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채 정보 인식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초

감성인식을 위한 이텐의 색채 조화 식별 (A Study on Speechreading about the Korean 8 Vowels)

  • 신성윤;최병석;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93-99
    • /
    • 2009
  • 비디오에서 색채가 즐거움을 주는 조화를 이루는지 알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색채 조화를 식별함으로서 색채의 조화가 질서감, 명료성, 동류성, 대비성, 그리고 친근감 등을 준다. 따라서 색채 조화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색채 조화는 먼셀, 오스발트, 비렌, 문 스펜서, 이텐, 슈브뢸, 그리고 저드 등이 조화론을 내세워 색채가 조화를 이루는지 판별했다.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인 이텐의 색상환을 이용하여 2색, 3색, 4색, 5색, 그리고 6색의 색채 조화를 식별해보도록 한다. 식별에는 에지 추출, 레이블링 및 클러스터링, 그리고 색채 추출 및 조화 등이 이용된다. 이렇게 색채 조화를 식별함으로써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감성 인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영상에서의 감성인식과 아동색채심리 (Sensibility Recognition and Child Color Psychology in Image)

  • 신성윤;이경주;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33-136
    • /
    • 2010
  • 작금의 현대 사회는 바쁜 일상 속 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한 자녀들에 대한 심리적 안정과 환경 적응력을 위한 색채심리치료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아동의 그림 등으로 아동의 감성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감성의 실증적 연구는 크게 심리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감성은 감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한편 공학적 관점에서 이해되는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 공간에서의 단색, 배색의 정보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를 식별하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심리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우선 색채 이미지공간을 기반으로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후에 영상을 K-Means알고리즘을 이용해 클러스터링 하여 방대한 컬러 값들을 그룹화 시킨 후에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을 시켜 감성을 추출해 내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컬러 분포도를 이용하여 아동색채심리를 알아본다.

  • PDF

감성인식을 위한 색채 조화 인식 (Recognition of Color Harmony for Sensitivity Recognition)

  • 백정욱;신성윤;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3-174
    • /
    • 2009
  • 색채의 조화란 조형의 기본 요소인 선, 형태, 색채가 잘 어울리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조화론 중에서 요하네스 이텐의 색채 조화론을 구현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노랑, 빨강, 파랑의 1차색을 기준으로 그 사이에 혼합색인 2차색을 배치하고, 다시 1차색과 2차색 사이에 3차색을 배치하여 12색상환을 만들었다. 이 12 색상환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에지 추출은 Canny 연산자를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하고, 레이블링 및 클러스터링을 통해 색을 표현하였다.

  • PDF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afety Color & Safety Sign)

  • 김성희;최예령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15
  • 일반적으로 인간은 외부로부터 정보의 85% 이상을 '시각'을 통해 얻고 있으며 색(色)-형(形)-Texture(質感)의 순으로 사물을 인식한다. 그래서 인간은 예전부터 위험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대상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색채를 활용해 왔으며, 안전색채는 이러한 색의 속성을 이용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되어왔다. 현재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언어나 문자사용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고 안전표지를 국제적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 국제표준기구(ISO)가 제정한 '안전색채 및 안전표지(ISO3864)'를 채택하거나 자국의 실정에 맞춰 일부 변경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안전표지는 색만이 아니고 그것을 표시하는 형까지 포함 사용되며 형태는 표시 물건에 따라 다양하며 또한 색채가 일으키는 심리 작용을 이용하여 주의를 환기하거나 위험을 경고하며 위험방지 및 긴급사태에 대한 대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안전색채 및 안전표지의 목적은 안전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물 및 장소에 신속하게 주의를 촉구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사용한 실례를 통하여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의 색채 및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좋아하는 색채와 인간의 성격의 관계 (Relationship of Favorite Color and Human Character)

  • 신성윤;장대현;신광성;이현창;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313-314
    • /
    • 2011
  • 우리가 사는 세계에는 무수히 많은 색들이 존재한다. 이 수많은 색들은 인간에게 항상 의미있는 지시나 신호를 보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간이 좋아하는 색과 인간의 성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우리 인간은 거의 무의식적으로 색채에 반응하고 색채의 영향을 받고 있다. 색채들이 우리 인간에게 주는 효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크다. 인간은 어떠한 색채를 보고 무드가 좋아지거나 가라앉기도 하고 또는 밝아지거나 나아지기도 한다. 이것은 인간은 빛으로부터 색이 주는 지시나 신호를 알아듣는 것이다. 색채의 지시나 신호를 인식하거나 자각하여 받아들인다면 색채가 지닌 일반적인 뜻을 알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색채를 사용할 수 있다.

  • PDF

색채의 공감각 현상에 의한 의미 전달 (Transmission of Meaning Using Synaestesia of Color)

  • 신성윤;표성배;신광성;이현창;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277-278
    • /
    • 2011
  •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syn + anesthesis 로서 union + no sensation 즉, 결합된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또는 그렇게 일으켜진 감각이라고 정의 한다. 즉 색채의 공감각은 색채와 다름 감각간의 교류 현상이고, 영국의 유전학자인 프란시스 칼톤은 색채의 공감각은 유전이나 선천성에 의해 생겨난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감에 관련된 색채 공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고, 또한 오감에 따른 따른 색채를 제시하였다.

  • PDF

개선된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색채 정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Information Recognition with Improved Fuzzy Inference Rules)

  • 우승범;김광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11
    • /
    • 2009
  • RGB 모델을 통한 정적인 추론 규칙을 적용한 기존의 색채 정보 인식 방법은 RGB모델이 가지는 인간 시각과의 괴리감과 특정한 환경에서만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HSI 모델을 적용하여 색채에 대한 인간 인식 과정과 유사한 형태의 추론 방식과, 사용자에 의해서 추론규칙을 추가, 수정, 삭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H, S, I 각각의 소속구간에 대하여 H는 Sine, Cosine 함수를 사용하여 소속구간을 설계하였으며, S, I는 삼각 타입의 소속 함수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각각의 소속구간에 대하여 소속구간 병합을 적용하여 소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들은 미리 제시된 추론규칙에 적용하여 색채를 추론한다. 제안된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제안된 방법이 비교적 직관적이며 효율적인 형태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퍼지추론과 면역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인공 색채-감성처리 (The Artificial Color-Emotion Process Based on Fuzzy Reasoning and Immune Mechanism)

  • 손창식;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06-20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과 면역 네트워크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인간의 외부 자극(색상정보)에 따른 내부 감성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간의 내부 감성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색채심리를 바탕으로 추론을 하였으며 추론된 값은 색상 정보의 정도에 따른 감성상태이다. 이러한 감성상태의 값들 간에 유사성을 계산하여 면역 네트워크에 세 가지 메커니즘에 적용하여 인공적인 감성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 PDF

아동의 그림으로부터 감성인식 및 색채심리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nsibility Recognition and Color Psychology from The Children's Pictures)

  • 안은미;신성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1-48
    • /
    • 2012
  • 작금의 현대 사회는 바쁜 일상 속 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한 자녀들에 대한 심리적 안정과 환경 적응력을 위한 색채심리치료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아동의 그림 등으로 아동의 감성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감성의 실증적 연구는 크게 심리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감성은 감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한편 공학적 관점에서 이해되는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 공간에서의 단색, 배색의 정보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를 식별하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심리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색채 이미지공간을 기반으로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 영상을 K-Means알고리즘을 이용해 클러스터링 하여 방대한 컬러 값들을 그룹화 시킨 후에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을 시켜 감성을 추출해 내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컬러 분포도를 이용하여 아동색채심리를 알아보았다.

컬러 영상 색채 강도 엔트로피를 이용한 앙상블 모델 기반의 지능형 나비 영상 인식 (Ensemble Model Based Intelligent Butterfly Image Identification Using Color Intensity Entropy)

  • 김태희;강승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972-980
    • /
    • 2022
  • 영상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나비 종 인식 기술은 나비 종의 다양성 및 개체 수, 종의 서식 분포 등을 파악하는데 관련 분야 종사자의 많은 시간과 비용 감소의 효과를 가져온다. 나비 종 분류의 정확성과 시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특징들이 연구되었다. 그중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가지 길이 유사성 엔트로피나 색채 강도 엔트로피 방법이 푸리에 변환이나 웨이블릿 등 다른 특징들에 비해 높은 정확성과 적은 학습 시간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나비의 컬러 영상에 대한 RGB 색채 강도 엔트로피를 이용한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특징 추출 방법과 대표적인 앙상블 모델들을 결합한 나비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