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강(生薑)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25초

마이크로컴퓨터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양파와 생강의 건조 (Drying of Onion and Ginger using Drying System controlled by Microcomputer)

  • 이종영;강현아;김석신;장규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78-82
    • /
    • 1995
  • 간편하게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건조시스템을 개발하여 양파와 생강을 대상으로 건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건조시스템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온도, 습도 및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 및 제어하여 양질의 건조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양파는 $65^{\circ}C$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실내의 상대습도를 25%로 조절하는 것이 적정 건조조건으로 나타났으며, 생강의 적정 건조조건은 $50^{\circ}C$의 건조온도와 25%의 상대습도로 나타났다.

  • PDF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 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al Changes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 김민희;김윤정;김관수;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13-1017
    • /
    • 2009
  •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이 전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수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 5, 10, 50 ppm과 푸마르산 0.1, 0.3, 0.5%를 고추, 생강, 당근에 5분간 각각 처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는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5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고추에 처리 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52, 1.81 log CFU/g 감소시킨 반면 0.5% 푸마르산의 처리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된 생강은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가 0.53, 0.92 log CFU/g 감소를 보였고, 푸마르산의 처리는 1.44, 1.28 log CFU/g 감소시켰다. 당근에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를 1.76, 2.22 log CFU/g까지 줄였고 푸마르산 처리는 1.94, 1.73 log CFU/g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가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 수 감소에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Pythium myriotyrum에 의한 생강뿌리썩음병의 발생상태 (Ecology of Ginger Rhizome Rot Development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 김충회;양성석;한기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4-190
    • /
    • 1997
  • 생강뿌리썩음병의 발병진전은 35~40 C에서 가장 빨랐으며 온도가 내려갈수록 병반진전속도도 감소하였다. 생육상 시험에서 초장 22~25 cm의 생강을 고사시키는데 걸리는 시간도 35~40 C의 고온에서는 5일이 소요되어 15 C의 15일에 비하여 1/3에 불과하였다. 상대습도 90% 이상의 고습도, 최대포장용수량의 80%이상의 높은 토양수분, 재식깊이 4 cm 이상의 깊이심기는 뿌리썩음병의 병반진전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P. myriotylum의 토양내 전염원은 균사절편, 팽윤균사편, 유사 난포자, 혹은 유주자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P. myriotylum은 생강 주위의 토양표면에 임의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표토로부터 10 cm 이내의 토양에서 가장 밀도가 높았고 그 이하 토양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 생강식물의 근면과 근권토양내 P. myriotylum의 밀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건전주와 이병주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어서 이병주에서의 밀도가 건전주에 비하여 수배-수백배 이상 높았다. 토양내 병원균 밀도와 뿌리썩음병의 발병정도와는 정의 곡선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가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최상윤;김경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압력(100 bar, 250 bar, 500 bar)과 온도($35^{\circ}C$, $50^{\circ}C$, $60^{\circ}C$)조건을 달리 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각 추출조건에 대한 수율, 색도, 향기성분 및 유용성분을 살펴보았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수율은 추출압력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높게 나타났고,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인 조건은 500 bar $65^{\circ}C$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수율이 8.96%로 나타났다. 생강 oleoresin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감소하였고, 추출압력 100 bar 조건의 경우에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 중의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6-shogaol 및 curcumin을 분석한 결과 동일 압력 조건에서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유용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유용성분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 oleoresin 중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으로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 ${\beta}$-phellandrene, ${\alpha}{\gamma}$-curcumene, 2,3-butanediol 및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었고, 각 추출조건에 따라 향기성분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흰쥐의 사염화탄소 유발 유리기 반응에 대한 생강, 마늘, 양파식이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inger, Garlic, and Onion Against Radical Reaction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조영선;송재철;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84-1089
    • /
    • 1999
  • 본 연구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인정된 생강, 마늘 및 양파를 첨가한 식이로 2주 동안 Sprague-Dawley계 수컷 횐쥐를 사육하고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후, 호기중의 ethane 함량,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도, 지질과산화산물인 MDA의 함량을 측정하여 생강, 마늘 및 양파의 생체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실험군간에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강, 마늘,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group II)에 비해 ethane배출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조직의 SOD활성도도 생강, 마늘 및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간 조직 중의 MDA 함량은 마늘첨가군만이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 PDF

생강의 첨가가 분쇄막창의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Rectum by Addi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최원석;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56-961
    • /
    • 2014
  • 신선한 암퇘지의 막창부위에 지방을 제거하고 파쇄기로 잘게 부수어 가열하지 않은 것과 $100^{\circ}C$의 autoclave에서 10분간 가열한 것에 분쇄한 생강을 1, 5 및 10%가 되게 첨가하여 polyethylene film으로 1차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2차 포장한 다음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 중 pH는 첨가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열한 막창이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BA가는 각각 0.1 mg/kg과 0.25 mg/kg으로 가열 막창이 생막창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두 처리구에서 모두 생강의 첨가가 TBA-value의 상승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연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생강의 첨가로 감소하였으며, 30~40 mg%의 초기부패 판정기준을 고려할 때 생막창은 $5^{\circ}C$에서 4일, 가열막창은 6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BN 함량을 기준으로 10% 생강의 첨가는 가열막창의 저장기간을 4일 가량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생강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 김정숙;고무석;김영회;김명곤;홍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49
    • /
    • 1991
  •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대표적인 향신료 중의 하나인 생강의 essential oil 조성을 분석코저 SDE 방법에 의해서 분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과 함산소화합물 분획으로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신선한 생강의 essential oil의 수율은 0.32%로서 탄화수소화합물 분획이 68.1%, 함산소화합물 분획이 31.9%를 차지하였으며, mass spectrum에 의해서 잠정적으로 확인된 47종을 포함하여 101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탄화수소화합물 분획에서는 camphene, ${\beta}-phellandrene$, zingiberene, ${\gamma}-bisabolene,\;{\bate}-bisabolene$, ${\beta}-sesquiphellandrene$이 주성분이었으며, 함산소화합물 분획에서는 1,8-cineol, neral, geranyl acetate, citronellol, geranial, ${\alpha}-terpineol+borneol$등이 주성분이었다. 외국산 생강의 essential oil의 조성과 비교한 결과 국내산 생강은 essential oil의 수율은 높은 편이나 sesquiterpene hydrocarbon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건조 방법을 달리한 생강가루를 첨가한 배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ar Jam with Added Ginger Powder)

  • 노정옥;박희진;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9-1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생강과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 판매되는 생강가루를 첨가하여 가정에서 만들 수 있는 배잼 레시피를 개발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수분의 함량은 생생강군(G1)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조회분은 동결건조군(G3)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단백 함량은 생생강군(G1)에서 가장 높아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지방은 시료 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동결건조군(G3)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pH는 건생강군(G2)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퍼짐성은 건생강군(G2)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생생강군(G1)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열풍건조(G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성 측정 결과, 모든 평가항목에서 건생강군(G2)이 가장 높은 값으로 다른 시료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생강 첨가 배잼보다는 생강가루를 첨가한 잼의 외관, 향미, 단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건생강군(G2)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생강가루를 첨가한 배잼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잼의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 배와 생강의 건강지향적인 면을 고려하여 배잼을 제조할 때는 건생강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다.

김치의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 이신호;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9-254
    • /
    • 1988
  • 마늘, 생강, 부추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부재료의 효과와 절임 배추에서 부재료 첨가효과 그리고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장 맛이 좋은 상태의 김치에서 Lactosaciffeg plantaruut, HSU025, Lactobacillus brevis, HSU01, Pediococus cerevisiae HSU02 그리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HSU05 등의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들 미생물의 부재료 첨가에 의한 성장은 생강과 마늘에 의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에 의해 뚜렷하게 성장이 억제된 유산균은 L. plantaruut, HSU025와 P. cerevutoe HSU02이었다. 마늘에 비해 생강이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더 억제하였으며 부추는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절임 배추에 부재료를 각각 3% 첨가하여 $25^{\circ}C$에서 숙성시킨 결과 마늘 첨가구는 숙성 1일째까지는 숙성을 지연시키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오히려 숙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생강 첨가구가 초기 숙성을 지연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재료 혼합 첨가 김치는 고추가루만 첨가한 김치에 비해 초기 숙성이 지연되었고 부재료 첨가에 의해 김치의 숙성은 $25^{\circ}C$에서 약 24시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초기 숙성 지연 현상은 부재료가 유산균의 초기 증식을 억제하는 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E 필름과 스치로폴 상자를 이용한 생강저장시 탄산가스 흡착제의 효과 (Effects of $CO_2$ Absorbent in the PE Film Bag and Styrofoam Box during the Ginger Storage)

  • 최윤희;김명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6-290
    • /
    • 2001
  • PE필름과 스티로폴 상자를 이용한 생강 저장시 탄산가스 흡착제 및 저장 온 .습도가 생강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E필름이나 스티로폴 상자에 생강을 저장하여 온 습도와 환기공수 및 탄산가스 흡착제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 필름 포장에 의해 중량감소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0.05 mm보다 0.08 mm에서 중량감소율은 낮았으나 부패율 및 곰팡이발생율이 높았고, 저장온도별로는 15$^{\circ}C$에 비하여 1$0^{\circ}C$에서 중량감소율이 낮고 건전율이 높았으며 저장중 발아가 되지 않아 저장성이 양호하였다. PE필름 두께가 얇고 환기공수가 많을수록 중량감소율은 높았으나 건전율은 0.05 mm에서는 직경 6 mm 크기의 환기공 1개 처리구가, 0.08 mm에서는 환기공 3개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탄산가스 흡착제를 넣어 줌으로써 무처리에 비해 포장내 $CO_2$ 농도가 낮아지고, 부패율 및 곰팡이 발생율이 낮았다. 스티로폴 상자를 이용할 때에도 탄산가스 흡착제 처리로 건전율이 높아졌으며 활성탄이 나 소석회간에 큰 차이는 없었고 상대습도 65%에 비하여 92%에서 건전율이 높았으나, 10% 내외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생강저장 적정 온.습도는 1$0^{\circ}C$, 92% 이며, 저장시 소석회를 처리하므로서 저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