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재현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lor reproduction algorithm based on constant Munsell hue (Munsell 계의 등색상을 고려한 색재현 알고리듬)

  • 김희철;김성수;이동하;김은수;송규익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2347-23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재현에 있어서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해 얻어진 Munsell 계의 등색상 및 등채도 궤적을 고려한 색 재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TV 신호 상에서 등위상의 색에 대한 궤적과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해 얻어진 Munsell 계의 등색상 궤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표준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영역이 표준 디스플레이의 것과 다를 때도 W표준 신호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색 좌표를 Munsell 계의 등색상 궤적상에서 구하여 이 색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표준 디스플레이와 다른 색재현 영역을 가지는 일반 디스플레이에서도 표준의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는 등색상 재현이 가능하다. 색 재현 성능을 평가를 위해 Macbeth colorchecker colors의 18 종류의 컬러를 사용한 결과. 색 재현 오차 ΔE'/sub uv/가 기존 방법의 오차보다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평가에서도 보다 자연스런 색 재현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lor reproduction using color appearance model in LCD projection systems (표색계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션 시스템의 색재현)

  • 김지홍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6
    • /
    • pp.373-379
    • /
    • 1998
  • A new method is proposed for the design of the dichroic mirrors in 3-LCD projection systems for color separation/composition. Rather than simply basing the color performance cirterion on luminance or chromatic saturation only, the optimum design parameters can be found by maximizing the volume of the perceived color gamut in RLAB color space and related color appearance model and used the linearly approximated spectrum of dichroic mirrors for simplicity and vector space description. By this method, we found optimal half-power wavelengths in dichroic mirrors which maximized our performance criterion.

  • PDF

칼라 모니터의 감성색채 재현에 관한 연구

  • 박승옥;김홍석;최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31-13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칼라모니터의 바탕화면의 색과 휘도를 보정하고, 물체색고 모니터색의 기준 백색을 일치시킴으로써 매체가 다른 두 색이 같아 보이도록 하는 색재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Mabcbeth colorChecker 24색에 대해 재현색의 색도좌표 측정값과 계산값이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방법은 간편하면서도 전 영역의 색에 적용가능함을 보였다.

  • PDF

컴퓨터 모니터의 Contrast/Brightness가 색재현에 미치는 영향

  • 박승옥;김홍석;최재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81-187
    • /
    • 1998
  • 컬러영상은 흑백 영상에 비해 보기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하고 현실적인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색의 대비를 이용하여 특정한 부분의 가시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컬러 모니터의 대중화와 말티미디어 기술의 보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가 칼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영상의 재현 및 제품 디자인이 자연스러운 영상색의 재현은 정확한 정보 의 전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만족도 및 감성적 제품 개발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로 재현할 수 있는 Contrast/Brightness 상태를 알아보고, Contrast/Brightness 변화가 화면에 재현된 영상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olor Reproduction Properties at TFT-LCD Using High Color Reproduction CCFL (고색재현성 CCFL을 사용한 LCD에서의 색재현성 개선에 관한 평가)

  • Han, Jeong-Min;Bae, Kyung-Woon;Kim, Yun-Ho;Lim,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65-168
    • /
    • 2003
  • 최근 TV 대응 LCD 제품의 본격적인 양산과 더불어 LCD TV 의 색재현성에 대한 해결과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CRT 급 색재현성의 확보는 LCD TV 의 고급화를 위한 또 하나의 개발 방향이 되고 있다. 그러나, CF(Color Filter)만을 이용한 색재현성의 개선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패널 투과율의 저하로 이어져 또다시 고휘도 사양의 BL(Back Light)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Color Filter)만에 의한 색재현성의 개선이 아닌 BL 광원 자체의 스펙트럼 최적화를 통해서 CRT 급 색재현성의 확보를 통한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램프형광체의 RED 와 Green-Blue 영역에서의 Intensity 향상을 통해서 기존의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는 다른 특성을 광원에 부가하여, 기본의 LCD 패널을 그대로 이용한 경우에도 색재현성을 약 11% 개선하였다.

  • PDF

Wide Color Gamut Reproduction Methods for RGB Laser Display (RGB 레이저 디스플레이의 광역 컬러 재현 방법)

  • 신윤철;김일도;이상진;김문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755-1758
    • /
    • 2003
  • 색 재현 범위(Color Gamut)가 기존의 표준신호(예 sRGB, Rec. 709)대비 상이한 Laser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Gamut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표준 컬러의 재현을 가능하게 하고, CRT 대비 광범위한 Laser Color Gamut 의 모든 색 영역을 표현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일정한 휘도 및 hue 에서 표준입력과 출력장치의 색 재현 범위에 따라 주어진 입력신호의 Chroma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출력장치의 전 색 재현 범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PDF

Color Reproduction Modeling of OLED using Standard RBG Display (표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OLED의 색재현성 모델링)

  • Kim, Eun-Su;Lee, Seung-Ik;Park, Kyung-Na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7
    • /
    • pp.81-88
    • /
    • 2012
  • This paper proposed the color reproduction modeling of OLED using standard RGB display. The kinds of non-standard RGB displays are various. And color reproduction of non-standard RGB displays is different by chromaticities of primaries and reference white etc. In this paper, we proposed algorithm that made OLED display's color reproduction to standard CRT monitor using conversion matrix. If using the algorism that is proposed in this paper, we can confirm the reproduced color characteristics to simulation beforehand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display. when developing new display, we are expected to be used very usefully.

Color Reproduction in CRT Monitor Considered Effect of Ambient Light (주위 광원의 영향을 고려한 모니터 상의 색 재현)

  • 김용기;김정엽;김희수;하영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411-414
    • /
    • 2000
  • 우리가 일반적으로 모니터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주로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조명을 켠 상태에서 하게된다 이런 경우 모니터 상의 동일한 색도는 주위 조명이 바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며 특히 주위 조명의 색도와 모니터의 색도가 틀린 경우는 더욱더 다르게 느껴진다[1]~[3].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생활하는 일반 환경인 백열등이나 형광등 아래의 모니터 상에 영상을 재현 시 주위 조명의 영향을 고려한 색 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임의의 환경에서 사람의 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장면에 존재하는 조명의 색 특성과 물체의 색 특성에 의존한다. 단순한 물체의 표면 반사가 아닌 모니터 등의 조명 역할을 하는 표면이 존재하는 경우는 두 개 이상의 조명이 있는 형태이다. 두개 이상의 조명이 존재하는 경우, 사람들이 느끼는 백색점(white point)은 각 조명의 색도 벡터(chromaticity vector)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 환경에서 사람이 인식하는 백색점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주위 환경이 백색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모니터 상의 색 재현시 주위 조명의 영향을 주위 조명에 의해 생성되는 모니터 표면의 경면 반사(specular reflection)에 의한 영향과 인간 시각의 색 순응(color adaptation) 백색점의 변화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PDF

sRGB Matching Algorithm in PC Monitor (PC 모니터에서의 sRGB 매칭 알고리즘)

  • Kwak, Jong-Seop;Sohng, Kyu-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402-405
    • /
    • 2001
  •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해 컴퓨터 산업분야에서는 각 컴퓨터 시스템과 멀티미디어 기기들 상호간의 색 정보 처리의 호환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안된 standard RGB (SRGB) color space는 각 컴퓨터 시스템 및 기기들 간에 명백하고 효율적인 하나의 단일 color space로 색 정보가 표현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칼라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의 색재현에 있어 궁극적인 목적은 원 화상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화상을 재현하는 것으로 인간 시각 특성을 고려한 색 재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환경의 비표준 모니터 상에 화상을 재현함에 있어 sRGB 표준과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좌표적 색도 오차를 정정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색도 오차가 저감되는 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니터 주변 밝기에 따른 시각 특성 변화에 따라 인지되는 콘트라스트의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유도함으로써 그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Color Display in Far-Field (칼라 디스플레이의 원거리 측정에 관한 연구)

  • Song, Jong-Sub;Lee, Ji-Young;Lee, Yoon-Woo;Lee, Hoi-Yoon;Lee, In-Won;Cho, Jae-Heung;Jang, Soo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218-219
    • /
    • 2002
  • 일반적인 칼라 디스플레이의 화질은 시·공간 분해능과 색재현성에 크게 의존한다. 고분해능의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화점과 높은 신호대 잡음비가 필요하고 우수한 색재현성을 위해서는 높은 휘도, 넓은 색재현 영역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해능과 색재현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표 1은 IS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