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개선

검색결과 714건 처리시간 0.039초

에지 특성에 기반한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 (Edge Property based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 장준영;강문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15-4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컬러번짐 현상을 TV 수신단이나 MPEG 디코더에서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은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색도 신호의 천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색도 신호의 일정 윈도우 영역에 존재하는 주변 화소들의 국부 최대값 및 국부 최소값을 바탕으로 얻어낸 계단 신호를 사용한다.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서 이웃에 존재하는 화소들간의 색도 차를 계산하여 에지 특성을 분석하고 계산된 색도 차를 바탕으로 입력 신호와 계단신호와의 공간 적응적 가중치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이 컬러 번짐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천이 시간 개선과 색검출 안정화 기반의 색 향상 시스템 (Color enhancement system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Time and color detdetion Stability)

  • 이응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715-71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TV에 있어서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색을 조정할 경우 색신호의 천이 시간에서 발생하는 검출 오류들과 색신호의 안정화를 위한 색향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색향상 시스템은 시간차 보정 방법을 적용하여 색신호와 색부 반송 신호의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차를 보정하여 색신호 검출 오류를 줄였다. 또한 변화하는 색신호의 위상을 검출함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천이 시간에 따른 검출 오류를 개선하고자 수평 동기 시간내에서 검출 전압값의 평균 차성분을 구하여 이웃한 색신호의 최소 구별 전압값보다 큰값을 가질 때 설정 기준색을 조정하도록 하는 안정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개선된 색향상 시스템은 기타의 색신호로부터 보정 범위가 중복되지 않고 특정색의 검출 및 조정이 개선되었다.

  • PDF

영상 융합 기술을 이용한 색 번짐 개선 방법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Based on Image Fusion Technique)

  • 장준영;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4호
    • /
    • pp.50-5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색 번짐 현상을 TV 수신단이나 MPEG 디코더에서 효과적으로 개서하는 색 버짐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영상 신호는 영상의 밝기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한 개의 휘도 신호와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색도 신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눈이 미세한 면적에 대해서는 색의 변화를 거의 인식하지 못하는 점을 이용하여 색도 신호의 고주파 정보를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HDTV와 같은 고화질 화상 제품이 생산됨에 따라 색 번짐 현상이 화질 저하의 요인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색도 신호보다 더 많은 고주파 정보를 가지고 있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이용하여 손상된 색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휘도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주파 성분은 추정된 색도 신호와 원본 색도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의 ${\iota}_2-norm$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된 공간 적응적 가중치에 의해서 적절히 조절된 후에 입력 색도 신호와 결합되어 색 번짐이 개선된 색도 신호를 얻을 수 있게 하다. 제안하는 색 번짐 개선 방법은 색도 신호의 해상도를 휘도 신호의 해상도만큼 향상시키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결과를 출력하며 또한 기존의 방법에서는 개선하기 힘들었던 좁은 경계에서의 색 번짐 현상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시각적 및 수치적인 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고색재현성 CCFL을 사용한 LCD에서의 색재현성 개선에 관한 평가 (The Effect of Color Reproduction Properties at TFT-LCD Using High Color Reproduction CCFL)

  • 한정민;배경운;김연호;임영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분야
    • /
    • pp.165-168
    • /
    • 2003
  • 최근 TV 대응 LCD 제품의 본격적인 양산과 더불어 LCD TV 의 색재현성에 대한 해결과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CRT 급 색재현성의 확보는 LCD TV 의 고급화를 위한 또 하나의 개발 방향이 되고 있다. 그러나, CF(Color Filter)만을 이용한 색재현성의 개선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패널 투과율의 저하로 이어져 또다시 고휘도 사양의 BL(Back Light)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Color Filter)만에 의한 색재현성의 개선이 아닌 BL 광원 자체의 스펙트럼 최적화를 통해서 CRT 급 색재현성의 확보를 통한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램프형광체의 RED 와 Green-Blue 영역에서의 Intensity 향상을 통해서 기존의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는 다른 특성을 광원에 부가하여, 기본의 LCD 패널을 그대로 이용한 경우에도 색재현성을 약 11% 개선하였다.

  • PDF

색상의 포화 및 탈색현상 방지를 위한 CIE 1976 u'v' 색도 좌표에서의 SPA를 이용한 화질개선 시스템 (Picture Quality Improvement System to prevent the Saturation and Decoloration using Skin Protection Algorithm(SPA) on CIE 1976 u'v' Chromaticity Coordinates)

  • 양정주;육지홍;최현철;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89-596
    • /
    • 2011
  • 화질개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개발이 되어왔다. 대부분의 화질개선 시스템들은 모든 입력 색상에 대한 색도 변환을 수행하여 일부 색상에서 왜곡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색 보호 알고리즘(Skin Protection Algorithm, SPA)을 이용한 화질개선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화질개선 시스템은 단방향으로 색상 강조를 수행함에 따라 색상의 포화 및 탈색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IE 1976 u'v' 색도 좌표계에서 SPA를 적용한 색도 변환 시 입력 영상의 밝기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색도 확장 및 축소를 동시에 수행 하도록 하였다. 42장의 테스트 영상으로 기존 시스템과의 RGB Gamut 변화율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화질개선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저조도 영상의 개선을 위한 톤 매핑 및 색 항등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one Mapping and Color Constancy Methods for Enhancing Low Light Level Images)

  • 이우람;전병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8-259
    • /
    • 2013
  • 광원 및 조명이 미약한 환경에서 획득된 저조도 영상은 인지적 및 색 왜곡적 측면에서 취약점을 가진다. 영상의 색 복원을 위한 연구인 색 항등성 기법은 저조도 환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저조도 영상을 대상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좋은 성능을 내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저조도 영상의 색 복원을 위한 톤 매핑 및 색 항등성 기법에 대해 분석한다. 톤 매핑 기법은 저조도 영상의 밝기를 개선해 색 항등성 기법의 적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후 다양한 색 항등성 기법을 밝기 조절된 저조도 영상에 적용해 색 복원에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 PDF

영상 품질 향상을 위한 색 사상 기반 실시간 광역역광보정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설계 (Hardware Design of Real-Time Wide Dynamic Range Algorithm Based on Tone Mapping Method for Image Quality Enhancement)

  • 김근준;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0-275
    • /
    • 2018
  •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색 사상 방법과 레티넥스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색 사상 방법의 대표적인 예는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품질 향상을 위한 색 사상 기반 실시간 광역역광보정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상을 밝기 영역과 색 영역으로 나눈 후, 밝기 영역의 변화량을 기초하여 색 영역을 개선한다. 또한, 고품질의 영상을 원하는 흐름에 맞추어, 12bit로 확장된 신호를 사용하며, 기존의 8bit 신호와도 호환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 영상의 화질의 개선됨을 확인 하였으며, 하드웨어 설계 결과 최대 138.26MHz로 실시간 동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합병 방법을 이용한 고정 격자 색인의 성능 개선 (Fixed Grid File Packing using Merge)

  • 김동현;문정욱;이기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25-27
    • /
    • 2002
  • 고정 격자 방식의 공간 색인 방법은 간단한 구조와 단순한 색인 과정, 구현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데이터의 분포에 영향을 많이 받아 밀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특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정 격자 색인 방법에 합병 정책을 적용하여 고정 격자 색인 방법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방법에 따르면 공간 효율성이 매우 증가하고 다른 공간 색인 방법에 비해 색인 과정이 단순해지며, 공간 색인의 성능이 다른 색인 방법에 비해 증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Single-chip CMOS Image Sensor를 위한 하드웨어 최적화된 고화질 Image Signal Processor 설계 (Hardware optimized high quality image signal processor for single-chip CMOS Image Sensor)

  • 이원재;정윤호;이성주;김재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5호
    • /
    • pp.103-11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ingle-chip CMOS Image Sensor(CIS)용 고화질 image signal processor(ISP)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Single-chip CIS는 CIS와 ISP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된 것으로, 다양한 휴대기기에 사용된다. 휴대기기의 특성상, single-chip CIS용 ISP는 고화질이면서도 저전력을 위해 하드웨어 복잡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영상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영상 처리 블록들이 ISP에 적용되지만, 그 중에 핵심이면서 하드웨어 복잡도가 가장 큰 블록은 컬러 영상을 만들기 위한 색 보간 블록과 영상을 선명하게 하기 위한 화질 개선 필터 블록이다. 이들 블록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로직 외에도 라인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ISP의 하드웨어 복잡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존 ISP에서는 색 보간과 화질 개선 필터를 독립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많은 수의 라인 메모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하드웨어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낮은 성능의 색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화질 개선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야 했다. 본 논문에서는 화질 개선을 위해 경계 적응적이면서 채널간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고화질 색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채널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색 보간 알고리즘의 특성을 이용하여 색 보간 블록과 화질 개선 필터 블록이 라인 메모리를 공유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 라인 메모리 수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면 화질 개선 필터 블록을 위한 추가적인 라인 메모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고화질과 낮은 복잡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의 MSE(Mean Square Error)는 0.37로, 메모리 공유로 인한 화질의 저하는 거의 없었고, 고화질 색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화질은 향상되었다. 제안된 ISP 구조는 Verilog HDL 및 FPG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구현 검증되었다. 0.25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총 게이트 수는 37K개였으며 7.5개의 라인 메모리가 사용되었다.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고차원 색인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dimensional indexing scheme using filtering method)

  • 한성근;장재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219-221
    • /
    • 1999
  • 현재 멀티미디어 응용분야에서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색인 기법이 아주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객체들은 특징 벡터들로 표현이 되며, 대부분 고차원 특징 벡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차원 특징 벡터를 색인 및 검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차원이 증가할수록 검색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dimensional curse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링(filtering) 기법을 사용하여 개선된 고차원 색인 기법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