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선별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9초

효과적인 추천 시스템을 위한 협업적 태그 기반의 여과 기법 (Collaborative Tag-based Filtering for Recommender Systems)

  • 연철;지애띠;김흥남;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157-177
    • /
    • 2008
  • 최근 웹 2.0의 영향으로 태깅을 지원하는 인터넷 서비스들이 많아졌다. 태깅의 원래 목적은 컨텐츠를 분류하고 재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지만, 컨텐츠에 태깅되어 있는 태그들을 분석하여 컨텐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파악이 힘든 컨텐츠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컨텐츠들의 효과적인 추천을 위해,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협업적으로 태깅된 정보를 이용한 여과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태깅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는 부분과 파악된 관심에 맞는 컨텐츠를 선별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태깅한 정보들을 협업적 여과를 이용하고, 컨텐츠 선별은 확률적인 방법인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를 이용한다. 이를 통해 협업적 여과 방법의 문제점인 희박성 문제(sparsity problem)와 초기 사용자 문제(cold-start user probleam) 대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보인다.

  • PDF

수용성 치자(水溶性 梔子)(Gardenia jasminoides열매)색소(色素)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한 각종(各種) 효모균류(酵母菌類) 균집락(菌集落)의 형태(形態) (Colonial Morphology of Yeasts Grown on the Medium Containing Pigments Extracted from the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 김상재;김신옥;정 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6-142
    • /
    • 1991
  • 수용성 치자(水溶性 梔子)(Ga. jasminoides의 열매)색소(色素)(등황색)(橙黃色)를 냉수(冷水)로 추출하여 함유시킨 yeast morphology agar(Difco)에 각종 효모균류(酵母菌類)를 배양하여 그들의 균집락(菌集落) 색깔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자배지(梔子培地)에서 증식(增殖)한 Ca. guilliermondii 와 Ca. lusitaniae 의 균집락(菌集落)은 $28^{\circ}C$에서 3일이내에 군청색(群靑色)을 띠었고, Ca. tropicalis와 Ca. viswanathii 등은 옅은 회색(灰色)을 띠었는데 Ca. viswanathii는 7일후에 군청색(群靑色)으로 변했다. Ca. krusei와 To. glabrata 등은 $1{\sim}2$주후 회색(灰色)내지 옅은 회청색(灰靑色)을 띠었고 Sa. cerevi-siae는 연두색을 띠었다. 그러나 Ca. albicans와 Ca. parapsilosis 등은 색깔변화가 없었고, 적색(赤色) 균집락(菌集落)의 Rhodotorula sp.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Cr. neofor-mans는 갈색(褐色) 내지 자갈색(紫褐色) 균집락(菌集落)을 형성해 다른 모든 균종(菌種)과 뚜렷하게 구별되어 기존(旣存) 선별동정배지(選別同定培地)인 caffeic acid 또는 dopamine배지(培地)를 대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몇몇 Candida spp.의 특정적 색깔을 관찰할 수 있어서 치자배지(梔子培地)가 임상검체(臨床檢體)로부터 효모균종(酵母菌種)의 분리배양(分離培養)에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 PDF

국내 포장 폐기물에 따른 재질별 재활용 공정 현황 및 재활용 문제점 (The Current Status of Recycling Process and Problems of Recycling according to the Packaging Waste of Korea)

  • 고의석;심원철;이학래;강욱건;신지현;권오철;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71
    • /
    • 2018
  •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의 재활용의무대상 품목은 포장재군에 따라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포장재 구분되어질 수 있다. 폐종이팩의 경우 압축된 종이팩을 해리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및 기타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척, 분쇄, 건조과정을 거쳐 화장지 원단으로 제작한 후 다양한 화장지로 가공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된 종이팩은 재활용 공정 중 잔유물이 발생하여 화장지의 품질을 저해하고 제품 편의성을 위해 부착된 마개, 스트로우와 같은 새로운 성형구조의 제품들은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의 과정을 추가하여 재활용 수율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병은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구분가능하며 재사용은 주류, 음료병들이 대상이고 재활용은 1회용 유리병이나 깨진 유리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리병 재활용은 폐유리병 회수 과정, 이물질 제거, 색상별 분류, 파쇄, 원료화 과정을 거쳐 제병업체에 공급되며, 철금속성분 제거, 저비중 물질 제거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한다. 유리병은 무색 계열, 갈색 계열, 녹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활용 과정에서 주된 3색 이외의 색상의 경우 재생원료의 품질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합성수지 라벨의 다량 접착제와 병의 직접 인쇄는 잉크의 색상에 의하여 품질저하가 발생하며, 유리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마개 또한 재활용 공정에서 이물질 제거과정을 어렵게 한다. 금속캔은 자동선별기를 통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분류한 후 압축하여 용광로를 통해 철, 알루미늄으로 재생산된다. 재활용 공정에서 가공육 알루미늄 캡의 플라스틱 뚜껑은 선별이 어렵기 때문에 플라스틱 뚜껑을 사용하지 않거나 분리 배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금속캔 또한 금속이 아닌 마개, 라벨이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 공정을 추가로 필요하게 하고 있다. 합성수지 포장재 중 복합재질의 경우 선별된 압축품을 파쇄한 뒤 용융성형을 통한 물질 재활용, 열분해를 통한 유화, 압축성형을 통한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통해 재생제품을 생산하며, 단일 합성수지는 자력선별, 풍력선별, 비중선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별공정을 거처 압축, 파쇄, 세척, 용융압출, Pellet 형태의 재생 원료를 만드는 물질 재활용 과정을 거친다. 종이, 금속 라벨, 복합재질 리드 등은 합성수지 재활용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비중 1미만의 비수분리성 접(참)착식 라벨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연구를 통해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의 재활용 공정 모두 재활용 대상과 다른 물질의 유입이 재활용공정을 방해하거나 재활용 비용, 시간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포장재별로 종이팩 포장재의 스트로우를 비롯한 합성수지 성형구조물과 금속과 유리병 포장재의 이물질을 포함한 라벨과 마개 및 잡자재 그리고 합성수지 포장재의 금속, 종이 복합재질이 이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품이나 포장재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에 용이한 재질 구조가 요구되어지며,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련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청국장의 물성 변환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 이부용;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8-484
    • /
    • 1991
  • B. natto, B. subtilis이 두 가지 균주를 단독 또는 혼합균주로 발효시킨 청국장의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을 조사하여 아미노태 질소량이나 수용성단백질 함량, 효소활성능이 높게 나타난 발효조건의 청국장 건조시킨 뒤 일정한 입자크기로 선별한 분말에 대해 수분함량과 유지의 종류와 양을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 spread의 점도, 퍼짐성, 색도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spread의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점도는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향상되었으며, 색도 중 L값이 증가하였다. 유지를 첨가하여 spread를 제조했을 때에는 수분첨가시와 반대로 점도가 증가하여 퍼짐성이 감소하였으며, 색도 중 L값도 감소하였는데, 특히 콩기름보다 팜올레인유 첨가시 점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청국장 spread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는 감소하여 퍼짐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온도에서 청국장 Spread 점도는 B. natto 혼합균주, B. subtilis를 접종한 순으로 증가하였다.

  • PDF

내산성, 내답즙성이 높은 미생물을 이용한 생균제 개발

  • 김소영;정해영;조철희;박근형;손석민;이기영;이건순;김홍;채희정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180-184
    • /
    • 2003
  • 선별된 7종의 균주는 넓은 범위의 산과 담즙산에 대해 기존에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높은 내성을 나타냈고, 장내세균인 E. coli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고, 항생제 tetracycline, nisin, kanamycin, ampicillin. streptomycin에 대해서도 높은 내성을 보였다. 또한 7종의 균주는 어느 정도의 산을 생성하고 있었고, 네 가지 효소 amylase, protease, lipase, cellulase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균주 특성실험 결과, 7종의 균주는 그람음성균으로 모두 구형, 비운동성이고 균체의 색은 노란색이거나 흰색을 띠고 있고, 다양한 유기물에 대하여 분해력을 지니고 있었다.

  • PDF

점선과 주변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dded dotted line and surrounding stimulus on the caf$\grave{e}$ wall illusion)

  • 정우현;차한님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663-674
    • /
    • 2011
  • 점선의 추가와 주변 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서 지각된 착시량과 착시에 대한 확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 색과 검은 색 벽돌이 나열된 세 줄의 벽돌층의 수평 경계에 흰색 벽돌과 검은색 벽돌의 중간 밝기를 가지는 회색 선분(모르타르:mortar)과 벽돌과 반대 밝기의 점선을 추가하였을 때 착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극에 벽돌 층을 추가하여 주변자극의 추가에 따라 caf$\grave{e}$ wall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회색 경계선에 점선을 추가하는 것은 착시 지각의 확신도에는 가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착시량에서는 가산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벽돌 층의 추가는 지각된 착시량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착시지각의 확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시각피질의 방위 선별적 세포의 반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염색폐수 처리를 위한 미생물 선별 및 염료 탈색 (Isolation of Dye-degrading Microbes for the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and Dye Decoloring)

  • 최광근;이영락;김의용;유영제;김상용;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731-736
    • /
    • 1999
  • 동두천과 반월공단에서 87가지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 5가지 균주가 색도 제거율이 우수함을 보였으며, 동정을 통해 Shewanella putrefaciens, Aeromonas salmonicida(서로 다른 3종), Pseudomonas vesicularis로 각각 동정되었다. 동정된 5종의 미생물들은 성장에 최적인 pH와 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이었으며, Gram negative, catalase nagative, rod shape, 그리고 비운동성을 보였다. 500 mL 플라스크에서 분리된 균주 중 단일균주를 사용하여 염색폐수를 처리한 경우 약 35%의색도 제거율을 보였다. 2균주를 조합하여 적용하였을 때는, 색도 제거율이 65%까지 증가한 반면, 3균주 조합 혹은 그 이상의 균주 조합에서는 2균주 조합보다 더 좋은 효율은 보이지 않았다. 염색폐수 분해시 $Mn^{2+},\;Fe^{3+}$와 같은 중금속의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7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색각검사법의 재현성 및 반복성평가 (Assessment of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for Color Vision Test)

  • 주석희;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9-114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색각검사법의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선천성 색각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개 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30명이었다. 색각이상검사 종류는 한식색각검사와 Hans 15 hue 검사 그리고 Lanthony D 15 hue 검사를 선택하였고, 3명의 검사자를 비교하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시하라검사도 추가하였다. 결과: 가성동색표에서는 모두 정상으로 분류되어졌으나, 색분별법에서는 1명이 약한청황색각이상을 보였다. 가성동색표는 3번의 측정 및 검사자간 결과값이 일치하였으며, 색분별법 반복 측정에서 경미한 오류들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색각이상자의 분류에 있어서는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값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각 검사자는 비교적 간단한 색각검사라도 좀더 숙련된 기술로 피험자를 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험 자 역시 세 번의 측정으로 인한 경험에 의존하여 색각검사를 하기보다는 매 검사는 신중을 기해야 함이 요구되어 진다. 선별검사에서는 두 가지 검사의 병행이 요구되어진다.

  • PDF

선별마커로써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포함한 Lactococcus용 셔틀/발현 벡터 제조 (Construction of a Lactococcal Shuttle/Expression Vector Containing a $\beta$-Galactosidase Gene as a Screening Marker)

  • 한태운;정도원;조산호;이종훈;정대균;이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1-247
    • /
    • 2005
  • 선별마커로써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 유래의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Lactococcus용 셔틀/발현 벡터 pWgall3T를 제조하여 Escherichia coli DH5$\alpha$와 고. Lactis MG1363내로 도입하였다. 이들 형질 전환체들은 X-gal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파란색의 표현형을 보임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 lactis MG1363 형질전환체로부터 $\beta$-galactos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에 $\beta$-galactosidase를 활성을 지닌 L. lactis ATCC 7962에 비해 glucose를 포함하는 M17배지에서 4배정도 높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선별마커로써의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pWgal13T는 $\beta$-galactosidase 유전자 외에 L. lactis Wg2유래의 replicon과 외래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L. lactis ssp. cremoris LM0230의 promoter P13C, terminator를 포함하고 있다. 이 벡터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래 유전자 EGFP유전자를 P13C 아래에 삽입하여 E. coli와 L. iactis에서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조된 Lactococcus용 발현 벡터 pWgal13T는 E. coli와 L. lactis에서 외래 유용 유전자를 생산을 위해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논문·특허 분석 기반 이종 분야 공통기술 식별을 통한 융복합연구 전략수립 연구: 핵융합·가속기 공통부품 국산화 전략수립을 중심으로

  • 김유빈;장한수;최원재;황성하;도현수;김태윤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54
    • /
    • 2015
  • 최근 연구개발(R&D) 관련 연구 주체 간 융복합 연구를 통한 신규 사업 발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융복합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기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이종 분야 간 융복합 분야 발굴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논문 특허 정보 분석을 통해 기존 방법 대비 빠르게 공통 기술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를 활용한 융복합 연구 전략 수립의 과정을 핵융합 가속기 공통 부품국산화 추진 전략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양 분야 간 어떤 기술들이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논문 특허 분석으로 식별하기 위해 핵융합 가속기 분야를 중심으로 WoS(Web of Science) 논문 DB를 활용하여 두 분야 간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색인(Index) 빈도수 분석 및 Thomson Innovation을 활용한 신규성(Novelty) 중심의 특허 분석을 수행하여 공통 기술을 식별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공통기술 분야는 기술과 관련 산업체의 사상(寫像, mapping) 과정에 활용하여 국산화 추진 후보를 선별하였고, 기술경쟁력, 기술성숙도 등의 기술성 평가 수행으로 국산화 추진을 위한 최종 전략 분야를 선정하여 핵융합 가속기 공통기술 기반의 융복합 연구의 전략 수립 전 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