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명공학

Search Result 12,91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mplete genome sequence of Niabella ginsenosidivorans BS26T, a ginsenoside-converting bacterium, isolated from compost (퇴비에서 분리한 진세노사이드 전환능력이 있는 Niabella ginsenosidivorans BS26T 의 유전체 서열 분석)

  • Lee, Young-Woo;Siddiqi, Muhammad Zubair;Liu, Qing-Mei;Kim, Dae-Cheol;Im, Wan-Tae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4 no.4
    • /
    • pp.465-467
    • /
    • 2018
  • An orange-colored, rod-shaped strain, designated Niabella ginsenosidivorans $BS26^T$, was isolated from compost. Strain $BS26^T$ showed the ability to convert major ginsenosides to minor ginsenosides, and its whole genome was sequenced. The whole genome of N. ginsenosidivorans $BS26^T$ consists of a single circular chromosome of 5,627,734 bp with 44.48% G + C content. Based on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strain $BS26^T$, we found several glycosides hydrolase-encoding genes that might involve in the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s into minor ginsenoside and deliberate its strong pharmacological effects.

Vacillating between a Neoliberal State and a Developmental State: the Case of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Clusters in South Korea (신자유주의 국가와 발전주의 국가 사이에서 서성이기?: 한국의 생명공학 클러스터 발전을 사례로)

  • Kim, Sook-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3
    • /
    • pp.235-247
    • /
    • 2009
  • Recognizing the potential and importance of biotechnology in boosting South Korea in an environment of competitive neoliberal globalization, South Korea has actively promoted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iotechnology and legislated related laws. This should not, however, be read as yet another instance of the neo-liberal 'market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demise of nation-states.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 South Korea - and its commercialization -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practice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nd this practice has led to the production of new state spaces: biotechnology clusters.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roles of the state in developing and nurturing biotechnology clusters are.

  • PDF

Infrastructure Services of KRIB Herbarium in IBMRC (KRIBB)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식물표본관(KRIB)의 인프라 서비스)

  • Nam, Bo-Mi;Paik, Jin-Hyub;Lee, Changyoung;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2-42
    • /
    • 2019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1985년 설립된 이후로 현재까지 국가적 연구개발 수요에 대응하여 바이오 분야의 기초 원천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우리나라 생명과학기술 발전에 힘써왔다. 특히 2006년부터는 해외생물자원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차세대 국가 핵심 전략 BT산업의 필수 원자재인 생물소재의 범지구적 확보, 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해외생물소재센터를 설치하였다. 이후 차례로 중국, 코스타리카,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4개 거점 센터를 개소 및 운영하여 권역별 해외생물소재의 공동연구 및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소재 확보 및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보된 소재는 36개국에서 채집된 약 318과 3,406속의 36,500여점 (2019년 9월 기준)에 달하고 소재의 확증표본은 해외생물소재센터 식물표본관(KRIB)에 보관 중이다. KRIB표본관은 2000년 Index Herbariorum에 등록되었으며, 약 80,000여점의 건조표본을 소장하고 있다. 분류군수는 과별로 콩과>국화과>꼭두서니과 순으로 많았으며, 국가별로는 중국>베트남>코스타리카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및 식물표본관은 소재의 정확한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시설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누구에게나 개방된 홈페이지를 통하여 해외소재의 표본정보, 표본이미지 및 민속학적 정보와 활성 등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PDF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aseolus vulgaris Leghemoglobin a in Pichia pastoris (Pichia pastoris에서 강낭콩 Leghemoglobin a의 생산, 정제 및 특징)

  • Jun-Young, Kim;Da-Hee, Han;Geun-o, Park;Soo-Wan, Nam;Yeon-Hee, Kim;Han-Woo, Kim;Sung-Jong, Jeon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50 no.4
    • /
    • pp.508-511
    • /
    • 2022
  • In this study, Phaseolus vulgaris (kidney bean) leghemoglobin a (PhLba) gene was cloned into pPICZαA and expressed in Pichia pastoris to sustainably produce a heme-carrying protein for organoleptic use in plant-based meat. The recombinant PhLba protein was secreted into the culture medium in a solubilized form,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PhLba was estimated to be 16.5 kDa using SDS-PAGE. In addtion, the yield of recombinant PhLba holoprotein was enhanced by supplementation of the cultivation medium with hemi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po-forms of PhLba can be effectively saturated with cofactor.

The prospect and the State of the Art for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from a Point of view of Marine Biotechnology (해양생명공학관점에서의 해양환경공학 현황분석과 전망)

  • Kim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3
    • /
    • pp.111-115
    • /
    • 2004
  • In this manuscript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was depicted in the aspect of marine biotechnology, and the prospect of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were suggested. Firstly definitions and main features of marine biotechnology and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were mentioned, and the long-term trends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and the role of marine biotechnology to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were described. The present state of the art for domestic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s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was reviewed and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were suggested and discussed through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solving those problems.

  • PDF

특별기고 - 생명공학 논쟁과 과학자의 윤리

  • Kim, Hwan-Se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 s.356
    • /
    • pp.14-15
    • /
    • 1999
  • 97년 2월 복제양 '돌리'의 탄생이 전세계를 경악시킨 이후 지난해 11월엔 인간의 세포핵을 소의 난자에 이식시켜 배양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반인반수의 시대가 열렸다. 최근 생명공학기술개발에 따른 안전과 윤리를 문제삼는 환경단체ㆍ소비자단체ㆍ종교단체들이 반대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계에선 이같은 반대가 생명공학에 대한 무지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을 조정하고 과학기술정책을 결정할 때는 시민을 대화의 상대와 의사결정의 주체로 하는 '합의회의'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한 유산균개발

  • 정대균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4 no.3
    • /
    • pp.113-118
    • /
    • 1994
  • 유산균의 증식으로 인해 설사 등의 원인인 유해균들의 증식이 억제되는데 이것은 유산균들이 만드는 각종 유기산들, 과산화수소에 의한 직접적인 저해나 산생성에 부수되는 pH 저하가 원인이고 그 외 유산균들이 만드는 nisin이나 각종 bacteriocin 등도 관여한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이 소비증가, 유산균의 약리작용 효과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개발 등을 통하여 유산균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로 전세계적으로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유전공학 기술에 의한 유산균의 개발연구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유산균 연구 중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이 분야의 향후 전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