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차 분석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nalysis of Adaptive Multiple Transform in Chroma Channel (색차 채널을 위한 적응형 다중변환기술 성능분석)

  • Park, Jeeyoo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145-146
    • /
    • 2018
  • 최근 UHD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높은 압축효율을 갖는 부호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세대 비디오 코덱을 위한 국제표준화 노력이 JVET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다중변환 기술을 휘도 채널에 적용하는 것뿐 만 아니라 통일한 방법으로 화면 내/간 블록 모두에서 색차채널에도 적용하도록 하여 그 효율 향상여부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이 기존 방법 대비 BDBR 측면에서 Y(0.03%), U(-1.40%), V(-0.96%)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spectral Distribution of Illumination using Maximum achromatic Region (최대 무채색 영역을 이용한 광원의 분광분포 추정)

  • Kim, Hui Su;Kim, Yun Tae;Lee, Cheol Hui;Ha, Yeong 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4
    • /
    • pp.68-6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단일 영상에 포함된 광원의 분광분포를 추정하는 광원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광원 추정 방법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변형된 회색계 가정(modified gray world assumption)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광원의 영향을 배제한 후 밝으면서도 무채색에 가까운 최대 무채색 영역을 찾아 그 영역의 표면 분광 반사율을 구한다. 이때 최대 무채색 영역의 표면 분광 반사율은 1269개의 Munsell 색 표본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둘째, 주어진 Munsell 색 표본과 대표 광원의 조합으로 반사광의 모집단을 만들었다. 다음 최대 무채색 영역의 각 화소와 반사광 모집단과의 색차를 비교하여 최대 무채색 영역과 색차가 가장 적은 반사광 표본을 선택하고 이를 최대 무채색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분광분포로 정의한다. 최종적으로 최저 무채색 영역의 반사광 분광분포를 해당하는 표면 분광반사율로 나누어줌으로써 영상에 포함된 광원의 분광분포를 추정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색 광원에 조명된 영상에 대한 광원 추정 실험을 하였으며 기존의 방법과 추정된 광원의 분광 분포 비교 및 색차 비교를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 Study on Rapid Color Difference Discrimination for Fabrics using Digital Imaging Device (디지털 화상 장치를 이용한 섬유제품류 간이 색차판별에 관한 연구)

  • Park, Jae Woo;Byun, Kisik;Cho, Sung-Yong;Kim, Byung-Soon;Oh, Ju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8
    • /
    • pp.29-37
    • /
    • 2019
  • Textile quality management targe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s and the subjective discriminations of color and fitting. Color is the most representative quality factor that consumers can use to evaluate quality levels without any instruments. For this reason, quantification using a color discrimination device has been used for statistical quality management in the textile industry.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domestic textile manufacturers use only visual inspection for color discrimination. As a result, color discrimination is different based on the inspectors' individual tendencies and work procedures. In this research, we want to develop a textile industry-friendly quality management method,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rapid color discrimination using a digital imaging device, which is one of the office-automation instruments. The results show that an imaging process-based color discrimination method is highly correlated with conventional color discrimination instruments ($R^2=0.969$), and is also applicable to field discrimin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for different lots. Moreov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quality management factors by analyzing color components, ${\Delta}L$, ${\Delta}a$, ${\Delta}b$. We hope that our rapid discrimination method will be a substitute technique for conventional color discrimination instruments via elaboration and optimization.

Property of purple gold with Al contents (퍼플골드의 Al 조성 증가에 따른 물성 변화)

  • Choi, Seung-Jae;Song, Oh-S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70-973
    • /
    • 2011
  • 유색 금 합금 중의 하나인 퍼플골드(purple gold)는 특유의 적자색(보라색)이 나는 78wt%Au-22wt%Al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금 합금으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8wt%Au-22wt%Al(이후 Au1)인 기준 조건보다 Al의 상대조성이 커짐에 따라 보라색과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76wt%Au-24wt%Al(이후Au2), 74wt%Au-26wt%Al(이후 Au3), 72wt%Au-28wt%Al(이후 Au4)으로 Al 조성을 22~26%Al까지 변화시키고 이때의 비커스 경도, 광학현미경, EDS, UV-VIS-NIR 색차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커스경도 측정결과 Al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값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26wt%Al 이상의 조성에서 Au1 조성에 상응하는 경도 값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결과 Al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자색을 띄는 결정립 $AuAl_2$의 분포는 감소하며, 결정립계에 석출하는 Al-rich 상의 분포와 크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EDS를 이용한 성분분석 결과 실제 목표했던 조성과 분석오차를 고려하면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UV-VIS-NIR를 이용한 색차 분석결과 Au3 조성까지도 보라색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비커스경도와 색을 고려하면 기존 19K인 Au1보다 18K의 Au2 조성에서도 퍼플골드 구현이 가능하였다. 이후 Au2 조성으로 블랙홀과 아라크네를 모티브로 하여 실제 주얼리 제품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 PDF

Stability Assessment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by Fumigants Containing Ethylene Oxide (Ethylene oxide계 훈증 약제에 의한 문화재 재질의 안정성 연구)

  • Jeong, Soyoung;Kim, Young-hee;Lee, Jeung-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3
    • /
    • pp.46-5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tability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when the fumigant containing ethylene oxide was applied among some kinds of fumigant. Four kinds of specimens from paper, textile, metal and pigment were prepared to compare color difference, weight, surface condit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FT-I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specimens of paper and textile. In the case of fumigation treatment, it was conducted by two groups : one is made up of specimens with the non-fumigation as control groups, the other is made up of specimens treated with ethylene oxide + $HFC_{134a}$ and ethylene oxide + $CO_2$ as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 of color dif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color differences on the specimens of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silver, cotton, ramie and yellow pigment. Especially, it was found out there was color change more than 6.0 on average from the silver specimen. However, in the silver specimen's case, color change in the non-fumigated specime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fumigant-treated specimen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fumigant doesn't have a decisive effect on color change in specimens, but required caution while fumigating. The result of weight measurement, there were totally 0~2% weight changes and the slightest change was found in the metal specimen, the biggest change in the papers. The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surface of specimens showed color changes and especially, the biggest change on the silver specimen was observed. But no change in components was identified from FT-IR analysis of papers and textiles.

Strength Characteristic and Color Difference Analysis of Cement Morta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efied Red Mud (액상화 레드머드의 첨가량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특성 및 색차 분석)

  • Kang, Suk-Pyo;Kang, Hye-Ju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6 no.2
    • /
    • pp.146-152
    • /
    • 2018
  • In the construction sector, new demands for aesthetics are increasing due to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nd consciousness level. On the other hand, Red Mud sludge is generated from aluminum hydroxide extraction process from Bauxite. Red mud sludge contains about 20% of $Fe_2O_3$ and represents a natural reddish brown.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paper, red mud sludge with a water content of 50%, which is a by - product of the industry, was prepared as a liquid phase. The liquefied red mud was added to cement mortar and the strength and color difference of cement morta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addition amount of liquefied red mud.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liquefied red mud. The color of cement mortar containing liquefied red mud wa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YR series in all samples. As the amount of liquefied red mud increased, the color became darker.

Coding Performance Analysis of Transform Skip Applied to Chroma Signal (변환 생략 기술을 이용한 색차 채널의 부호화 성능분석)

  • Park, Jeeyoo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30-31
    • /
    • 2019
  • 최근 들어 다양한 초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급과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용과 전송의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동영상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동영상의 압축기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VVC(Versatile Video Coding) 표준화를 위하여 채택한 기술인 변환 생략 기술의 적용범위를 확장하여 기존의 방법처럼 휘도 채널에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조건 하에서는 동일한 방법을 색차 채널에도 적용하도록 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기존 VVC 방법 대비 BDBR 측면에서 (두번째는 SCC 영상의 실험결과) All Intra 방법에 대하여 Y(0.00%, 0.03%), U(-0.01%, -0.01%) 그리고 V(0.02%, -0.04%), Random access 방법에 대하여 Y(0.00%, 0.01%), U(-0.01%, -0.11%)그리고 V(0.03%, -0.15%)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Intra Prediction Mode Decision for Chroma Component (색차 성분의 화면 내 예측 모드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Ha, Jae-min;Moon, Jo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209-210
    • /
    • 2016
  • 날이 갈수록 빨라지는 IT분야의 발달로 최근 정보 통신망, 핸드폰, 컴퓨터 등의 발달과 함께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빠르게 동영상 수요가 급증 하고 있다. 급증하고 있는 동영상 수요에 맞춰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압축 부호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흐름에 따라 표준화 기관인 ITU-T, ISO/IEC는 2013년 초, 최신 압축 부호화 기술인 HEVC를 제정하였다. HEVC에서는 이전 표준과 비교하여 다양한 부호화 기술이 포함되었는데 그 중 화면 내 예측 기술에서는 35가지 모드 중에서 최적의 모드를 결정하여 예측 블록을 더욱 정밀하게 생성한다. 이때, 색차 성분의 화면 내 예측 모드는 휘도 성분의 예측 모드와는 달리, 고정된 5개의 모드만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개 모드의 번호를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새롭게 모드 번호를 할당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PDF

Coding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 Transforms Applied to Chroma Signal (다중 변환을 이용한 색차 채널의 성능개선 효율 분석)

  • Park, Jeeyoo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33-134
    • /
    • 2019
  • 최근 들어 다양한 초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급과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용과 전송의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동영상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동영상의 압축기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VVC 표준화 회의에서 채택된 다중 변환 선택 기술의 적용범위를 확장하여 기존의 방법처럼 휘도채널에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조건 하에서는 동일한 방법을 색차채널에도 적용하도록 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기존 VVC 방법 대비 BDBR 측면에서 Y(0.00 %), Cb(-0.26%), Cr(0.08%)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olor Differences Between Composite Resins and Shade Guides (복합레진과 shade guide의 색차에 관한 연구)

  • Kim, Hee-Sun;Um, Chung-Moon;Kahng, Myong-Wha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1 no.1
    • /
    • pp.107-120
    • /
    • 1996
  • 복합레진은 조작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중합시간이 짧고 법랑질과 상아질에 접착이 가능하며 연마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나타내므로 심미적 수복에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재료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복합레진 kit에는 shade guide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중합된 후의 복합레진 색조를 예상하여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shade guide들은 대개 복합레진이 아닌 plastic으로 제조된 것으로 중합된 복합레진의 실제 색조와는 차이가 생기게 되며 결국 shade guide 자체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상적인 색조선택이 어려워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5종의 복합레진 제품을 선정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서 shade guide와 중합된 복합레진 사이의 색조차이를 측정, 비교 연구하였다. 직경 16mm. 두께 1.6mm의 plastic mold에 5종의 광중합형 복합레진(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을 충전하고 응축기에 넣어 압축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광중합기로 중합시킨 후 mold에서 시편을 제거하여 보관했다가 젖은 sandpaper 상에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다. shade guide는 step부분을 갈아내어 복합레진 시편과 동일한 두께로 만든후 연마하였다. 분광광도계에 shade guide를 넣고 CIE illuminant D65 하에서 spectral reflectance를 측정하고 해당 색조의 복합레진 시편도 통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L^*$, $a^*$, $b^*$값과 ${\Delta}E^*$값을 얻은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Z100의 D3, A3, B2 shade와 Prisma TPH의 B2 shade를 제외한 모든 시편에서 shade guide와 복합레진간에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차(${\Delta}E^*$ > 1.0)가 관찰되었다. 2. 평균적으로 Z100이 가장 적은 색차를 나타내었고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 순으로 색차가 증가하였다. 3. Prisma TPH의 A2 shade. Tetric의 W shade. Silux Plus의 YB, U shade, Herculite XR의 L, LY shade는 ${\Delta}E^*$값이 3.3 이상으로 나타났다. 4.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보다 shade guide가 더 높은 $L^*$값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Herculite XR에서만 복합레진이 더 높은 $L^*$값을 나타냈다. 5. 모든 시편에서 $b^*$ 값은 (+)로 관찰되었고,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의 shade guide는 복합레진에 비해 높은 $b^*$값을 보였다. 6. 모든 시편에서 $a^*$값은 (-)로 관찰되었고. Herculite XR 및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이 shade guide 에 비 해 낮은 $a^*$값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