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도 실험

Search Result 1,98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Fire-Detection System Robust to Light Sources and Environment changing (조명과 환경 변화에 강건한 화염 검출 시스템)

  • Park Soo-Chang;Park Jang-Sik;Son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382-386
    • /
    • 2005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fire-detection system which is robust to light sources and environment changing. We can decide the threshold values that classify the regions between a fire flame and light sources by analyzing them in RGB color space. The mean histogram difference technique make it possible to extract flame region more efficient because fire flame is continuously changing after it occurs. In order to detect flame region, this paper proposes to count fire pixels.

  • PDF

Dehazing in HSI Color Space with Color Correction (HSI 색 공간 색상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 Um, Taeha;Kim, Wonha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2
    • /
    • pp.140-148
    • /
    • 2013
  • The haze removal algorithm using median dark channel prior is an efficient and fast method with relatively accurate transmission estimation.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may produce color distortion since the method ignores the color mismatch between estimated airlight and actual airligh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or correction with measuring color fidelity in the HSI color spa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ives better color correction scheme.

A Study on the Use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for Content-based Video Indexing and Retrieval (내용기반 비디오 색인 및 검색을 위한 음성인식기술 이용에 관한 연구)

  • 손종목;배건성;강경옥;김재곤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2
    • /
    • pp.16-20
    • /
    • 2001
  • An important aspect of video program indexing and retrieval is the ability to segment video program into meaningful segments, in other words, the ability of content-based video program segmentation.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for content-based video program segmentation. This approach uses speech recognition technique to synchronize closed caption with speech signal.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is very promising for content-based video program segmentation.

  • PDF

A Study on Face Region Extraction Using Statistical Color Information (통계적 색 정보를 이용한 얼굴영역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Sang-Wook;Chae, Duck-Jae;Choi, Young-Kyoo;Lee, Sang-Bur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51-554
    • /
    • 2003
  • 본 논문은 얼굴 인식을 위한 전 처리 기술인 통계적인 색 정보를 이용한 얼굴영역 추출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얼굴 영역 추출은 방향성에 무관하고 빠르게 선택 될 수 있는 색상정보 즉, 사람의 피부색을 이용한다. 처리과정은 RGB 색 공간을 HSI로 변환하여 영상의 휘도 성분을 정규화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평활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을 통해 피부색을 검출하여 피부색에 해당되는 화소값이 가장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얼굴영역으로 인지하고 이를 근거로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실험한 결과 얼굴인식에 적합한 얼굴 영역을 추출해 내었다.

  • PDF

Vector Approximation Bitmap Indexing Method for High Dimensional Multimedia Database (고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벡터 근사 비트맵 색인 방법)

  • Hwang, Jee-Ik;Son, Dae-On;Na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6-48
    • /
    • 2005
  • 기존의 다차원 색인 기법들이 고차원의 특징 벡터를 갖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분야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지 못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VA-File, LPC-File 등의 벡터 근사 방법이 개발 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데이터의 접근에 소요되는 시간이 전체 검색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차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에서 객체간의 거리 계산 시간은 데이터 접근 시간에 비해 무시할 만큼 작지 않으므로 이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간의 거리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이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우수한 검색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보인다.

  • PDF

Design of an Efficient Bulk Loading Algorithm for CIR-Tree on MiDAS-III (MiDAS-III에서 CIR-Tree를 위한 효율적인 벌크로딩 알고리즘의 설계)

  • Pee, Jun-Il;Song, Seok-Il;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5-68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고차원 색인 구조인 CIR-트리를 위한 효율적인 벌크로딩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벌크로딩 기법은 대량의 고차원 데이터가 색인 구성 시 함께 주어진는 경우 색인의 구성을 빠르게 하고 구축한 색인의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CIR-트리는 변별력 있는 일부 차원만 이용해서 비 단말노드의 엔트리를 구성하기 때문에 엔트리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비단말 노드의 팬아웃을 높이고 탐색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 다차원 및 고차원 색인구조를 위한 벌크로딩 기법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CIR-트리의 특징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벌크로딩 알고리즘을 개선하면서 CIR-트리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색인 구성에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BADA-III의 하부 저장 시스템인 MiDAS-III에서 구현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한다.

  • PDF

A Skin Color Analysis of CIE_Lab for Observing a Person's Color (찰색을 위한 CIE_Lab 색체계를 통한 색분석)

  • Lee, Se-Hwan;Kim, Bong-Hyun;Ga, Min-Kyung;Cho, Dong-Uk;J.Bae, You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67-36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망진법 중 가중 중요한 요소인 찰색을 위해 CIE_Lab색체계를 통한 색 분석을 행하게 될 경우 다른 디지털 색 체계에 비해 효율성과 유용성이 우수할 것이라는 가정을 세우고 이를 실험을 통해 입증하고자 한다.

Color Correction for Comparison of Images with Different Color Illuminations (서로 다른 유색 조명 영상간 색 비교를 위한 색 보정 기법)

  • Choi, Yoo-Joo;Lee, So-Young;Cho, We-Duk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79-182
    • /
    • 2009
  •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동일 객체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객체의 색상 비교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조명 영상들에서 비교 대상 객체들의 색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조명 차이 요소를 제거하고, 입력영상을 목표 조명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색상 보정 기법은 촬영전에 색상 팔렛트를 이용하여 조명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조명간 RGB 색상 요소별 차이를 전처리 단계에서 계산한다. 각 조명환경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 미리 계산된 조명간 차이값을 입력되는 각 영상화소값에 반영함으로써 영상의 색상을 보정한다. 실험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 조건에서 촬영된 두 영상에 대하여 하나의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선정하고, 다른 하나의 영상에 제안 보정처리를 수행한다. 보정 전후 영상과 기준 영상과의 가시적인 비교 방법과 히스토그램 비교에 의하여 제안 보정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Realistic Expression Factors According to Visual Presence in Terms of Iris color and Pupil Accommodation of Virtual Avatar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 Won, Myoung Ju;Park, Sang-In;Lee, Eui Chul;Whang, Min-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4
    • /
    • pp.1-8
    • /
    • 2014
  • The virtual avatar is a principal way as media for communicating language and affective feelings in virtual environment. As simila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user's visual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ris color and pupil size of virtual avatar which is considered as new factors for representing realistic avatar. Virtual avatars were configured by pupil accommodation and iris color(green, brown). After presenting above image to 32 participants, a questionnaire(18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created, and reported as a 5-point scal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case of adopting pupil accommodation induced more realistic visual feeling of subjects. This result can be regarded as a basis for designing realistic virtual avatar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pupil accommodation of avatar in terms of representing visual presence.

A Study on User-Centered Emotional Illumination Design Using Color Temperature of Light (빛의 색온도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감성조명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Sung-Jo;Park, Jun-H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445-4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motional lighting design of a new concept suitable for the user's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the cognitive effect of the color of the lighting on the user's sensibility. As a research method, we collected meaningful results of color temperature and emotion of ligh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mented with user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is, we presented the design direction of emotional lighting. As a result, we designed emotional lighting that can transform the shape of the four joints freely to realize the user's demand. We also derive the color temperature of light that can be optimized for the user's work and environment, Concentration, mood, and relax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is meaningful and worthy of suggesting emotional lighting design with user - oriented new perspective, deviating from previous method of planning l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