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상 레이어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ive Morphological Layer Segmentation Based on Edge Information for Screen Image Coding (스크린 이미지 부호화를 위한 에지 정보 기반의 효과적인 형태학적 레이어 분할)

  • Park, Sang-Hyo;Lee, Si-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38-47
    • /
    • 2013
  • An image coding based on MRC model, a kind of multi-layer image model, first segments a screen image into foreground, mask, and background layers, and then compresses each layer using a codec that is suitable to the layer. The mask layer defines the position of foreground regions such as textual and graphical contents. The colour signal of the foreground (background) region is saved in the foreground (background) layer. The mask layer which contains the segmentation result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regions is of importance since its accuracy directly affects the overall coding performance of the codec. This paper proposes a new layer segmentation algorithm for the MRC based image coding.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ext pixels from the background using morphological top hat filtering. The application of white or black top hat transformation to local blocks is controlled by the information of relative brightness of text compared to the background. In the proposed method, the boundary information of text that is extracted from the edge map of the block is used for the robust decision on the relative brightness of tex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methods.

Edge Based Dynamic Brush Stroke Generation for Painterly Rendering (회화적 렌더링을 위한 에지 기반 동적 브러시 스트로크 생성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2
    • /
    • pp.164-173
    • /
    • 2005
  • Painterly rendering may bring various results through the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ush strokes such as, color, orientation, size, and shap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ost adaptive brush stroke generation for source images, using reference data. Our algorithm used Colors formed by actual palette colors from artists. To create the palette, we have referred mostly to colors used in Van Gogh's works and determined the color of brush strokes by transferring it to the most similar one, through comparing colors used in source images and the palette colors. Also, In order to emulate a brush stroke with dynamic properties like Van Gogh styles we have applied a brush stroke orientation that surrounds the edges by referring to the edge orientation of source images. The sizes we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ifferent sizes of the objects from wide to narrow brushes. Finally, we applied spline curve shapes to simulate curves and swirls like Van Gogh styles. The brush strokes created in such method, were applied separately according to its segmented images, and composed after rendering.

  • PDF

Effective Depth of Field Implementation Based on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Multiple Layers (표준 정규 분포 및 다층 레이어 기반의 효과적인 피사계 심도 구현)

  • Choi, Mookang;Kim, Yeri;Kim, Minji;Oh, Kyoungs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6
    • /
    • pp.53-62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epth of field effect based on backward mapping method available in real-time rendering enviroment using calculation of sampling range based on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alpha blending of color of layers. To implement the effect, this paper describe how to calculate radius of circle of confusion, establish sampling radius using circle of confusion, and determine color through alpha blending of the multiple layer and denoising.

Extraction of Text Regions from Spam-Mail Images Using Color Layers (색상레이어를 이용한 스팸메일 영상에서의 텍스트 영역 추출)

  • Kim Ji-Soo;Kim Soo-Hyung;Han Seung-Wan;Nam Taek-Yong;Son Hwa-Jeong;Oh Sung-Ryul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4 s.107
    • /
    • pp.409-416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extracting text regions from spam-mail images using color layer. The CLTE(color layer-based text extraction) divides the input image into eight planes as color layers. It extracts connected components on the eight images, and then classifies them into text regions and non-text regions based on the component sizes. We also propose an algorithm for recovering damaged text strokes from the extracted text image. In the binary image, there are two types of damaged strokes: (1) middle strokes such as 'ㅣ' or 'ㅡ' are deleted, and (2) the first and/or last strokes such as 'ㅇ' or 'ㅁ' are filled with black pixels. An experiment with 200 spam-mail images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methods by over 10%.

Real-Time 3D Oriental Color-Ink Painting (Kubelka-Munk모델을 응용한 실시간 3차원 수묵담채화 렌더링)

  • Oh, Crystal S.;Nam, Ya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1
    • /
    • pp.1-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D 게임이나 가상현실, 인터렉티브 아트 등의 실시간 환경의 컨텐츠 제작에 활용가능한 수묵담채화풍의 렌더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3차원 수묵화 렌더링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색채표현법과 그 합성법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색채표현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삼색을 단계적으로 겹쳐서 표현하는 수묵담채화의 특성에 따라, 실제 그림을 그릴 때에 적용되는 삼색의 혼합방법과 순서가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삼색기반 구조를 통해 농담과 질감효과를 표현했으며, 또한 이러한 삼색레이어의 합성을 위해서는 안료의 광학적 성질을 반영하여 실제 회화매체에 가까운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 Kubelka-Munk(KM)모델을 적용한다. 기존의 KM모델은 비사실적 렌더링 연구 분야에서 수채화, 유화 등 서양화를 대상으로 한 색채 합성에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만으로는 삼색레이어가 겹쳐질 때 나타나는 수묵담채화의 특징과 천연 재료를 사용하는 동양 안료의 색상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묵담채화에 이용되는 전통안료의 색상 분석을 통해 KM모델에 적용할 파라미터들을 추출하고, 앞에서 설계한 삼색 기반 구조에 따라 색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Recovery of Erased Character Strokes in the Extraction of Text Using Color Information (칼라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영역 추출에서의 지워진 획 복구)

  • Kim Seon-Hyung;Kim Ji-Soo;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657-660
    • /
    • 2006
  • 자연영상이나 스팸메일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텍스트 영역에 이진화를 수행하고 나면 가로 방향이나 세로획 방향으로 놓여 있는 "1" 그리고 "ㅡ" 에 해당하는 한글의 종성부분이 이미지 내의 잡영을 지울 때 종종 지워지는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지워진 획 부분을 되살리기 위한 방법으로 텍스트 Hint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텍스트 Hinting 알고리즘은 이진화된 이미지의 텍스트 픽셀 위치와 동일한 좌표에 해당하는 원본 이미지의 RGB 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텍스트 후보 영역의 색상을 알아낸다. 추출된 텍스트 색상 레이어 이미지와 이진화된 이미지에 OR연산을 수행하게 되면 지워진 획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스팸 이미지에 적용한 결과 텍스트 추출결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수로데이터 표준모델 기반의 환경민감지도 개발 연구

  • O, Se-Ung;Park, Jong-Min;Lee, Mun-Jin;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0-12
    • /
    • 2010
  • 환경 민감 지도는 해양 유출유 사고 시 효율적이고 신속한 방제 업무를 위한 유용한 정보이다. 그러나 해상교통 및 안전 분야 종사자는 전통적으로 해도 및 전자해도 사용에 익숙하여 현 환경민감지도의 색상 및 심볼의 낮은 친숙도가 지적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의 제작 표준에 해당하는 수로데이터 표준모델에 따라 환경민감지도 데이터를 제작하고 전자해도 표현방법에 따라 표시 하였다. 세부 연구 내용으로 환경민감정보에 대한 객체와 속성, 표현 심볼 및 색상에 대해 정의하고, 기존 환경민감정보를 내부 전자해도 포맷으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내부 전자해도 데이터를 전자해도 표현방법에 따라 전자해도 레이어에 중첩시켜 그 결과를 확인 하였다.

  • PDF

Design of Content-based Image Retrival System using Multilevel Metadata (다계층 메타데이타 기반 이미지 내용검색 시스템 설계)

  • 신용수;홍성용;나연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42-144
    • /
    • 2002
  • 대부분의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이미지의 특징 벡터인 색상, 모양, 그리고 질감에 의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는 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은 의료 영상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의료 이미지를 분석하여 저장,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표현해야 하며, 의미성과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 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법을 살펴보고. 이미지를 내용기반으로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하여 효율적인 의미기반 검색을 지원말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다계층 메타데이타 레이어 구조로 이미지에 대한 개념 지식 모델을 표현하고, 이미지내의 객체를 메타데이타로 표현하여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미지 내용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메타데이타가 저장되기 위한 관계형 모델을 스타 스키마의 형태로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의미적인 이미지 내용 검색 방법의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Illumination Mismatch Compensation Algorithm based on Layered Histogram Matching by Using Depth Information (깊이 정보에 따른 레이어별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조명 불일치 보상 기법)

  • Lee, Dong-Seok;Yoo, Ji-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8C
    • /
    • pp.651-660
    • /
    • 2010
  •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 efficient histogram-based prefiltering to compensate the illumination mismatches in regions between neighboring views. In multi-view video, such illumination disharmony can primarily occur on account of different camera location and orientation and an imperfect camera calibration. This discrepancy can cause the performance decrease of multi-view video coding(MVC) algorithm. A histogram matching algorithm can be exploited to make up for these differences in a prefiltering step. Once all camera frames of a multi-view sequence are adjusted to a predefined reference through the histogram matching, the coding efficiency of MVC is improved. However general frames of multi-view video sequence are composed of several regions with different color composition and their histogram distribution which are mutually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se objects from sequeuces captured from different cameras can be different with different frames. Thus we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classify a image into several subpartitions by its depth information first and then histogram matching is performed for each region individuall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mpression ratio for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roved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image-based algorithms.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Added with Sparassis crispa Powder (꽃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

  • Jang, Woo Hyuk;Yoo, Young-Bok;Kim, Byung Hee;Bae, S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12
    • /
    • pp.1988-1993
    • /
    • 2013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added with Sparassis crispa powder that were abundant in dietary fiber, and also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amount of added S. crispa powder. Dried powder of S. crispa containing 61.8 g/100 g insoluble dietary fiber was added to the cake batter in Baker's percentage of 1%, 2%, 4%, and 8%. Cake batter containing 1% and 2% S. crispa powder showed similar pH,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values to the batter without S. crispa powder (control). As the amount of added S. crispa power increased, the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loss, and brightness (for both crust and crumb) of the cake containing the powder tended to decrease. A greater amount of added S. crispa powder resulted in a decrease in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ake containing the powder and also reduced the changes in hardness of the cake during 8 days of storage. The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cake containing 2% S. crispa had several desirable kinds of sensory attributes, such as color, flavor, taste, and texture compared to the control; whereas an addition of more than 2% S. crispa deteriorated the sensory quality of the c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suitable amount of added S. crispa powder for preparing yellow layer cake was 2% in Baker's perce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