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리활성

Search Result 4,13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the Bioactive active substance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and Fruit Using Aspergillus oryae Period of fermentation (Aspergillus oryae를 이용한 발효시간별 꾸지뽕나무 잎, 열매의 생리활성 비교)

  • Jo, Geon-Ung;Kim, Hyoun-Woo;Yeo, Hye-jeong;Eo, JI-Hyun;Beak, Hyo-Eun;Park, Jong-Seok;Oh, Chan-Jin;Oh, Deuk-sil;Park, Whoa-Shi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99-99
    • /
    • 2019
  •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자라고 병충해에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꾸지뽕나무는 항암, 간보호, 눈을 밝게하는 작용이 있다고 동의보감과 신농본초경에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된장 등 발효식품을 자주 접하고 섭취하여 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균을 접종하면 항암활성, 면역체계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가시가 없고 잎이 커 작업성이 용이한 대품 품종을 2018년 9월에 전남 신안군에서 채취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활성 측정은 프리라디칼(DPPH, ABTS) 소거능을 측정하여 농도(EC50)별 측정결과 $100{\mu}g/mL$ ext. 이하로 항산화 활성이 열매보다 잎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황국균(Aspergillus oryae)을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에 접종시켜 페놀성화합물을 스크리닝 한 결과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Salicylic acid, Naringenin, Vanilic acid, Oxyresveratrol 등 기능성 물질이 발견되었고, 잎의 경우 36시간 발효물(355mg/g)은 무처리군(179mg/g)에 비해 2배정도 상승하였다. 열매의 경우 48시간 발효시켰을 경우(472mg/g)으로 무처리군(156mg/g)보다 3배정도 상승하였다. 발효를 통해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생리활성 물질 분석을 이용한 효능탐색 등을 진행하였다. 향후 꾸지뽕나무를 활용한 식품 소재개발 등 사업화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임업인의 새로운 소득품목 육성에 기어코자 한다.

  • PDF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 in Seaweed (해조류 내 $Na^+$ 챈널 차단 생리활성물질의 측정)

  • 유종수;천병수;김남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9 no.2
    • /
    • pp.107-112
    • /
    • 2001
  • A tissue biosensor was developed for the continuous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s. The proposed sensor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s in seaweed. It was found that $Na^+$ channel blocker content displayed seasonal variation; it was high from February to April and decreased thereafter (May - August). From these results the present proposed method may be used for high sensitive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s contained in the seaweed organisms and environments. Therefore, it may be important to monitor $Na^+$ channel blocker content of seaweed throughout the year.

  • PDF

국내 자생 물봉선속(Impatiens L.)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 차이 비교

  • 한세희;이경준;서혜민;박민주;이재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3
    • /
    • 2022
  • 물봉선속(Impatiens L.)은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5-7종이 분포한다. 물봉선의 화장품용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으며, 최근 항염, 항산화 등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 및 노랑물봉선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으나 이하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과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지역 간 분류군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DPPH, ABTS, TPC, TFC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5분류군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처진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이 12개 지역에서 수집되었으며, 잎 추출물(70% 에탄올)에 대해 분석되었다.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정 결과 가야물봉선(4.91 ± 3.00 mgAAE/g)이 가장 높았고 처진물봉선(1.77 ± 0.55 mgAAE/g)이 가장 낮았으며, ABTS의 경우 가야물봉선(3.14 ± 1.35 mgAAE/g)로 가장 높았고 미색물봉선(1.87 ± 0.16 mgAAE/g)이 가장 낮았다. TPC의 경우 미색물봉선(5.48 ± 1.05 ugGAE)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2.78 ± 1.98 ugGAE)이 가장 낮았으며, TFC의 경우 물봉선(0.70 ± 0.20 ugGAE/g)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0.45 ± 0.08 ugGAE/g)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집지역별로는 각각 DPPH와 ABTS의 경우 노랑물봉선, TPC의 경우 가야물봉선, 노랑물봉선, 물봉선, TFC의 경우 처진물봉선이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 별 항산화활성과 생리활성물질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유용 소재로써의 이용과 우수 개체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a)와 후코이단 성분의 투여가 스트레스 부하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최진호;박수현;김대익;김동우;김창목;구재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28-129
    • /
    • 2000
  • 지금까지 해양생물에 관한 연구로서 갈조류중의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주성분인 알긴산(alginic acid)의 생리활성을 중심으로 성인병의 예방과 노화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생리활성성분으로서 알긴산은 점성(viscosity)이 매우 커서 음료개발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후코이단 성분은 중성다당인 라미나란(laminaran)과는 달리 황산기(sulfate group)를 가진 산성의 수용성 다당류로서 항혈액응고 작용과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졌다. (중략)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n Edible Mushroom, Pholiota adiposa (검은비늘버섯 물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효과)

  • Kim, Jun-Ho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2 no.3
    • /
    • pp.207-21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Pholiota adiposa.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 and water fraction were 57.57% and 48.27%, respectively. The fibrinolytic activity was strong only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t 0.70 plasmin units/mL.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and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t 77.67% and 89.32%,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hydrolyzed both $A{\alpha}$ and $B{\beta}$ subunits of human fibrinogen, but did not show reactivity for the ${\gamma}$ form of human fibrinogen. Fibrinolytic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not decreased by heating for 10 min at $100^{\circ}C$.

Biological activity of quin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in the respiratory chain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저해제인 quinoline 유도체들의 생리활성)

  • Chung, Kun-Hoe;Cho, Kwang-Yun;Takahashi, Nobutaka;Yoshida, Shige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4 no.1
    • /
    • pp.43-48
    • /
    • 1991
  • New quinoline compounds were designed, synthesized, and examined with submitochondria. Most compounds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Inhibition activity was mainly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lipophilic part, regardless of bulkiness or location of a phenyl group in the side chain. The $\beta-methyl$ group was demons)rated to be the optimal functionality on the nuclei of the quinoline derivatives so 4hat either deletion or insertion of a methylene on the group eliminated its activity.

  • PD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Agaricus blazei 자실체로부터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추출공정)

  • 최정우
    • KSBB Journal
    • /
    • v.15 no.4
    • /
    • pp.408-410
    • /
    • 2000
  •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technique was applie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nonpolar physiologically acitve mate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extract was accomplish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GC-MS) and extract was determined as linoleic acid(cis-9 cis-12-octadecadienoic acid) In order to obtai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process the various temperatures and pressures were applied for process operation. From the comparison of exraction efficiencies $50^{\circ}C and 200 kg_f/cm^2$ were determined as optimum conditions.

  • PDF

Determination of Flavonoid by HPLC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꾸지뽕나무 잎의 생리활성 및 HPLC에 의한 성분의 정량)

  • 김성환;김남재;최재수;박종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1
    • /
    • pp.68-72
    • /
    • 1993
  • The m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showed inhibition for trypsin activity and the growth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The content of kaempferol 7-O-$\beta$-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this plant was determined by HPLC and it was about 0.31% for the methanol extract.

  • PDF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대나무(신의대)잎의 생리활성 및 항균성 효과)

  • 김미정;변명우;장명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135-142
    • /
    • 1996
  • 대나무잎(신의대)을 70% ethanol로 $80\pm2^{\circ}C에서$ 추출하고 극성이 다른 4가기 용매로 확분하여 생리활성 및 항균성을 검토하였다. 70% ethanol extract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70% ethanol extract로부터 얻어진 각 용매별 추출 획분이 지질과 산화물 생성 억제와 malonaldehyde 생성 억제 효과는 ethyl acetate 획분 $\geq$ diethyl ether 획분 $\geqpetroleum$ ether 획분 > n-butanol 획분 > 수용성 획분의 순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제거능 및 항보체 활성은 n-butanol 획분이 다른 획분에 비하여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고 70% ethanol extract의 경우에도 전자고영능, 아질산염 제거능 및 항보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인 Vib-rio parahaemoluticu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Enterobacter aer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등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Islation of Long-Chain Phenols from Ginkgo biloba L. and Their Bio-Activer Principles (은행나무 고분자(高分子) 페놀성(性) 화합물(化合物)의 단리(單離) 및 생리활성(生理活性) 원칙(原則))

  • Kim, Young-Kyo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3
    • /
    • pp.82-86
    • /
    • 1993
  • 은행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결과, 그 추출물이 GAG release에 의한 IL-1의 억제효과(87%)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그 추출물을 chromatography로 분리한후 분광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그 함유물질들이 anarchardic acid 및 그와 유사한 페놀성 물질임을 밝혔다. 각 성분에 대하여 활성효과를 다시 실험한 결과, 주성분인 IIIb와 IIIc는 활성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소량물질인 Va와 Vb만이 중간 정도의 효과(각각 43과 55%)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 의하면, 은행나무의 추출성분이 IL-1의 억제효과를 분명히 나타내나, 그 효과가 주성분에 기인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