 출판저널
    • /
    • 통권228호
    • /
    • pp.14-15
    • /
    • 1998
  • 왕조의 건국이념부터 알기 위해 매달린 전도전사상 연구는 뜻밖에 구세주를 만난 것과 같은 위안을 주었다. 조선왕조는 죽어버린 시대가 아니고 지금 우리가 배워야 할 살아 있는 시대로 가까이 다가왔다. 조선왕조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연구는 곧 왜곡된 식민사관을 바로잡는 길이라고 믿고 내 길을 가고 있다.

  • PDF

미디어미학에서 바라 본 뉴미디어로써 디지털 애니메이션 - 노르베르트 볼츠의 매체미학을 중심으로 - (Digital Animation As a New Medium Taking a View of Bolz Media Theory)

  • 이종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25-232
    • /
    • 2003
  • 독일의 철학자 노르베르트 볼츠(Norbert Bolz)는 디지털 영상미디어가 초래할 인간사고 방식의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방식의 전환을 예고하면서, 마샬 맥루한으로 시작했던 활판인쇄로 강화된 근대문자 문화에 대한 비판의 맥락으로 근대 이성문명의 상징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의 종말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디지털미디어라는 첨단 복합 미디어를 통해 이성을 중심으로 한 유럽 문명의 한계가 극복되리라 예견한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상실된 생명력을 재생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미학의 원해 의미인 '감성적 지각(aisthesis)'을 강조하고, 칸트가 말하는 오감의 자유로운 유희 상태가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회복을 주장한다. 본 소고는 하이퍼미디어로써 영상 미디어의 선두 격인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그 독특한 예술적 형식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할 것이라 보고 있다. 이는 근대 이성 중심 주의에 짓눌려온 인간의 감성을 회복하는데 디지털 애니메이션 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또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시간과 공간을 다루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컴퓨터 기술의 집약으로 종합 미디어적 특성을 발휘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전들에 근거해,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미디어 분석가 겸 디자인과 교수인 노르베르트 볼츠의 하이퍼 미디어적인 뉴미디어 이론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 PDF

악안면 보철의 임상적 고찰;골내 매식술을 통한 보철적 회복에 관하여 (CLINICAL STUDY OF MAXILLOFACIAL PROSTHESES;OSSEOINTEGRATED IMPLANTS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 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406-414
    • /
    • 2001
  • 현재 악안면 보철 제작에 있어 재료로 실리콘이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굳어져 가고 탄력성을 잃으며 원래의 색도 노랗게 변색되어 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의 화학적 구성 단점 때문에 보철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들은 매 3년마다 새로운 보철물을 재 제작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복잡했던 악안면 기공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하는 시간적, 물질적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환자 피부색과 적합이 잘 되는 다양한 색의 실리콘 개발과 아울러 눈동자를 깜빡일 수 있는 인공 눈동자의 개발 등이 필요하며, 눈동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인공 수정체의 발전이 향후 악안면 보철 분야의 큰 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환경적응력을 위한 공공녹지공간의 가변성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Variability in Public Green Spaces for Environmental Adaptability)

  • 허추안;이애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07-21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설계에서 핵심 역할을 할 가변성 설계를 이해하고 발전시켜 미래의 변화 속에서 공공의 녹지공간이 더욱 긴 생명력을 갖게 해야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가변적 환경 공간에 대한 문헌자료를 기반으로 가변성을 공간, 생태, 사회로 분류하고, 2010년대 이후 국내외의 11개 작품을 선정한 후 사례별 분류에 따른 경관 특성 및 설계 방법과 적용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가변성 경관은 공간 변화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공간 사용에 대한 사람들의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사용의 유연성과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상승시켜 고정 경관이 갖는 모순을 해결하고 결함을 크게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공공녹지공간, 환경적응력과 가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유형화를 시도하고 둘째, 건축, 환경과 조경 분야의 사례분석을 통해 가변적 설계가 장소적으로는 공공녹지 및 공간에 적용가능하며, 지속가능성과 생태환경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함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