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 결합 제어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Neural Oscillator based Two-link Robot Arm Control (Neural Oscillator 특성을 활용한 2축 링크 로봇 팔 제어)

  • Kwon, J.S.;Yang, W.;Park, G.T.;You, B.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813-18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운동 메카니즘을 유사하게 구현하기 위해 신경 진동자를 이용한 로봇 팔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인간 및 동물의 주기적인 자율 운동을 관장하는 Central Pattern Generator (CPG)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신경 진동자는 그 중요 특성의 하나인 entrainment 효과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 기능을 이용하여 미지의 외부 환경 변화와 같은 외란에 적절히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운동을 생성해 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이기 위해, 각 관절에 가상의 신경 진동자 모델을 결합하였고 외부 환경의 변화나 외란의 감지를 위한 F/T센서를 팔의 말단에 부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신경 진동자 모델을 결합한 2축 링크 로봇 팔 시스템(real time)은 주어진 목적운동을 (원 운동) 수행함과 동시에 미지의 외부 환경의 변화(임의의 벽)를 인지하여 적절한 모션을 생성하는 지를 살펴본다.

  • PDF

Dynamic interaction analysis of urban transit maglev vehicle and guideway suspension bridge (Flexible guideway 교량과 자기부상열차의 동적 상호작용 해석)

  • Kim, Moon-Young;Kwon, Soon-Duck;Lee, Jun-Seok;Min, Dong-Ju;Jung, Myung-Ra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lexible guideway 교량과 능동적으로 제어되는 자기부상 열차간의 동적 상호작용에 대한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중 저속 자기부상열차의 동적 응답에 대한 열차와 guideway 사이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동적 지배방정식은 10자유도계의 자기부상열차 모델, guideway구조물의 모드 특성과 UTM02 부상제어모델을 결합함으로써 유도하였다. 수치해석으로부터 열차의 부상공극은 차량의 속도, 트랙조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A Gesture Interface based on Hologram and Haptics Environments for Interactive and Immersive Experiences (상호작용과 몰입 향상을 위한 홀로그램과 햅틱 환경 기반의 동작 인터페이스)

  • Pyun, Hae-Gul;An, Haeng-A;Yuk, Seongmin;Park, Jinh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1
    • /
    • pp.27-34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user interface for enhancing immersiveness and usability by combining hologram and haptic device with common Leap Motion. While Leap Motion delivers physical motion of user hand to control virtual environment, it is limited to handle virtual hands on screen and interact with virtual environment in one way. In our system, hologram is coupled with Leap Motion to improve user immersiveness by arranging real and virtual hands in the same place. Moreover, we provide a interaction prototype of sense by designing a haptic device to convey touch sense in virtual environment to user's hand.

항공기 낙뢰 간접영향 인증시험 동향

  • Han, Sang-Ho;Seo, Jang-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2
    • /
    • pp.87-97
    • /
    • 2007
  • 오늘날 항공기 설계와 제작은 다국적인 산업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항공기 서브시스템은 세계 각국에서 독립적으로 설계, 제작 및 시험한 후 한 곳으로 납품되어 조립 제작되는 데 이 때 중요한 것이 표준화이다. 항공전자장비의 낙뢰 간접영향에 대한 인증의 경우 RTCA DO-160E, Section 22 Lightning Induced Transient Susceptibility(낙뢰 유도 과도현상 적응성)로 표준화 되어 있다. 이 Section 22는 낙뢰 간접영향에 대한 항공전자장비 단위 즉, LRU (Line Replaceable Units)와 같은 부품단위의 시험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규격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이 되고 있다. 1980년대 초 상용 수송기에 디지털 "Fly by Wire" 비행 시스템과 엔진제어시스템(EEC, Electronic Engine Control)의 도입 이후, 항공기 시스템이 낙뢰 환경에서 운용시 신뢰성을 보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제어되는 각종 항공전자장비에는 다중타격(MS)과 다중파열(MB) 기법에 의한 시험 사항이 최근 추가 되었다. 실제 낙뢰 환경과 유사한 시험실 모사를 위해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며 신규 시험 규격서가 새로이 출간되고 있다.

  • PDF

Design of an OPtimal Controller for the Nonlinear Robot Manipulators with the Actuator Dynamics (조작기의 동특성을 고려한 비선형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최적 제어기 설계)

  • 김학범;이양범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9
    • /
    • pp.1376-1385
    • /
    • 1993
  • This paper presents a new dynamic model which is represented by the second order differenatial equation and itcludes the robot arm dynamics as well as the actuator dynamics. The model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response. In addition the time varing nonlinear and coupled dynamic system has been linearized and decoupled by using nonlinear feedback and linearization method. In this case a pole assignment law is used to improve stability, and the optimal control altorithm is applied to the error equation to minimize the path error. In applying the proposed algorithm to the three joint manipulator with actuators, we obtained very encouraging results.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Smart Grid Platform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Oh, Do-Eun;Choi, Seung-Hwan;Yang, Il-Kw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934-937
    • /
    • 2012
  • 발전에서 송배전 및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비 및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모든 과정이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전력시스템은 지금까지 각 운영시스템별 독자적인 필요에 의해 상이한 플랫폼으로 개발되고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 시스템 상호간 연계와 원활한 정보교환을 통한 전체 전력시스템 차원의 최적화를 이루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전력시스템은 스마트그리드로의 전환을 위해 각 시스템별 독립적 필요에 의한 부문별 자동화가 아닌 정보의 통합화, 제어의 분산화 그리고 기능의 상호운용성을 통해 전력시스템이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체계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전력운영시스템 상호간 정보교환과 전력시스템 전 영역에 걸쳐 발생되는 데이터의 활용 및 새로운 전력 어플리케이션의 Plug & Play 통합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기술한다.

An Optimal Design of Neuro-Fuzzy Logic Controller Using Lamarckian Co-adaptation of Learning and Evolution (학습과 진화의 Lamarckian 상호 적응에 의한 뉴로-퍼지 제어기의 최적 설계)

  • 김대진;이한별;강대성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C
    • /
    • v.35C no.12
    • /
    • pp.85-98
    • /
    • 1998
  • This paper proposes a new design method of neuro-FLC by the Lamarckian co-adaptation scheme that incorporates the backpropagation learning into the GA evolution in an attempt to find optimal design parameters (fuzzy rule base and membership functions) of application-specific FLC. The design parameters are determined by evolution and learning in a way that the evolution performs the global search and makes inter-FLC parameter adjustments in order to obtain both the optimal rule base having high covering value and small number of useful fuzzy rules and the optimal membership functions having small approximation error and good control performance while the learning performs the local search and makes intra-FLC parameter adjustments by interacting each FLC with its environment. The proposed co-adaptive design method produces better approximation ability because it includes the backpropagation learning in every generation of GA evolution, shows better control performance because the used COG defuzzifier computes the crisp value accurately, and requires small workspace because the optimization procedure of fuzzy rule base and membership functions is performed concurrently by an integrated fitness function on the same fuzzy parti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Lamarckian co-adapted FLC produces the most superior one among the differently generated FLCs in all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fuzzy rules, the approximation ability, and the control performance.

  • PDF

CIVE: Context-based Interactive System for Heterogeneous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이기종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

  • Jang, Sei-Ie;Lee, Young-Ho;Woo, Woon-Tack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2 no.5
    • /
    • pp.209-218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CIVE, context-based interactive system for heterogeneous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that delivers contexts irom real world to virtual environment and vice versa. The proposed system ronsists of obi-UCAM for generating user's contexts, NAVER for managing virtual environment, and Interface for linking obi-UCAM with NAVER. The connec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id through context is brneficial in following ways. Firstly. CIVE Provides a personalized user interface for virtual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 profile such as identity, age and vernacular. Secondly, translating all input signals into context, it guarantees adaptive access that enables a user to exploit unencumbered input devices controlling a shared object in virtual environment even if he moves with his own device from a virtual system to another. Finally, it provides a mechanism for synchronizing distributed virtual systems that share context representing changes at remote nodes. The context reduces the inconsistency of representing the same data among heterogeneous systems. Therefore, CI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VR applications such as teleconference, game and entertainment.

Hybrid Hazard Analysis for Improving Safety of Railway System (철도 시스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위험원 분석)

  • Jeong, Daehui;Kwon, Gih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6 no.11
    • /
    • pp.133-144
    • /
    • 2018
  • IEC 62278, the Railway System Safety Standard, requires for hazard analysis to prevent or control the hazard that the railway system may have. If hazard analysis is not performed sufficiently,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ccidents will occur. For this reason, hazard analysis methods are actively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ybrid hazard analysis method to combine two representative hazard analysis methods: reliability-based and system-theoretic. As the proposed method is complementary to existing ones, it covers both the hazard caused by failure of components and the hazard occurred from the unintended control between components. It applies to the development of a safety protection mechanism for multiple cruise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 the speed of trains to avoid the collision among trains. As a result, we drive more safety requirements than the existing analysis methods and it turns out that the safety requirements protect the trains with respect to the identified hazards.

효과적인 일함수 조절을 위한 그래핀-고분자의 적층 구조

  • Cha, Myeong-Jun;Kim, Yu-Seok;Jeong, Min-Uk;Song, U-Seok;Jeong, Dae-Seong;Lee, Su-Il;An, Gi-Seok;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10-210
    • /
    • 2013
  • 그래핀은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차원 물질로, 대면적 합성법과 전사 공정을 통해 다양한 기판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차세대 전자 소자로 활용하기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의 전극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채널로 적용한 연구에서 우수한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 특히, 금속/금속 산화물 전극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할 뿐 아니라 일함수가 고정되어 쇼트키 접촉이 형성되면 저항을 낮추기 어렵지만, 그래핀은 금속/금속 산화물 전극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일함수의 조절이 가능해 옴 접촉 형성에 용이하다. 그래핀의 일함수를 조절하는 연구는 크게 공유결합과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이 시도된다. 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은 합성과정에서 그래핀의 구조에 내재된 결함 혹은 새로운 결함을 형성하여 다른 원소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그래핀의 결함 영역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그래핀 전자 구조의 높은 수준 조절을 위해선 그래핀 구조의 파괴가 동반된다. 반면,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은 전하 이동 도핑 효과를 이용해 그래핀의 전자 구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금속/금속산화물/기능기와 그래핀의 적층으로 복합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금속/금속 산화물과의 복합구조는 안정적인 p-형 도핑이 보고되었지만, n-형 도핑은 대기중의 수분, 산소 그리고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대기중에서 불안정해 추가적인 피막공정이 요구된다. 기능기를 이용한 적층 구조는 그래핀과 기판사이의 상호작용 혹은 그래핀 전자 구조를 다양한 기능기를 이용해 제어하는 것으로, 이극성을 가진 자기정렬 단일층(self-assembled monolayers)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공간기(spacer)의 길이나 말단기(end group)의 종류로 p-형과 n-형의 도핑 수준을 제어할 수 있지만, 흡착기(chemisorbing groups)의 반응성이 기판의 화학적, 물리적 표면상태에 의존하기때문에 기판 선택이 제약되며 전처리 공정이 요구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판에 적용가능한 용액 공정을 이용해 그래핀과 고분자를 적층하였고,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일함수를 낮추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 PDF