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채정보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f Safety Color & Safety Sign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에 관한 연구)

  • Kim, Sung-Hee;Choi, Yea-R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13-116
    • /
    • 2015
  • 일반적으로 인간은 외부로부터 정보의 85% 이상을 '시각'을 통해 얻고 있으며 색(色)-형(形)-Texture(質感)의 순으로 사물을 인식한다. 그래서 인간은 예전부터 위험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대상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색채를 활용해 왔으며, 안전색채는 이러한 색의 속성을 이용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되어왔다. 현재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언어나 문자사용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고 안전표지를 국제적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 국제표준기구(ISO)가 제정한 '안전색채 및 안전표지(ISO3864)'를 채택하거나 자국의 실정에 맞춰 일부 변경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안전표지는 색만이 아니고 그것을 표시하는 형까지 포함 사용되며 형태는 표시 물건에 따라 다양하며 또한 색채가 일으키는 심리 작용을 이용하여 주의를 환기하거나 위험을 경고하며 위험방지 및 긴급사태에 대한 대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안전색채 및 안전표지의 목적은 안전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물 및 장소에 신속하게 주의를 촉구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사용한 실례를 통하여 안전색채와 안전표지의 색채 및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color and attention on the perception of 2D coherent motion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색채와 주의의 영향)

  • 이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9-24
    • /
    • 2000
  •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Stoner & Albright, 1997)와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상반된 연구결과(Edwards & Badcock, 1996)의 모순을 해결하고, 선택적 주의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이형철(1999)의 연구가 있었지만, 이형철의 연구는 단지 숙련된 2명의 피험자의 결과에 의존했다는 점, 그리고 선택적 주의에 사용된 자극에서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에 의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해서만 분리되고 그 외의 다른 정보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그 어떤 정보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을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비슷하였다. 하지만,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하여 분리되고 피험자들이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색채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일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향상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선택적 주의가 개입되지 않는 한 인간의 운동지각체계는 자극 구성요소들을 운동정보분석을 위해 색채에 따라 자동적으로 grouping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Collecting and Analyzing Color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Semantic Information Model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한 색채정보의 수집과 정량적 분석)

  • Lyu, Ki-Gon;Sun, Dong-Eo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32-235
    • /
    • 2011
  • 지식표현은 일반적으로 논리, 규칙, 프레임 또는 의미망 형태로 표현되며, 최근에는 의미망을 이용한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표현 방법은 개념을 설명하는 문맥적인 정보나 개념들 간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념에 대한 지식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지식표현에 사용되는 의미정보는 사람에 의해 수집되고 정제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의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색채는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 연상, 상징 등 객관적인 특징 뿐 아니라 시대, 나라, 문화와 같은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색채를 이용한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해, 색채정보를 수집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긍정/부정/불안/중립으로 구성된 감성어휘 273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한 결과 총 130,94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미지에는 여러 가지 사물, 행동, 배경, 색채 등 다양한 정보가 혼재되어 있어 감성어휘와 연관된 색채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용자 태그를 별도로 수집하였다. 태그는 총 2,836,395개를 수집하였고 각 이미지와 그룹에서의 가중치를 구하였다. 태그의 가중치를 통해 이미지가 그룹 내에서 갖는 중요도를 판별하였고, 각 그룹 별로 상위 3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대표 색채를 분석하였다.

A Study on Speechreading about the Korean 8 Vowels (감성인식을 위한 이텐의 색채 조화 식별)

  • Shin, Seong-Yoon;Choi, Byung-Seok;Rhee, Yang-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0
    • /
    • pp.93-99
    • /
    • 2009
  • The color harmony in video was no way to know for giving pleasure. By identifying these color harmony, it gives order, clarity, similarity, contrast, etc. Therefore, to identify the color balance is very important. Color Harmony identify the color is whether the harmony by color harmony theory of Munsell, Ostwald, Firren, Moon & Spenser, Itten, Chevreul, and Judd etc. One of these methods, we identify color harmonies of 2 colors, 3 colors, 4 colors, 5 colors and 6 colors using Itten's color balance. Identification is using by Canny edge extraction, labeling and clustering, and color extraction and harmony etc. By identifying this color harmonies, we have laid the foundation of emotional database construc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Psychology Analysis Based on Color Information Using ART2 Algorithm and Fuzzy Inference Method (ART2 알고리즘과 퍼지 추론 기법을 이용한 색채 정보 기반 심리 분석)

  • Lee, Dae-Woo;Kim, Ji-Yeo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43-34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아동이 그린 그림에 대해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채 정보를 군집화하고, 군집화 된 색채 정보의 중심 벡터 값들을 퍼지화 한다. 퍼지화 된 색채 정보의 소속도를 퍼지 추론 규칙에 적용한 후에 비퍼지화 한다. 비퍼지화 된 결과를 적용하여 아동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하여 알슐러와 해트윅(Alschuler and Hattwick)의 색채에 따른 심리 상태와 비교한 결과, 제안된 심리 분석 방법이 알슐러와 해트윅의 색채에 따른 심리 상태 분석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sychology Analysis using Color Histogram Clustering (색상히스토그램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심리분석)

  • Cho, Jae-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3
    • /
    • pp.415-420
    • /
    • 2013
  • In recent, many researches have been studying sensitivity and psychology of human on color. Among them, a picture of children can be a tool to represent their emotion. Information of colors and direction on a child's picture often represent his internal psychological states unconscious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hat extract the color and direction inform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psychology in the picture of children. Histogram clustering is used for color information detection. Direction information extract from inner edge value. In the result of experiments, we shows that our method is similar to the pattern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method.

Psychology Analysis using Dominant Color and Interest Object (주조색과 관심 객체를 이용한 색채 심리 분석)

  • Kim, Beak Cheon;Kim, Min Seok;Song, Doo Heo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3-466
    • /
    • 2016
  • 아동은 미술 활동을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개인의 정서, 심리, 욕구를 표현한다. 그림은 색채뿐만 아니라 그림의 크기에 따라 심리 상태가 나타나는데, 숨겨진 심리 상태를 해명하기 위해 여러 심리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색채 정보와 그림의 크기 정보를 분석한 후에 퍼지 추론 방법과 침식 및 팽창 기법을 적용하여 아동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알슈울러와 해트윅의 색채에 따른 심리 상태 및 Grunwald의 공간 구성에 따른 심리 분석을 기반으로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제안된 색채 심리 분석 방법이 알슈울러와 해트윅의 색채에 따른 심리 상태와 Grunwald의 공간 심리 분석과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ensibility Recognition and Child Color Psychology in Image (영상에서의 감성인식과 아동색채심리)

  • Shin, Seong-Yoon;Lee, Kyung-Joo;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33-136
    • /
    • 2010
  • 작금의 현대 사회는 바쁜 일상 속 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한 자녀들에 대한 심리적 안정과 환경 적응력을 위한 색채심리치료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아동의 그림 등으로 아동의 감성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감성의 실증적 연구는 크게 심리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감성은 감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한편 공학적 관점에서 이해되는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 공간에서의 단색, 배색의 정보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를 식별하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심리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우선 색채 이미지공간을 기반으로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후에 영상을 K-Means알고리즘을 이용해 클러스터링 하여 방대한 컬러 값들을 그룹화 시킨 후에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을 시켜 감성을 추출해 내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컬러 분포도를 이용하여 아동색채심리를 알아본다.

  • PDF

복식에 표현된 검정색의 색채특성

  • 송금옥;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54
    • /
    • 2004
  • 검정색은 죽음, 절망 등을 상징하는 부정적인 색채이미지를 가졌지만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복식에 다양하게 표현되어 왔으며, 검정색에 대한 색채정보와 색채심리의 계속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패션컬렉션에는 검정색을 사용한 디자인이 매 시즌 소개되고 있다. (중략)

  • PDF

국내 캐주얼웨어의 세분시장별 색채특성과 선호색 - 1999 F/W ~ 2002 F/W를 중심으로 -

  • 김민지;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30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 캐주얼웨어의 세분시장별 활용 색채와 선호·비선호 색채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색채기획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세분시장별 대표색과 선호·비선호의 색채 팔레트를 제안함으로써 체계적인 색채 정보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