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연계

Search Result 1,0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al-time Shading Effect For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위한 실시간 광원정보 획득 방법 및 가상물체의 음영효과 적용 - 증강현실에서 몰입감과 사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원정보 상황연계)

  • Cho, Jae-Hwan;Park, Jin-Ah;Kim, Jong-Sung;Son, Wook-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85-789
    • /
    • 2008
  • 증강현실은 실제환경에 가상물체를 합성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여러가지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가상물체가 실제환경에 있는듯한 느낌을 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가상물체의 좌표계를 실제환경과 일치시킴으로서 사실성을 주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환경의 주변광원이 가상물체에 사실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면 몰입감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에서 가상물체에 실제환경의 상황정보 중 음영정보를 손쉽게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여 사실성을 증가 시키고자 하였다. 음영효과는 주변광에 의해서 만들어지므로 가상물체를 합성할 위치 주변의 광원을 미러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획득하고 가장물체에 적용될 광원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 소개될 주변광원 정보 획득 및 음영을 적용 방법은 특수장비가 필요없고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환경, 모바일 환경 등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 PDF

Optimal Operation Algorithm for Bi-directional Sectonalizer in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s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최적 운용 알고리즘 개발)

  • Kim, Byeong-Gi;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1-384
    • /
    • 2010
  • 최근 국가차원의 녹색성장정책에 의하여 대규모의 태양광발전 단지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태양광 전원이 수용가설비(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수용가내 보호시스템의 기본적 조류는 상위계통에서 하위의 수용가로 한 방향으로 전력조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분산전원이 연계되면 역방향의 전력조류도 발생하므로 기존의 제어 보호 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새로운 보호협조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새로운 보호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요소인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개발이 필수적 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태양광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는 경우, 기존의 구간개폐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Northeast Asia Interconnection and Load Flow considering Seasonal Effects in South Korea (동북아 연계선로 구성 및 계절별 영향을 고려한 우리나라 계통의 조류계산)

  • Lee, Sang-Seung;Park, Jong-Keun;Moon, Sung-Il;Yoo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b
    • /
    • pp.134-13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향후 남한의 예비력 중대방안으로 동북아 지역 (러시아, 중국, 몽고, 북한, 한국, 일본)의 지역의 전력계통연계선로의 구성 및 동북아 지역의 계절별 패턴을 고려한 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전력수급의 분포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한반도 전체의 전력수급을 고려하여 볼 때 남-북한의 수도권 및 영남 지역의 두 지역은 향후 계속적인 전력 수요의 증가로 인한 발전력의 부족상태가 계속되리라 여겨지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북한의 신포지역에 2,000MW KEDO 경수로를 건설하여 공급하는 방안이 있겠으나 현재 여러 가지 정치적 상황으로는 건설을 중단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의 변화로 다른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들 중의 하나가 극동러시아나 시베리아 및 중국 그리고 일본과의 연계에 의한 예비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 지역과 연계를 할 수 있는 가능한 지역을 고려하여 연계선로를 구성하고 계절별 효과를 고려한 조류계산을 실시하여 연계 시 융통전력의 분포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Standardized Integration of Different Systems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Maritime Domain Awareness System (한국형 해양상황인식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간 표준화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ung-Sup;Song, Chae-U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5 no.4
    • /
    • pp.204-211
    • /
    • 2021
  • The Maritime Domain Awareness system is a component tha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wareness of all situations occurring at sea in relation to security, safety, economy, and the environment. To establish a marin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being introduced in major maritime countries after approval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Maritime Safety Committee in 2010, operational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echnological foundation for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a Korean maritim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each system (RADAR, VHF, and V-PASS, etc.) and proposed the application of data and communication standards.

특집 2 - 환절기 사양관리 포인트 -환절기 육계 사양관리 중점 포인트 _환절기 스트레스를 줄이기위한 사양관리

  • Kim, Hui-S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9
    • /
    • pp.122-125
    • /
    • 2011
  • 최근 4~5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하절기 온도상황 및 호우 경향이 많이 달라지고 있다. 평년에 비해 6월 경 혹서기가 시작 되는가 하면,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장마는 짧게 지나가고, 국지성 집중 호우 이후 혹서기가 반복되는 상황이다. 당연히 케이지 사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산란계에 있어서는 습한 환경에 고온이 더해져 그 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부분은 섭취량 저하 및 생산성 저하로 연계되고, 질병 또한 평년에 비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금번 환절기의 산란계는 혹서기로 인한 체력 저하 및 환경 적응력이 미진한 상황에서 일교차 증가와 온도 저하, 일조시간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가을 환절기는 극심한 온도의 일교차 변화와 함께 시설과 농장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환기 부분에 있어서 기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환기 부분은 겨울철로 향해 갈수록 관리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시점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사료 섭취량 및 체내 영양소 균형과 대사과정에도 변화가 연계되면서 생산성의 저하, 면역력의 약화 및 활력의 저하가 동반되며 호흡기 및 다양한 질병(IB, ND, AI 등)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해야 할 몇 가지 주요 포인트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A Study on Linkage of Heterogeneous Alarm Broadcasting System for Fire Situation Propagation (화재상황 전파를 위한 이기종 경보방송시스템 연계 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Choi, Jong-In;Min, S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92-193
    • /
    • 2019
  • 최근 우리나라는 대형 산불 화재, 지진 및 복합 재난등 많은 위험에 노출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대형 초고층 화재 및 산불 발생시 국민들에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상황을 전파하고자, 현재 운영중에 있는 재난경보방송시스템과 화재플랫폼을 연계하여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층 빌딩화재와 재래시장화재 그리고 터널화재와 산불화재 가능성이 혼재되어 있는 테스트베드를 선정하여 화재 유형별로 전파되는 장소에 맞춰서 대비요령과 안내방송을 전파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 PDF

Power Quality Analysis of Jeju System Due To Interconnecting Hangyung Wind Farm #2 (한경풍력 2단계 연계에 따른 제주계통의 전력품질 분석)

  • Chae, Woo-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70-173
    • /
    • 2008
  • 제주의 전력계통은 HVDC로 육지계통과 연계되어 있으며 3곳의 풍력발전단지가 연계되어 있다. 향후 대규모의 풍력발전이 연계된 상황에서 HVDC Overhaul을 시행하거나 어떤 사고로 HVDC가 끊어진다면 제주계통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에 본 본문은 Overhaul 기간에 한경풍력 2단계가 제주계통의 전력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Overhaul 기간에는 제주계통의 주파수가 매우 불안정하여 풍력발전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하여 제주계통 전체의 주파수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Linkage Service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안전정보 연계 서비스 방안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 Yu, Eun-Ji;Shim, Hyoung Seop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1
    • /
    • pp.67-73
    • /
    • 2018
  • Researcher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effectively managing the disaster that appear in large scale and complex form. There are two types of disaster information, which are unstructured text data and structured data. Unstructured text data usually refers to text documents that have been referenced by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such as disaster manuals and related regulations, while structured data refers to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build in the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of constructing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enables joint use of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utual linkage system by utilizing both unstructured and structured form of disaster information. Especially, Based on the linkage information between structured earthquake information in earthquake related system and earthquake manual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earthquake disaster, we propose a service that provid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arthquake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task manager will perform effective earthquake state management by acquiring the integrate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earthquake information of the minist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직역연금 간 합산 제도의 연계 제도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 Ju, Hyo-Chan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5
    • /
    • pp.193-217
    • /
    • 2020
  • 본 연구는 직역연금 간 이동자의 연금수급권 확보를 위해 도입된 합산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합산은 2015년의 연금법 개정으로 연금수급조건이 10년으로 하향 조정되어 그 실효성이 크게 약화되었다. 무엇보다 합산 기간에 대해 최종적으로 연금을 지급하는 직역연금에 재정적으로 불리하여 직역연금 간 재정부담의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합산 시 납부하는 합산반납금 또는 수급자였던 자가 합산하는 경우 이체 받는 연금액은 연금지급을 위한 충분한 재원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합산은 연금액 이체 시의 정산과 같은 비효율적 업무 혹은 관련 법령의 불완비성에 의해 제기되는 민원과 소송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역연금 간 합산은 연계로 전환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연계를 통해 연금수급권 확보라는 합산의 도입 취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합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현재의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간의 연계 제도를 확대하여 공적연금 간의 연계 제도로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이 경우 기존의 법 제도와 정보연계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직역연금 간의 연계 제도를 위한 많은 수고와 노력을 줄일 수 있다.

IoT convergence with inundation response technology in coastal cities (IoT 융합 해안도시 침수대응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

  • Ha, Sangmin;Kim, Jiho;Lee, Gyuwon;Park, Jungkyu;Lee, 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0-340
    • /
    • 2020
  • 본 연구는 산지-도심-해안으로 연결된 해안도시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일과 같은 조위 상승 원인이 침수 및 홍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합재난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시간 침수 위험정보 확인 및 대응, 대시민 상황전파 등이 가능하도록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침수 및 홍수방어벽 등의 구조적대책을 검토하여 실시간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과 연계운영함으로써 해안도시의 시설 및 재산을 보호하고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침수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은 양산형 IoT 침수 및 하천수위 감지 장비, 센서 연동 침수 및 홍수방어벽, 복합재난알림 디스플레이 등의 개발이며, 비구조적 대책은 강우-하천수위-조위 실측자료기반의 머신러닝 침수위험 분석 모듈 개발, 수치모의에 의한 예상 침수심 및 침수위험지도 작성, 재난상황 전파 알림서비스 등이 있으며 개발된 시제품과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고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인 스마트빅보드(SBB, Smart Big Board)에 연계 및 탑재함으로써 향상된 침수대응 및 대시민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및 실증하고자 한다. 센서, 통신, 자료연계 및 분석에 대한 IoT 융합 기술을 침수 대응 기술개발에 적극 활용하여 실측자료와 수치모의 분석 결과가 연계된 침수위험정보를 생산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입증한다면 국내외 해안도시에 확대 보급이 가능해져 침수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국민의 재산과 생명 보호할 수 있다. 또한, IoT 기술을 연계한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산으로 복합재난 대응 연구에 기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실측자료 수집, 연구에 소외되어 온 소하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