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리적 연령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On change of manual dexterity with ageing (연령증가에 따른 수지교류성의 변화에 대하여)

  • 신승헌;서승록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33-37
    • /
    • 1993
  • 근래 우리나라에서도 평균수명이 길어져 노동의욕이 있는 중고령자가 증가하는 한편, 출산율이저 하되어 젊은 근로자의 수가 감소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통계과의 추계에 의하면 2000년에는 60세 이 상이 총인구에 점하는 비율이 10.7%, 65세 이상은 6.8%가 되고, 2020년에는 60세 이상이 19.5%, 65세 이 상도 12.5%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인구노령화로 인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서둘러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또 고령화 사회로 되면 젊은 연령층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므로 중고령자의 노동인구를 이대 로 방치해 두는 것은 국가적으로나 사회복지적으로나 불경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중고령자를 취업시키는 것이 오히려 사회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거나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어서는 안되는 것과 중고령노동자 자신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용에 있어 서 어떠한 점에서 중고령노동자에게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개인차도 크고 고령자 중에는 청년자의 기능에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자도 있다. 연령만으로 노동능력을 판정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문헌에 의하면 역연령(chornological age)이 25세의 경우, 생리적 연령은 23세에서 27세로 4년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생리적 연령의 차이는 역연령이 더해감에 따라서 점차 크게 되어 역연령이 45세에서는 12년, 80세 에서는 20년이나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 있어서 시간적 경과를 나타내는 역연령 이외에 신체적 기능연령(functional age)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생산현장에서는 자동화, 기계화가 진보되어 육체적인 노동이 경감된 결과, 중고령자라도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아지고 있다. 또, VDT (Visual Dislay Terminal) 작업과 같은 정보처리 작업의 수요가 증가하여 그 인재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기능을 조사하여 어떠한 작업에 적합한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그러나 노동에는 많은 기능이 관여 하고, 그 내용에 따라서 요구되는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노동적응능력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보여지는 것에 좁혀서 작업능력의 연령증가 변화에 대하여다원적 평가를 하는 것이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능중에서 수지교 치성과 연령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만약 연령증가 만으로 수지교치성을 평가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이 수지기민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다.

  • PDF

Physiological Changes of Aging (노년기의 생리적 특성)

  • 이윤환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4 no.2
    • /
    • pp.254-259
    • /
    • 1999
  • 노화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이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는 각 개인에 따라, 그리고 한 개인 안에서조차 각종 장기별로 다양한 속도로 진행된다. 노년기의 생리적인 변화는 예비용량(reserve capacity)의 저하에 따라 외부의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나타나게 된다. 안정적 상태에서 기능수준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활동상태의 기능 수준은 연령증가에 따라 상당히 저하되는 것을 보여준다. 노년기의 생리적 변화에 따라 직병에 대한 감수성은 증가하나 대다수의 만성퇴행성질환은 특정 병리현상에 의해 발생하며 노화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PDF

문치가자미 (Lymanda yokohamae) 피부계의 지지세포 및 선세포 미세구조

  • 박정준;김재원;강주찬;이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89-390
    • /
    • 2000
  • 어류의 피부계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성되고, 상피층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종류와 발달정도는 종, 연령, 생활환경 그리고 이들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한다 (Henrikson and Natoltsy, 1968; Burton and Everard, 1991; Eastman and Hikida, 1991; Hertwig et al., 1992: Park et al., 1995; Lee and Kim, 1999). 본 연구는 저서 정착성 어류인 문치가자미의 피부 상피층 구성 세포들의 미세구조를 기재함으로서 추후 이들 어류의 생활환경 및 생리적 변화에 따른 피부계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부부의 지각)

  • 이기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45-160
    • /
    • 1994
  • 이 논문의 목적은 남편의 장시간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실정에서 남편이 직업노동과 관련해서 소비하는 시간이 어느정도나 되며 이것이 다른 생활시간배분에 어떤 영향을 주고 또 가정생활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총직업노동시간의 실태를 보면 평일 11시간 43분 토요일이 8시 간 21분 일요일이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평일 직업노동시간을 5집단으로 나누어 다른 생 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노동시간이 긴 집단이 짧은 집단에 비 해서 다른 모든 생활시간- 생리적, 가사적, 사회문화적 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이짧은 것으 로 나타났다 . 2) 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남편 은 주로 자신의 피로회복문제나 스포츠.여가시간 부족문제 생활의 여유가 없다는 문제 가 족단란시간 부족문제 자녀와의 접촉시간 부족문제 등을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부인은 남편의 건강염려 남편의 자녀접촉시간 부족 가족단란시간 부족 남편과 취미 스포츠를 할 시 간 부족 부부간 대화시간 부족등이 문제가 된다고 지각하였다 3)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 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은 남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내자녀연령, 직업 노동시간,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부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 내자녀연령, 남편의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 성역할태도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상, 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 Chun, Youn-Sic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6 no.1 s.54
    • /
    • pp.33-41
    • /
    • 1996
  • Retrostpective study of two groups of patien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teeth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The concept of physiologic drift, commonly referred to as 'driftodontics', following first premolar extractions has been gaining acceptance in the orthodontic community, the exact nature and amount of drift has not been adequately documented. There were also no guide lines as to when drift should be allowed to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physiologic drift of the untreated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extraction of the four first premolars during the early permanent and late permanent dentition stages. The early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1) included 26 Patients and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approximately 13.5 years. The observation period following extraction was approximately 6.96 months. The late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2) included 31 patients.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21.3 years, followed by a observation period of 7.26 month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except for the extractions, no other mandibular therapy was rendered. Pre-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were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2 showed marked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but minimal changes in molars. 2. The amount of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rates of molar movements between groups. 3. Physiologic drift of the dentition produced desirable changes such as decreased Incisor Irregularity.

  • PDF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INTRAEPITHELIAL NERVES OF ORAL MUCOSA OF RATS DURING AGING (증령에 따른 백서구강점막 상피내신경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 CHOI DAI HO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14 no.1
    • /
    • pp.7-16
    • /
    • 1984
  • 구강점막 각 부위의 지각신경의 특징은 근년 생리학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감소된다는 소견이 구강점막에서도 적용된다고 하나 이에대한 형태학적 지견을 중심으로 볼 때 그러한 감소가 순전한 기능저하의 결과인지 혹은 지각신경의 해부학적 형태변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논문은 Spraque-Dawely와 Fischer 344 두종의 숫자 20마리를 이용하여 각종을 6개월과 30개월의 연령으로 2군으로 나누어서 연령에 따른 구강점막내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특성의 변환을 관찰하고, 단위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신경요소의 변화를 정량해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점막에 분포하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형태에 있어서는 젊은백서와 늙은백서 사이에 인정할 만한 질적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증가에 따라 구강점막의 상피내 간격에 존재하는 신경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이와 같은 감소는 신경섬유보다 신경종말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Growth and Environments of Panax ginseng in the Different Forest Stands (I) (임상별 임간인삼의 생육과 최적환경에 관한 연구(I))

  • 우수영;이동섭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4 no.2
    • /
    • pp.65-71
    • /
    • 2002
  • The best environments such as crown density,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humidity have to be identified because these factors are strongly related to the growth and sever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circled1 to collect basic data fer growth, \circled2 to identify the best growth environments. to achieve these purposes, oak, pine and mixed forest stands have been selected in this study. forest ginseng seeds were sown in these forest four years ago. Several environmental and growth factors have been surveyed. In general, mean tree age, DBH and average height are 20-25 years old, 14-17 cm and 7-9 m, respectively. The growths of forest ginseng grown in oak stand are better than those of pine and mixed stands.

비타민 E 섬유가 인체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Lim, Sun;Jeo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7-88
    • /
    • 2004
  • 본 연구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미백 효과에 탁월한 비타민 E를 섬유에 부착시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의 주관적 감각평가와 심박수,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은 온도 30±1℃, 상대습도 50±15%, 기류 0.2m/s 이하로 설정된 인공기수실에서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평균연령 21세의 건강한 성인여자 5명으로, 체중, 신장 및 체표면적의 평균치는 52.2㎏, 161.2cm 및 155㎡이다. (중략)

  • PDF

The Basic Research on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Stress Coping by Age Group

  • Cho, Jung-Yeon;Kang, Byeol-N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6
    • /
    • pp.109-116
    • /
    • 2022
  • Before examining stress and physiological variables (immunity, inflamm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ilot test to provide basic data by analyzing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by age group for stress coping and coping methods. As a non-face-to-face method, BDI and STAI by age group (20s to 70s) and face-to-face survey were conducted concurrently and as follow-up surveys. In 20s to 60s, according to the coping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stress relief, and in all age groups,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tress relief, and in the 50s, stress coping with exercise was the lowest after stress relief.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basic research according to psychological variables, physi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actual stress coping methods were further verified, and subjects with high stress levels were treated with long-term exercise therapy for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by exercise therapy. It will be necessary to additionally verify the appropriate stress coping method for each age group and subject, such as the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and immunity and inflammatory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