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새터민 아동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새터민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적용 연구 (Music Psychotherapy Program on Acculturative Stress for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 정현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1-3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적인 증가와 더불어 문화적응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새터민 아동들에게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새터민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4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개인 세션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에 기초하여 14회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문화적응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가 사전검사 평균 32.75점에서 사후검사 평균 23점으로 9.75점 감소하였으며, 각 회기별 주제에 대한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자기표현에 있어서 부정적 사고가 긍정적 자기인식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새터민 아동에게 음악을 통한 일관된 지지감을 제공하며 긍정적 자아 지각을 통해 내적 자원을 강화하도록 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새터민 부모의 양육 이야기 (Parenting of Young Children by North Korean Parents in South Korea : A Qualitative Study)

  • 김미정;정계숙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94
    • /
    • 2007
  • To examin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parents in South Korea, seven parents(a father, a grandmother and five mother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arenting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s. It was found that parents from North Korea felt a safe existence including safety from hunger in South Korea but they were afraid of the many cars and unfamiliar diseases in South Korea. They had many difficulties with unfamiliar child rearing practices and parental roles in South Korea. Their confusion about good parenting was compounded by psychological and physical after-effects of the escape from their native country. They found help in adjusting to parenting in South Korea by such social networks as child care centers.

  • PDF

새터민 아동과 남한 아동의 친사회성과 대인폭력에 대한 도덕추론과 도덕판단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and South Korean Children's Moral Reasoning and Moral Judgement on Pro-sociality and Violence)

  • 이혜영;이순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71-8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and South Korean children's pro-social moral reasoning, pro-social decision-making, moral reasoning and moral judgement on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82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and 186 South Korean children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ll respondents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6 stories of pro-social moral conflicts and 4 stories of moral conflicts on violenc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Scheff{\acute{e}}$ 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showed a bigger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ro-social moral reasoning in close relationship situations and that in distant relationship situations than South Korean children did. In the 11-13 year old group,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showed lower level of pro-social moral reasoning than that of South Korean children. Second, children showed more helping responses in close relationship situations than in distant relationship situations. The 11-13 year old group Children also showed more helping responses than the 14-16 year old group did. Third, 11-13 year old South Korean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moral reasoning on violence than the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did. Finally,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judged violence with a justifiable intention as being more wrong than South Korean children did.

근거이론을 이용한 새터민 어머니의 양육경험의 변화과정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ransition Process of Parenting Experience among Mothers Defecting from North Korean)

  • 박현정;김윤수;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48-57
    • /
    • 2011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n. Methods: Nineteen mother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n were recruited in Hanaw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as adapted for theoretical sampling and analysis.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consent and transcribed verbatim. Results: The core category was discovered to be 'pursuing positive parenting'.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acting out of frustration' and this series of processes was categorized as having four stages: 'harsh reality', 'moving forward', seeking transition', and 'internaliza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parenting experiences were in a transition process and, thus, it is critical to develop positive parenting intervention programs as a way to promote the empowerment of these mothers in parenting to help them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tereotypical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aeteomins (North Korean Refugees) to Knowledge of North Korea)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20-833
    • /
    • 2009
  • 다문화 교육의 실천은 세계 여러 나라마다 다문화 사회 형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여러 분야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과 사회적 친밀감의 정도가 북한에 대한 지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새터민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이주해 온 이주자들처럼 한국사회에 적응해야하는 상황이면서, 언어적,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특수성을 가진다. 같은 민족이면서 다른 문화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새터민과 남한 사람사이에는 문화적 이질감이 존재하고 있는데 새터민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다문화적 감수성을 함양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새터민의 탈북양상이 최근 가족단위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학령기 아동의 한국사회 적응은 관련 당사자 모두의 과제인 가운데,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중학생들이 새터민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각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북한에 대한 지식을 범주화하여 교과지식, 북한상식, 시사이슈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설명력 분석 결과, 북한에 대한 지식은 새터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북한에 대한 교육 내용이 변화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지리교육 내용을 구성에 시사점을 가지며, 다문화교육 실천에 교과의 내용지식의 활용 가능성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