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차 분석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Soil Removal (오염제거 평가의 비교)

  • Sherryl A. Schofield-Tomschin;Sara J. Kadolph;Kwon, Young-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05-141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에 의한 객관적 오염제거 평가와 육안에 의한 주관적 오염제거 평가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백색의 순면직물과 65%/35% 폴리에스테르/면직물 시료에 9가지의 오염을 각각 처리한 오염포를 제작한 후, 세탁 실험을 하였다. 주관적 오염제거의 평가는 오염시키지 않은 포를 기준시료로 하여 오염포와 같은 조건으로 세탁한 후, 오염제거도를 AATCC Gray Scale for Staining으로 평가하였다. 세탁 후 오염제거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각 시료의 K/S values, CIELAB, CMC, ASTM E313 Whiteness Index(WI), ASTM E313 Yellowness Index, and CIE tristimulus values를 구하였고. 세탁에 의한 control 시료의 반사율 변화에 대한 오염포의 반사율 변화를 비교한 오염제거율(PSR)을 구하였다 육안에 의한 주관적 평가 결과와 기계에 의한 객관적 평가의 결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사이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주관적 평가 결과 중 WI가 주관적 평가 결과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PSR과 주관적 평가 결과와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색포의 오염 판정이 필요한 산업체에서 현재 많이 사용하고있는 PSR보다는 WI나 다른 색차를 이용하여 객관적 오염 평가를 하는 것이 주관적인 오염평가 결과에 더 근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Color0Difference and Physical Property of Anti-Corrosion Coatings Used in Concrete Tank (콘크리트 수조 구조물에 사용하는 방식코팅재의 화학수 침지에 따른 색차 변화와 물리적 성질의 관계분석 기초 연구 -에폭시 수지계 도료를 중심으로-)

  • Seo, Hyun-Jae;Kim, Dong-Bum;Kim, Yun-Ho;Choi, Sung-Min;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7-81
    • /
    • 2010
  • This study deals with the analysis of color-difference and physical property of anti-corrosion coatings using at inside of concrete tank for drinking water. Because anti-corrosion coatings are effected by chemical attack, color and physical property are changed. So in this study when epoxy resin coatings of 3 types were received chemical attack by Cl- and NaOH, we present the co-relationship between color-difference and bond strength. For this study, we used the colorimetry, which can measure the degree of color difference on surface of materials. As the results, in case of Cl-, color change is appeared, bond strength also is decreased. From this experiment, we could know that color change due to chemical aging has the deep relationship with physical performance(bond strength) material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 PDF

Examination of Color Difference in Elastic Pavement that uses EPDM Chip using Ultraviolet Ra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에 의한 EPDM Chip을 사용한 탄성포장의 색차분석)

  • Hong, Chang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1D
    • /
    • pp.91-98
    • /
    • 2011
  • Recently, the usage of elastic paving using EPDM Chip instead of pedestrian sidewalk blocks or permeable concrete used mostly for pedestrian walk, trails and in parks has been increassed as it can absorb impact during walking and produce wide range of colors and designs. However, the properties of EPDM Chip including elasticity and durability are decreased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 and scenic paving functions through various colors are lowered due to the yellowing phenomenon. In this study, ultraviolet ra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olor changes in EPDM Chip and polyurethane resin,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of elastic paving,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 The color difference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color value coordination of the colored space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sche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lor changes in BL polyurethane resin which is used most frequently at present was larger than that of EPDM Chip. Moreover, the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of BC polyurethane resin are 3.162 on the $14^{th}$ day of commencement of acceleration, which is 6 times greater color change resistance against ultraviolet ray than that of BL polyurethane resin with total color difference of 20.639. Therefore, the usage of BC polyurethane resin, which is manufactured to have chain-type molecular structure by using the isocyanate as the HMDI at the time of producing polymer, as binder in elastic paving with EPDM Chip is found to be a highly efficient method of restraining the color changes due to the ultraviolet ray.

A Study on the I-V characteristics of 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소자(OLED)의 전압-전류 특성에 대한 연구)

  • Lee Jung-Ho;Chae Kyu_Su;Kim Min-N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9-162
    • /
    • 2005
  • 전자빔을 이용하던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에서 픽셀단위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사용으로 휴대용 정보처리 장치들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기존의 CRT 모니터에서 전자빔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픽셀(Pixel) 단위의 후면발광 디스플레이를 만들면서 CRT 모니터보다 빠른 응답특성을 나타내며 저 전력일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두께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휴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발전으로 노트북이나 PDA와 같은 실시간 정보를 활용 및 처리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었지만 원활한 활용을 위해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저 전력 소모, 빠른 응답특성, 넓은 시야각 그리고 경량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기 위한 새로운 디스플레이가 선을 보이게 되었다.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있다 이는 LCD 디스플레이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우선적으로 높은 색도가 가능하며 후면발광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발광을 하기 때문에 저 전력 소모가 현실화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유동성이 가능하여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발광 소자의 경우 높은 발광 효율을 위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며 소자의 수명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소자의 메카니즘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게 되며 물리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물리적, 수치적 해석으로 소자의 특성을 파악해 줌으로써 개선된 유기발광 소자 제작이 가능 할 것이다.기에 대한 영향정도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각 구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형국책사업에서의 공기지연인자에 대한 분석 방법론을 정립하였고 공기지연 분석 방법론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제언과 그에 따른 개선사항에 대해 도출하였다.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고 추정하였다. 0.5%가 control사이에서 0.95로 가장 색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냉동분쇄 0.5% 0.83으로 나타나 송이의 첨가율이 높을수록 색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색차가 가장 낮은 제품은 법동분쇄 0.3%, 동결건조 0.3%로 나타났다. 송이양갱의 색(color), 냄새(flavor), 맛(taste), 외관(appearances), 질감(viscosity), 종합적 평가(overall acceptability) 등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중 색에 대한 기호도는 냉동분쇄 0.1% 송이양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냄새는 동결건조 0.1%의 송이양갱이 3.38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냉동분쇄 0.3%의 송이양갱이 2.81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맛에서는 p<0.01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동결건조 0.1%가 그 중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동결건조 0.5%였다.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은 열풍건조 0.5%였다. 질감은 P<.05 수준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1%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5%함유 송이양갱이 1.21로서, 현저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동결건조 0.1%함유

  • PD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건조방법에 따른 양송이버섯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Ha, Young-Sun;Park, Jong-Won;Lee, Jun-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2
    • /
    • pp.245-251
    • /
    • 200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the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Samples were dried using either hot air drying, vacuum drying, or freeze drying and changes in the color, browning index, hardness and rehydration rate were evaluat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Hot air drying resulted in the fastest drying of sample as compared to other methods. The rate of drying was most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rather than air velocity or vacuum pressure. The overall color differenc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increased. The overall color changes of the freeze dried samples were minimal as compared to those of fresh mushrooms. The hot air dried samples showed the greatest changes in the overall color, browning index as well as hardness. The freeze dried samples showed the best rehydration characteristic and maintained the best overall quality after drying.

  • PDF

A Study for assessment of color difference by LED lighting (LED 조명에 의한 색채 변이량 평가)

  • Jung, Seung-Gyun;Kim, Hyun-Ji;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17-120
    • /
    • 2009
  • LED 광원이 일반 조명용으로서 실내조명의 적용도가 증가하면서, LED에 대한 환경적합성 평가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LED 조명에서 일반적으로 거론되어지는 광량이나 글레어 발생문제 외에도 조명의 분광분포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색의 보임 차이나 분위기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광원과 LED 광원간의 색보임의 차이를 위한 실험실을 구축하고 기존 조명과 LED간의 색차를 평가,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about Interpolation Filter used for Inter Prediction (화면 간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에 관한 연구)

  • Lim, Sung-Won;Moon, Jo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9-500
    • /
    • 2015
  • 동영상 부호화에서 중요하고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화면 간 예측에서는 휘도와 색차 성분에서 다양한 tap의 보간 필터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표준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 쓰이는 보간 필터인 DCT-IF(Discrete Cosine Transform-based Interpolation FIlter)에 알아보고 tap 수에 따른 성능을 분석한다.

  • PDF

Scientific Study on Clepsydra of Changgyeonggung Palace, National Treasure for Diagnosis on State of Conservation (국보 창경궁 자격루 누기의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과학적 조사)

  • YOU Harim;LEE Jaesung;YU Jia;JO Hanui;PARK Younghwan;RYU Dongwa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3
    • /
    • pp.138-156
    • /
    • 2023
  • Some of the metal cultural heritage that make up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Korea's cultural heritage have been installed and displayed outdoors due to their own functions, roles, and scale. Therefore, more diverse and complex damages can occur outdoors than they are in a stabl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bine accurate diagnosis and systematic survey methods in order to utilize basic data obtained from research results as data for the long-term and continuous conservation management as well as to do the research to diagnose the conservation status of outdoor cultural heritage. The clepsydra(hereinafter referred to as Jagyeongnu) of Changgyeonggung Palace, the National Treasure has been installed and displayed outdoors since it was manufactured. Though regular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Jagyeongnu have been carried out, damage still occurred. Therefore, the scientific research on Jagyeongnu to diagnose the state of conservation was conducted prior to the full-scale conservation treatment. First, the state of conservation was investigated with an examination of basic data, macroscopic inspections and past records of repair histo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More detailed examinations were also conducted through the 3D scan, surface pattern investigation, and color difference analysis, and the analysis on materials and contaminants were conducted through P-XRF, FT-IR, and Py-GC/MS. The scientific research reveals that squalane and silicone oil have been applied in the past for conservation treatment and directly exposed to outdoor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aused damage to Jagyeongnu and contaminants such as dust adhered thickly to its surface, accelerating severe damage. A greater incidence of damage was found around the part with relatively high exposure effect, which corresponded with the tendency identified by grouping color difference data. As a result of integrating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to diagnose the state of conservation and secure basic data, the causes and types of damage were identified. Furthermore, the process of obtaining digital data to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nd the color difference analysis presenting visible damage as scientific data and identifying the tendency of damage patterns were confirmed to have been effective.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혁신에 대한 동태적 분석

  • 류희숙;나광국;배종태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3-26
    • /
    • 2004
  • 현재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 사회에서 서비스 중심 사회로 경제구조가 변화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성장의 원동력으로서의 기술혁신의 역할을 서비스 산업에도 적용하는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그간 제조업에서의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서비스 산업의 기술혁신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했다. 특히 서비스 산업의 개별 섹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도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이동전화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 산업에서 나타나는 기술혁신의 동태성을 살펴 보았다. 기존 이동전화 서비스 산업을 다룬 연구에서는 주로 국가별 비교로서 규제나 법개정에 의한 파급효과를 관찰하는 정치적인 목적이 강했으며, 서비스 산업 관점에서 제조업의 제품혁신에 해당하는 신규 서비스 개발, 제조업의 공정혁신에 해당하는 운용기술개선의 변화를 기술혁신의 관점에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혁신을 이동전화 서비스 산업에서의 대규모 표준화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 즉시 생산되는 무형의 산물로서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개발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객이 제공받는 서비스 그 자체의 변화로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를 서비스 제품 혁신(Service product innovation),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변화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서비스 과정 혁신(Service process innovation)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의 변화를 통해 이동전화 서비스 산업의 기술혁신패턴 파악 및 서비스의 수명주기에 따른 혁신의 세부 형태를 살펴보고 기술혁신의 동태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 이동전화 서비스 산업에서는 기존의 제조업에서 나타나는 선 제품혁신, 후 공정혁신의 혁신패턴과는 반대로, 공정혁신이 먼저 발생한 후, 제품혁신이 나타나는 동태성을 보여주었다. 또 서비스의 수명주기에 따라 세부적인 혁신의 형태가 달라지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a}E$)는 동결건조 0.5%가 control사이에서 0.95로 가장 색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냉동분쇄 0.5% 0.83으로 나타나 송이의 첨가율이 높을수록 색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색차가 가장 낮은 제품은 법동분쇄 0.3%, 동결건조 0.3%로 나타났다. 송이양갱의 색(color), 냄새(flavor), 맛(taste), 외관(appearances), 질감(viscosity), 종합적 평가(overall acceptability) 등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중 색에 대한 기호도는 냉동분쇄 0.1% 송이양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냄새는 동결건조 0.1%의 송이양갱이 3.38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냉동분쇄 0.3%의 송이양갱이 2.81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맛에서는 p<0.01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동결건조 0.1%가 그 중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동결건조 0.5%였다.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은 열풍건조 0.5%였다. 질감은 P<.05 수준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1%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5%함유 송이양갱이 1.21로서, 현저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동결건조 0.1%함유 송이양갱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열풍건조 0.5% 함유 송이양갱이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각기 다른 전처리를 한 송이의 첨가량에 따른 송이양갱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동결 건조한 송이를 0.15% 첨가한 송이양갱이 관능적 기호도 특성에서 가장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어 실용화에는 동결건조 처리한 송이버섯을 0.1% 첨가하여 송이양갱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권장된다.ula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

  • PDF

Establishment of a quality index of surfactin production during cheonggukjang fermentation (청국장 발효 중 surfactin 생산량 품질지표 설정)

  • Chang-Geun Ji;Jeong-Hwa Hong;Sang-Hyun L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30 no.2
    • /
    • pp.311-320
    • /
    • 2023
  • Surfactin, one of the most powerful biosurfactants, can be widely applied in agriculture, food, and pharmaceutic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suitable indicators for a rapid detection method that can confirm the surfactin productivity of cheonggukjang.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were quantifie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time of chenggukjang. Furthermore,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pH, color value, surface tension, refractive index, absorbance, and protein contents, were assessed in chenggukjang viscous substances, an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nd surfactin contents was performed. We found that the protein contents gradually increased up to 48 h (4.21±0.11 mg/mL) without a change in the surface tension. Furthermore, the refractive index, absorbance at 280 nm, and color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time in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36 h of fermentation. Interestingly, this result exhibited a tendency similar to the surfactin content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rfactin can be used as a suitable quality indicator and may provide an experimental basis for the fermented food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