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 인식 및 공유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ervice of Map Information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 지도 정보 서비스)

  • Song, Myeongjin;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5-358
    • /
    • 2010
  • 모바일 환경이 발전하고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인식하고 추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황인식 서비스는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을 알아내고 공유하여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상황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와 주변 상황이 수시로 변화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컨텍스트의 수집과 공유를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컨텍스트폰 플랫폼과 컨텍스트 서버를 구현하여 사용자 상황 정보를 시각화 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상황인식에 대한 연구에는 주로 위치 및 이동에 관한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위치정보는 상황인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컨텍스트폰 플랫폼과 컨텍스트 서버,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찾아내어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알아내어 공유하고 맵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Priority Based Medium Access Control and Load Balancing Scheme for Shared Situational Awareness in Airborne Tactical Data Link (공중 전술 데이터링크에서 상황인식 공유를 위한 우선순위 기반 매체접속제어와 부하분산 기법)

  • Yang, Kyeongseok;Baek, Hoki;Park, Kyungmi;Lim, Jaesung;Park, Ji Hye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1 no.10
    • /
    • pp.1210-1220
    • /
    • 2016
  • As modern warfare has changed into network centered, the ability to share situational awareness among allies become a core competency for performing operational missions. In an airborne environment, it uses a tactical data link such as Link-16 for shared situational awareness. There exist problems when it shares situational awareness over the existing data link that can not allocate slots dynamically or that can not change the number of a slot to be allocat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share this failure so that failed to improves situation awareness because of finite time slot resources. In this paper, we accommodate dynamic slot allocation and changes of slot allocation with mixed structure of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random access. We propose a technique that can be used when available slots are exhausted, and a load balancing method to prevent slot allocation delay when slot requesting or message sending is concentrated on a single subframe.

An Intelligent P2P Mobile Agent for sharing Users' Context and Service Information (사용자 상황 인식 정보 및 서비스 정보의 공유를 위한 지능형 P2P 모바일 에이전트)

  • Yun Hyo-Gun;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5
    • /
    • pp.538-544
    • /
    • 2005
  • The service supporting structure for user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requires technology that divides efficiently resources shared around users according to users context. So, needs research that analyze service items and resources that is offered according to users context information and divide adaptively necessary service and resour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s an intelligent P2P mobile agent that recognizes users context using portable mobile devices and is available for intelligent service by sharing serviced item according to users' context. The proposed structure removes monopoly for specific resources, and supports effective users context-awareness and service.

Context-Aware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 Kim, J.H.;Bae, J.S.;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32-40
    • /
    • 2004
  •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는 사용자의 요구와 주변 상황이 수시로 변화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더욱 중요하게 활용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는 음성, 텍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고도화에 이어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 및 컴퓨터들이 수집한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context)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context-aware) 특징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및 사물 등의 객체를 인식하고, 이들의 현 상태에 따른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에 적응하는 기술 등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화방향을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관점에서 살펴보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위한 관련 기술과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상황인식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A Context-aware Messenger for Sharing User Contextual Information (사용자 컨텍스트 공유를 위한 상황인지 메신저)

  • Hong, Jin-Hyuk;Yang, Sung-Ihk;Cho, Sung-Ba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9
    • /
    • pp.906-910
    • /
    • 2008
  • As the mobile environment becomes widely used, there is a growth on the concern about recognizing and sharing user context. Sharing context make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more plentiful as well as helps to keep a good social relationship. Recently, it has been applied to some messengers or mobile applications with sharing simple contexts, but it is still required to recognize and share more complex and diverse contex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aware messenger that collects various sensory information, recognizes representative user contexts such as emotion, stress, and activity by using dynamic Bayesian networks, and visualizes them. It includes a modular model that is effective to recognize various contexts and displays them in the form of icons. We have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scenario evaluation and usability tes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Middleware for Distributed Ubiquitous Environments (분산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Kim, En-Young;Oh, Dong-Y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5 s.43
    • /
    • pp.105-114
    • /
    • 2006
  • Context-Awareness is a important technology to support optimized services automatically by recognizing various context informations in ubiquitous environments. Previous middlewares which supports ubiquitous environments used a centralized storage and DBMS to store and manage context informations and service contents. Centralized management of context informations and service contents sometimes hinders the autonomy of moving node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ce middlewares. In this paper, we design the systems which stores context informations in moving node by distributed form and shares service contents between middlewares in distributed ubiquitous environments. And it provides Context-Aware scripts to supports the definition of context informations reasoning and execution of services. It verifies the usefulness of the designed systems by applying the scenario of music playing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ness

  • PDF

A Model of Context Awareness and Integration for Users Situation Awareness in Mobile P2P Environment (모바일 P2P 환경에서 사용자 상황 인식을 위한 컨텍스트 인식 및 통합 모델)

  • Yoon, Hyo-Gun;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3
    • /
    • pp.304-309
    • /
    • 2007
  • What is important in ubiquitous computing is collecting users' context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providing services suitable for use's current situation. Particularly in mobile environment, each area has different context awareness structure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areas. As a result, context resources for recognizing users' context ate insufficient. Moreover, because mobile devices have a limited processing capacity,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real time analysis of users' context. This paper proposed a context awareness and integration model for analyzing users' context actively and providing adaptive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The proposed model distinguishes users' context between dynamic and static structure to analyze the context, and obtains context resources by sharing context information of users within an area.

Context Information Model using Ontologies and Rules Based on Spatial Object (공간객체 기반의 온톨로지와 규칙을 이용한 상황정보 모델)

  • Park, Mi;Ryu, K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6 s.109
    • /
    • pp.789-796
    • /
    • 2006
  • Context-aware is the core in ubiquitous environment of sensor network to support intelligent and contextual adaptation service. The new context information model is demanded to support context-aware applications. The model should not depend on a specified application and be shareable between applications in the same environment. Also, it should support various context representation and complex context-awa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xt-aware process. Also we design the knowledge of domain as well as applications using ontologies and rules. The domain spatial ontology and application knowledge are represented using the spatial object model and the rules of expanded ontologies,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abundant spatial ontology represents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distance between objects and adjacent object as well as the location of the object. The proposed context information model which is able to exhibit various spatial context and recognizes complex spatial context through the existing GIS. This model shows that it can adapt to a large scale outdoor context-aware applications such as air pollution and prevention of disasters as well as various context-aware applications.

A study on the Context-Aware Architecture for Ubiquitous on Computing System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상황인식 구조에 관한 연구)

  • Doo, Kyoung-Min;Chi, Sam-Hyun;Kim, Sun-Guk;Chen, Yun;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18-422
    • /
    • 2007
  • Ubiquitous Computing System란, 언제 어디서나 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하고 컴퓨팅 시스템이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컴퓨팅 시스템이다. 이로써 기존의 컴퓨팅 환경과 같이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이 아닌 물리적인 환경 상황(Context)등을 시스템이 스스로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상황인식 기술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Ubiquitous Computing System을 위해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Sensor)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용자 및 주변 환경으로부터 입력되는 불확실하거나 모호한 상황정보에 대한 표현과 추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Rule based System을 활용하여 CRS(Context Recognition Switch)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Context Aware Architecture를 제시한다. CRS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을 위해서는 센서로부터 복합적으로 인지된 사용자 정보 및 주변환경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동적으로 설정되거나 System의 지속적으로 수집된 정보의 통계 값인 Reference Value와 비교하여, 각 상황에 따른 개별적이고 특화된 서비스를 실행을 하도록 제공한다. 이로써 같은 정보의 입력이 들어와도 그 주변 환경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최적화된 실행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biquitous Computing System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예상해고, 본 논문에서 제시한 Context Aware Architecture의 유용성을 짐작해 본다.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National Defence Shared Data Environment (SHADE) (국방 데이터공유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Hak-Rae;Lee, Sang-Hoon;Lee, Tae-K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725-1728
    • /
    • 2002
  • 국방부는 90년대 후반부터 국방정보체계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국방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표를 국방통합정보체계 구축으로 설정하고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 국방정보체계표준, 공통운용환경, 데이터공유환경을 식별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국방정보체계표준은 선정되어, 국방전반에 대하여 효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공통운용환경은 우리의 국방환경에 적합한 추진방향을 선정하였으나, 데이터공유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 및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추진사례와 우리나라 국방 현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현실에 맞는 데이터공유환경(SHADE)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 및 방법을 제시하며, 그 내용으로는 먼저 현 국방 데이터 관리 실태 분석을 통하여 현 상황을 인식한 후,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을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 전략 및 방향, 업무와 관련된 조직 및 인원에 대한 임무, 단계별 추진 과제 등을 식별하고 데이터공유가 요구되는 조직 및 체계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관리 절차와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