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샌드위치패널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Study on Brilliant Performance Appraisal of The EPS Sandwhich Pannel Leads an Actual Fire Test (실물화재 실험을 통한 난연 EPS샌드위치패널의 난연성능 평가)

  • Choi, Ki-Young;Kim, Byeong-Sun;Oh, Jae-Hoon;Park, Seon-Yeong;Park, Hyo-Seok;Moo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57-60
    • /
    • 2011
  • EPS패널의 열방출율과 가스유해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그 동안의 시험 결과는 KSF ISO 5660-1(콘칼로리미터) 시험규정에 의한 소형시편을 이용한 것으로 난연제의 과다투입 또는 심재의 변형이 쉬워 결과를 신뢰하기 힘들고 실제 생산되는 크기의 샌드위치패널의 난연성능을 판단하기 힘들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실물화재시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난연 EPS샌드위치패널과 일반EPS샌드위치패널의 실물화재 실험결과 난연EPS샌드위치패널은 기타재료의 샌드위치패널과 열방출율, 연기발생율, 부분별 온도분포, 플래시오버등과 같은 난연성능이 EPS샌드위치패널과 우레탄폼패널보다 우수하며, 글라스울과 비슷한 성능을 나태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래서 시공성, 경제성 등의 EPS샌드위치패널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며 난연제의 코팅법을 통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확보하였다.

  • PDF

현장사례분석의 비교 감식을 통한 화재원인 분석 -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

  • Kim, Yong-U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11 no.1
    • /
    • pp.91-109
    • /
    • 2007
  • 조립식 건축물의 화재는 건축자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재 특징을 나타내게 되는데 금번 연구과제로 선정한 화재는 지난 2006년 12월에 발생한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숙소 화재사례로서 이번 연구를 통해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건축물의 화재원인분석과 감식방법을 고찰해 보고 아울러 발표된 연구논문자료와 실제 화재재현실험을 통한 감식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andwich Panels and Indoor Composite Materials (샌드위치 패널 및 내장재 특성 연구)

  • 허완수;이상원;김장엽;이종호
    • Composites Research
    • /
    • v.14 no.6
    • /
    • pp.1-8
    • /
    • 2001
  • In this paper, the sandwich panel composites consisting of core material and face sheet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noise level and fire resistance including flammability, smoke, and toxicity. Four types of sandwich panel were prepared using various kinds of panel and honeycomb materials. It was observed that Al honeycomb/Al skin composite materials had the excellent flatwise tensile strength and edgewise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composites. The flatwis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Nomex honeycomb/Al skin composit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mposites. PMI form/Al skin composite showed the higher core shear strength and facing bending strength.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lame resistance tests, it can be said that the phenol based skin composite has the excellent flame retardation properties,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ommercial skin composites.

  • PDF

A Research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Flame Retardant Sandwich Panels for Cold Storage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의 난연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Hye-Jin;Oh, Jae-Hoon;Moo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83-388
    • /
    • 2010
  • 1999년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 화재로 19명이 사망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위험성이 대두되었으며, 2008년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 그리고 최근 2009년 11월 19일에도 샌드위치 패널로 건축된 물류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로 시공된 물류창고 등의 화재는 확대가 빠르므로 난연재 소재의 샌드위치 패널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스티렌 폼을 심재로 한 샌드위치 패널의 장점에 난연성을 부과하여 화재 안전성을 도출하는 하고자 한다.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로 주로 사용되어지는 EPS 비드에 저가의 물유리를 코팅하여 난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2차 발포 성형시에 물유리가 고온의 스팀에 씻겨 내려가지 않고 남아서 난연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 PDF

A Study on the Fire Safety of Expanded Poly-Stylene Foam Panel (스치로폼 패널의 화재 안전성 연구)

  • Kweon, Oh-Sang;Yoo, Yong-Ho;Kim, Heung-Youl;Kim, J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13-519
    • /
    • 2009
  • 현재 국내의 주요 샌드위치패널 화재안전성능 평가방법에는 Cone calorimeter (연소성능) 및 가스유해성 시험방법이 있지만 샌드위치패널의 경우 불연재질 속 심재의 연소특성을 측정하여 실제 화재에서의 연소거동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티로폼 패널의 화재 안전성 연구를 위해서 ISO 9705 시험(Room Corner Test)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두 시편 모두 시험이 진행되고 약 12분 정도, 버너의 열량이 100 kW에서 300 kW로 진행되는 시점에서 천정부가 붕괴되어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은 내부 심재에 화염이 전파되었을 경우 급속한 화염의 전파 속도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점을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와 같은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의 실물 화재 시험에 따른 연구 결과들이 화재안전 성능 등급 분류 기준 설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of Sandwich Panels by ISO 9705 - Full-scale Room Test (ISO 9705 - Full-scale Room Test 시험방법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 특성 연구)

  • Kweon, Oh-Sang;Yoo, Yong-Ho;Kim, Heung-Youl;Lee, Jeong-I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6
    • /
    • pp.39-45
    • /
    • 2009
  • This paper studied on the fire characteristics of sandwich panels by ISO 9705 test (Full-scale room test). A comprehensive fire characteristics of sandwich panel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test result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EN 13501-1 and Eurefic Research Program. Consequently, glass wool foam sandwich panel proved to be A class, incombustible - EPS Foam and incombustible - PUR Foam sandwich panels was class B. Also, EPS foam and PUR foam sandwich panels was class C because of flashover.

The Proposal of The EPS Sandwich Panel Mixdesign For Flame Retardant Improvement (EPS 샌드위치패널의 난연성능 향상을 위한 배합설계 제안)

  • Oh, Jae-Hoon;Park, Seon-Yeong;Kim, Dae-Hoi;Choi, Dong-Ho;Moo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91-294
    • /
    • 2010
  • EPS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EPS 샌드위치 패널이 국내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가격이나 시공성, 생산성에서 EPS를 대체할만한 물질이 아직 개발되지 않는 실정이다. 글라스 울 패널과 우레탄 폼 패널이 시장에 조금씩 유통되고 있지만 여전히 EPS 패널이 시장에서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EPS를 코팅, 함침, 주입 등의 여러 가지 방법도 개발되고 있으나 그 중 가장 간단하고 가격이 낮고, 샌드위치패널에 적용이 가능한 코팅법에 의한 난연제의 배합설계와 비드와 난연제의 난연 등급에 따른 최적의 배합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위험성과 보험요율의 적용

  • Ji, Chun-Geun
    • 방재와보험
    • /
    • s.112
    • /
    • pp.46-50
    • /
    • 2006
  • 1970년대 국내에 도입된 이후 다양한 용도에 걸쳐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건축재료 중 하나인 샌드위치 패널은 그 종류에 따라 화재위험성과 보험요율의 적용이 다양하다. 보험료 절감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샌드위치 패널의 이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on Flash Over Delay Effects on Applied Plate-Fire Spread Prevention Method at Sandwich Panels Structure (샌드위치패널 건축물 플래시오버 지연을 위한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 시공방법 연구)

  • Kim, Do-hyun;Cho, Nam-W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1 no.3
    • /
    • pp.79-87
    • /
    • 2017
  • Sandwich panels which are having the both sides are bon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with an iron plate are used as factories, warehouse structures as advantages of convenience in construction at economic efficiency of material cost. However, in a panel structure constructed by continuous joining of sandwich panels, a joint portion where a panel and a panel are connected is generated. The joint part is a part which is easily vulnerable to fire because flames easily flow into the melting and deformation of the iron plate during fire. The flames flowing into the panel induce diffusion of fire by rapid burning, causing damage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flame spread prevention plate to prevent spreading of sandwich panel. This is an improvement of the workability by the anti-spread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existing previous research, it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to the connecting part where the panel and the panel are coupled, designed to prevent inflow and spreading of flame did. The actual fire test of the test method of KS F ISO 13784-1 of the sandwich panel specimen was conducted and the burning behavior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pplication of the flame spread prevention plate was grasped at the panel connection part and its effect was measured. Inserting a fire spreading plate into the test result panel connecting part is measured by delaying the flashover, prevention of collapse of the specimen, and temperature rise of the opening, effectively improving the fire safety of the panel structure It was confirmed as a method that can be secured. It is judged that panel structure will contribute to ensuring fire safety by applying the fire spread prevention construction method of various methods ensuring the workability and economy of panel connection vulnerable to fire.

A Study on the Alternatives for Fire Safety Management by Warehouse Fire Analysis (물류창고 화재분석을 통한 화재안전관리방안 연구)

  • Kim, Hee-Kyu;Park, Sang-Hyun;Jung,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8-605
    • /
    • 2009
  • 본 논문은 2008년 12월 5일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물류창고 화재사고에 대한 화재원인 및 화재확대요인을 검토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화재원인 검토결과 용접작업 실화에 의한 화재로 벽체패널인 샌드위치패널과 문틀형 강을 접합하던 중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불티 또는 고열에 의해 벽체패널 내부의 스티로폼 및 우레탄폼에 착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재확대요인은 화재에 취약한 스티로폼 및 우레탄폼 재질의 샌드위치패널 사용과 소방설비의 인위적 기능해제로 판단된다. 이번 사고와 같은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급격한 연소확대 특성을 갖는 스티로폼 및 우레탄폼 재질의 샌드위치패널 사용금지, 소방설비의 기능해제에 대한 감시와 처벌강화와 안전관리체계 및 안전규칙 준수여부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