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인어 특성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빈도 분석을 활용한 한·영 사망기사 특징 비교 (A Corpus-driven Approach to Korean and English Newspaper Obituaries)

  • 신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92-601
    • /
    • 2014
  • 사망기사는 각 언어 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귀중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학계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특히 언어학적 관점에서 사망기사를 조명한 최근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코퍼스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한국 및 영미권의 사망기사를 비교 연구하였다.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 워드스미스(WordSmith)의 어휘목록(wordlist), 클러스터(cluster) 분석과 용례색인(concordance)을 활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사망기사에 등장하는 고(高)빈도어를 찾고, 이로부터 각 언어 사망기사의 의미 있는 패턴을 포착하여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 분석한 코퍼스에서 한국과 영미권 사망기사는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을 보였다.

"의학입문(醫學入門)"에 나타난 삼음삼양(三陰三陽)과 표본중(標本中)에 대한 고찰(考察) 대(對)"의학입문(醫學入門)" 중출현적삼음삼양급표본중적연구(中出現的三陰三陽及標本中的硏究)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15-26
    • /
    • 2005
  • 통과연구(通過硏究)${\ulcorner}$의학입문(醫學入門)${\lrcorner}$중대어삼음삼양각자이육기배속원리(中對於三陰三陽各自以六氣配屬原理), 육기납지(六氣納支), 절기방위(節氣方位), 표본음양속성(標本陰陽屬性), 경맥납지(經脈納支), 맥체(脈體), 치법(治法), 중기등진행분류급고찰(中氣等進行分類及考察), 득출결론여하(得出結論如下) : 1. 삼음삼양적속성여지지적배속불일치(三陰三陽的屬性與地支的配屬不一致). 태양화궐음수연이지지여진술화사해(太陽和厥陰雖然以地支與辰戌和巳亥), 인신상배속(寅申相配屬), 단시실제상표본적음양속성여납지적원리시부동적(但是實際上標本的陰陽屬性與納支的原理是不同的). 인차(因此), 재구별표본음양적특성상(在區別標本陰陽的特性上), 절기(節氣), 방위등불능성위일정기준(方位等不能成爲一定基準). 2. 삼음삼양본기적오행속성화경맥납지(三陰三陽本氣的五行屬性和經脈納支), 유가능불일치(有可能不一致). 양명조금지본(陽明操金之本), 불시수양명대장(不是手陽明大腸), 실제상족양명위재시본(實際上足陽明胃才是本), 소양상화지본(少陽相火之本), 역불시수소양삼초(亦不是手少陽三焦), 실제상족소양담재본(實際上足少陽膽才本). 3. 삼음삼양안조종화규율기치법각이(三陰三陽按照從化規律其治法各異). 제일(第一), 표여본적음양속성상반시용반치법(標與本的陰陽屬性相反時用反治法). 소음본열표한(少陰本熱標寒), 태양본한표열(太陽本寒標熱), 차한열부정(且寒熱不定), 고태양열인한용(故太陽熱因寒用), 이소음한인열용(而少陰寒因熱用). 제이(第二), 표여본적음양속성상동시용정치법(標與本的陰陽屬性相同時用正治法). 태음표본균한(太陰標本均寒), 소양표본균열(少陽標本均熱), 고태음한인한용(故太陰寒因寒用), 색인색용(塞因塞用), 이소양통인통용(而少陽通因通用). 제삼(第三), 표여본적음양속성상반(標與本的陰陽屬性相反), 차여중기적음양속성부동시(且與中氣的陰陽屬性不同時), 불능용정치혹반치법(不能用正治或反治法), 응구종어중진행치료(應驅從於中進行治療). 즉불능구니어궐음화양명적소정치법(卽不能拘泥於厥陰和陽明的所定治法), 응수기종중진행치료(應隨機從中進行治療). 4. ‘소음태양(少陰太陽) 종본종표(從本從標)’ 재응용어치료시(在應用於治療時), 가해석여하(可解釋如下): 제일(第一), 혹자종본(或者從本), 혹자종표(或者從標). 제이(第二), 혹자종본(或者從本), 혹자종표(或者從標), 단치료상유기선후지별(但治療上有其先後之別). 제삼(第三), 소음한인열용(少陰寒因熱用). 태양열인한용(太陽熱因寒用), 고동시구종어표본(故同時驅從於標本). 5. 재(在)‘양명궐음(陽明厥陰) 부종표본(不從標本) 종호중(從乎中)’적(的)‘종호중(從乎中)’, 가이해위재치법운용중가이(可理解爲在治法運用中可以)‘수기취중(隨機取中)’지의(之意).

  • PDF

대용량 자원 기반 과학기술 핵심개체 탐지를 위한 정보추출기술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Extraction Technology for Detecting Scientific Core Entities based on Large Resources)

  • 최윤수;정창후;최성필;류범종;김재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4호
    • /
    • pp.1-22
    • /
    • 2009
  • 대용량 문서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은 정보검색 분야 뿐 아니라 질의응답과 요약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 정보추출은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정형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작업으로써, 개체명 인식, 전문용어 인식, 대용어 참조해소, 관계 추출 작업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기술들은 지금까지 독립적으로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이한 입출력 방식을 가지며, 하부모듈인 언어처리 엔진들은 특성에 따라 개발 환경이 매우 다양하여 통합 활용이 어렵다. 과학기술문헌의 경우 개체명과 전문용어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 문서가 많으므로, 기존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접근한다면 결과물 통합과정의 불편함과 처리속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생의학 분야 과학기술 문헌을 분석하여 전문용어 및 개체명 등을 통합 추출할 수 있는 기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문장자동분리, 품사태깅, 기저구인식 등과 같은 기반 언어 분석 모듈은 물론 이를 활용한 개체명 인식기, 전문용어 인식기를 개발하고 이들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과학기술 핵심개체 인식 체계를 제안한다. 전체 플랫폼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KEEC 2009를 비롯한 다양한 말뭉치를 기반으로 세부 요수 모듈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핵심개체자동인식 플랫폼은 정보검색, 질의응답, 문서색인, 사전구축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mino Acid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Fecal VFA and NH3-N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s)

  • 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김인호;장정순;이운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0.08±2.69kg이었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내 영양소 함량과 효소제의 첨가 유뮤에 따라 high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high nutrient density diet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high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low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로 4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DM과 N의 소화율은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 및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은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고 영양소 사료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BUN 함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률을 향상시켰고 아미노산 소화율 개선하였으며, BUN 함량과 육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휘발성 지방산, NH3-N)

산란계의 육성기 제한급여가 체성장 특성 및 내분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during Growing Period on Growth and Endocrine Profile in Layers)

  • 강환구;조재훈;김지혁;강근호;유동조;나재천;김동욱;이상진;김인식;김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343-354
    • /
    • 2008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육성기 제한급여가 체성장 특성 및 내분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일령 갈색산란계 Isa-brown 1,080수를 공시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성기 제한급여 처리내용으로는 자유채식, 6~18주령까지 제한급여, 12~18주령까지 제한급여를 각각 실시하였으며 모든 사료영양소 함량 및 단계별 사료급여는 NRC(1994)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육성기간동안 체중과 사료섭취량은 6~18주령 제한급여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나(P<0.05) 20주령에서 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화기관 및 실질장기 발달은 처리구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육성기간동안 체중이 낮았던 제한급여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비율을 보였다.체조성은 지방 함량에서 처리구간 유의성이 나타났는데 자유급여 처리구에 비해 6~18주령 제한급여 처리구에서 육성기간동안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IGF-Ⅰ는 육성기간동안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번식기관이 발달하는 시기부터 급격히 하락하여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사료섭취량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estradiol은 6주령 이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16~17주령 사이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종료 시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이상의 결과에서 6~18주 제한급여 처리구가 육성기간동안 체중,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자유급여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지방함량 또한 적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육성기 제한급여를 육성초기에 실시할 경우 체내 대사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estradiol 수준 역시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육성기 제한급여가 산란계 성장에 있어서 내분비와 체성장 조성에 영향하지 않으며 또한, 최근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사료가격의 상승에 대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해결방안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좀 더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이 많은 만큼 향후 지속적으로 제한 급여 수준 및 기간 등에 관한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산란계, 제한급여, Insulin-like growth factor-Ⅰ, 체성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