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강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25초

다시마를 이용한 기능성 음용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Water Using The Kelp)

  • 장연정;강대부;정승현;김성근;강창희;이경준;정준범;김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29-73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시마를 이용한 기능성 음용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시마는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예방에 특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체질개선효과 및 갑상선 질환의 예방, 변비예방 효과, 탈모치료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시마는 현재 채 볶음, 다시마튀각, 다시마 무침, 다시마 말이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가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리의 맛을 해는 조미료로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다시마를 조미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공과정이 복잡하여 가정에서는 쉽게 사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중에 파는 가공 다시마의 경우 다양한 화학 첨가제가 들어가 건강한 식생활에 적절치 못하고 다시마를 이용한 요리들은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없는 요리들이 대부분이어서 우리가 생활하는데 있어서 다시마를 쉽게 접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다시마를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기 위하여 물처럼 마시는 다시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시마를 끓는 물을 이용하여 우려내 맛을 평가 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 특유의 비릿한 맛과 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초, 레몬, 파, 녹차, 생강 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 다시마의 비릿한 향과 맛을 잡아 낼 수 있는 생각이라는 해결책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다시마와 생강의 비율을 조절 하고 다시마를 우려내는 시간을 조절하여 맛을 평가하였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채소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Growth and the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 정덕화;김찬조
    • 환경위생공학
    • /
    • 제1권1호
    • /
    • pp.109-117
    • /
    • 1986
  • 15종의 채소를 Chloroform으로 추출물을 조제하여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강, 무우 및 양배추의 순으로 공시균의생육을 저해하였으나, 가지, 상치 등은 오히려 생육을 촉진하였다. 또한 균체생성시 공시균의 aftlatoxin기 생성은 무우, 생강, 쑥갓, 양배추의 순으로 저해하였으나, 우엉, 고추는 오히려 증가시켰다. 특히 무우는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을 감소시켜 가장 효과적인 채소로 나타났으며, 고체배지에서도 무우 30g에 해당되는 추출물의 첨가로 약 $80\%$의 aflatoxin생성이 저해되어 쌀, 보리배지에서 각각 484 및 $191{\mu}g$의 aflatoxin만이 생성되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분석 -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Chuwang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Ijontong Cholto -)

  • 이경재;최송현;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6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4개소에 조사구(각 l0$\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24개 조사구는 DCA에 의해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생강나무군집, 까치 박달-당단풍군집, 그리고 고로쇠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삼림군집구조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충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까치박달, 서어나무, 고로쇠나무로, 아교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토지극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Chuwangsan Area)

  • 박인협;문광선;류석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주왕산지역 금은광이-주왕계곡에 이르는 계곡부(해발 470~78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와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소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생강나무 둥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종다양도는 계곡상부와 사면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74.4~84.2%,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8.0~96.3%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사면하부의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사면중, 상부의 소나무-굴참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기호음료 성분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작용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 도정룡;김선봉;박영호;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56-460
    • /
    • 1993
  • 전통 기호음료 성분에 의하여 나타나는 기능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결명자,들깨, 대추, 모과, 오미자, 오갈피 및 생강 추출물을 ion-exchange chromatography,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여러 가지 획분으로 분획하여 Angiotensin I 전환효소(ACE) 저해작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호음료 원료에서 추출한 수용성 획분의 ACE 저해작용은 생강>오갈피>오미자>들깨>결명자>모과>대추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 가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결명자에서 분리한 compound C 는 ACE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bradykinin에 비하여 ACE 저해작용이 비교적 낮았다.

  • PDF

액체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의한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extracted with liquid carbon dioxide)

  • 김명곤;나문수;홍재식;정순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55-63
    • /
    • 1992
  • 봉동산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정유성분조성을 분석코자 액체 이산화탄소 주출법으로 분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범에 의해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과 함산소 화합물 분획으로 분류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6.96%이었으며, SCC에 의해 분리된 분획의 분석결과 mass spectrum에 의해서 잠정적으로 확인된 58종을 포함하여 102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중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에서는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ne,\;{\gamma}-bisabolene,\;{\gamma}-cadinene,\;ar-curcumene$ 등이 주성분이었고, 함산소 화합물 분획에서는 gernal, sesquisabinene hydrate, borneol, zingiberenol 등이 주성분 이었다. 총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geranial,\;{\gamma}-bisabolene,\;ar-curcumene+geranyl\;acetate$ 등이 주성분으로 sesquiterpene hydrocarbon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중국산 생강의 올레오레진 제조를 위한 극초단파 추출조건 설정 (Pr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Chinese Ginger Oleoresins)

  • 이정은;이은영;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3-277
    • /
    • 2000
  • 중국산 건생강으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고자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몇 가지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극초단파(2,450 MHz, 50 W) 추출에서 원료의 입자크기는 60 mesh 내외, 시료와 용매의 비는 1:10 (g/mL)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농도 50% 이상에서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생강 올레오레진의 성분들은 추출시간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7분 이상의 극초단파 처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생강으로부터 고품질의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추출공정 중 에찬올 농도에 따른 추출특성과 최적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시비량이 생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

  • 최재을;김정선;이은정;이완재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54-159
    • /
    • 1998
  • 본 시험은 시비량의 차이가 생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감량구에서 45.3cm, 표준구에서 52.6cm 증량구에서 49.4cm로 표준구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엽면적과 경수, 경직경은 증량구가 표준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부와 근경의 건물중도 증량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경수, 경직경, 엽면적, 지상부 건물중, 근경의 생체중 등이 비료 수준과의 관계에서 감량구와 표준구간, 감량구와 증량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 수량은 감량구에서 1653kg/10a, 표준구에서 2248kg/10a, 증량구에서 2428kg/10a로 증량구가 표준구에 비하여 7.4%의 증수 효과를 나타냈다.

  • PDF

국내산 식용 지하 부위 채소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 장경미;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45-549
    • /
    • 1999
  •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여 생산한 식용 지하 부위 채소 (감자, 고구마, 당근, 무, 우엉, 연근, 양파, 생강, 마늘)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의 차이와 중금속 함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무기 성분은 K이었으며, P와 Ca, Mg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다. 각각의 무기 성분 함량은 모든 시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감자는 다른 식용 지하 채소에 비해 Na과 F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K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는 감자와 비교하면 6월과 8월의 시료에서 Ca을 2-3배 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다. 당근은 Na의 함량이 감자나 고구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무는 Ca의 함량이 높았는데 감자의 5-8배였고 다른 지하 부위 채소들과 비교하여도 2-3배 이상이나 되었다. 연근도 Ca의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은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마늘은 K와 P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생강은 Mg 함량이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양파에는 K, P, Ca의 함량이 타 채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Mg은 높았다. 계절별로 비교해 보면 6월과 8월의 시료들이 10월의 시료들에 비하여 여러 무기 성분의 함유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향신료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ces on the Kimchi fermentation)

  • 박우포;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35-241
    • /
    • 1991
  • 김치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향신료가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주재료인 배추에 향신료의 종류와 배합량을 달리하여 담근 김치의 숙성중 발효속도,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및 ascorbic acid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절인 배추의 염농도를 3%로 조절한 다음 고추가루, 마늘 및 청파는 1, 2, 3%를, 생강은 0.5, 1.0, 1.5%를 각각 첨가한 시험에서 숙성 30시간 경부터 고추가루 2% 첨가구의 발효속도는 높아져 최고치를 보이다가 낮아졌으나 3% 첨가구는 최대값을 보이지 않고 계속 증가하였다. 고추가루 첨가구의 환원당함량과 적정 산도는 높았으며, pH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마늘 첨가구의 발효속도는 숙성 12시간부터 높게 나타났고, pH 및 환원당은 같은 시간에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나 적정산도는 높아졌다. Ascorbic acid는 숙성 6시간 후 증가하여 최고치를 나타내는 18시간경에는 담금 시보다 높았다. 청파 및 생강은 첨가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